산자부 2월까지 신청받아 상반기 중 결정 계획
‘RE100’ ‘AI 기반’ 강점…앵커기업 빈약 약점

지난해 9월 27일 오전 광주테크노파크에서 열린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공동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무창 광주시의회 의장과 서동욱 전남도의회 의장, 정성택 전남대 총장, 김종갑 전 하이닉스 사장 등 내빈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광주광역시 제공
지난해 9월 27일 오전 광주테크노파크에서 열린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공동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무창 광주시의회 의장과 서동욱 전남도의회 의장, 정성택 전남대 총장, 김종갑 전 하이닉스 사장 등 내빈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광주광역시 제공

 미래 먹거리 산업의 가장 핵심으로 불리는 반도체 특화단지 입지가 전국적 관심사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하기 위해 공동 전선을 펼치고 있지만, 평가 지표 중 핵심인 앵커기업이 빈약해 약점으로 지적된다. 게다가 키를 쥐고 있는 정부가 수도권에 몰아주려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의 눈초리가 여전해 지역에서 경계심을 높이고 있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말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공고를 냈다. 오는 2월까지 신청서를 받아 서류심사와 현장 실사를 거쳐 올 상반기 내 결정할 계획이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지정 분야는 지난해 11월 4일 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의 심의·의결을 거쳐 선정된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관련 3대 산업 총 15개 국가첨단전략기술 분야,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가첨단전략산업이다.

 이 중 광주·전남이 공동으로 유치전에 뛰어든 반도체 특화단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반도체 특화단지 공동 유치를 위해 총력전에 나서고 있는 광주·전남은 지난해 7월 반도체 특화단지를 민선8기 상생 1호 협력사업으로 정하고, 양 시·도에 전담부서를 신설했다. 9월에는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추진단을 구성하고 전태영 전 하이닉스 반도체 총괄팀장을 단장으로 채용했다. 이어 반도체산업 육성 추진위원회를, 12월에는 반도체 인재양성위원회를 발족해 지원체계도 구축했다.

 또 김회재·양향자·이용빈 국회의원 공동 주최로 국회토론회를 개최하여 반도체 저명인사와 함께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방향과 추진전략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도 가진 바 있다.

 광주·전남은 상생협력을 기반으로 하여 대한민국 반도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역의 우수한 인프라를 강점으로 내세워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에 온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반도체 기업이 집중된 수도권과는 달리 광주에는 마땅한 앵커기업(선도기업)이 없다는 게 고민거리다.

 정부가 발표한 특화단지 공모 평가 항목에서 반도체와 관련된 앵커 기업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엠코’를 제외하면 사실상 빈약한 반도체 산업생태계가 약점으로, 반도체 기업이 집중된 수도권과 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는 여건인 탓이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최근 광주일보와 인터뷰에서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 부분을 우려했다. 강 시장은 “특화단지 핵심 조건이 유치 지역에 앵커기업이 얼마만큼 있느냐는 것인데, 앵커기업이 없다는 점이 불리한 요소”라고 말했다다.

 장점도 제시했다. 그는 “광주·전남이 공동 유치를 추진했다는 것이 강점이고 성과”라면서 “여기에 광주는 인공지능 기반이 있어 비메모리 반도체 영역에서 앞서 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광주·전남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RE100(재생에너지 100%)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해상풍력발전 잠재량과 태양광발전 평균 일사량이 전국 최고 수준”이어서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RE100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광주 첨단 3지구에 올해부터 당장 착공이 가능한 80여만㎡(25만 평)의 산업용지를 확보했고, 추가로 부지 확장도 가능하다. 또 후보지 인근에 장성호와 담양호가 있어 충분한 용수 공급도 가능하다는 강점으로 내세웠다.

 이와 관련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이끌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선 좋은 여건을 두루 갖춘 광주·전남에 특화단지가 조성돼야 한다”며 “시·도민의 염원을 하나로 모아 광주·전남에 특화단지가 지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반도체특화단지를 유치전엔 광주·전남을 비롯해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충청북도 등 10여 곳의 지자체가 뛰어든 상태다. 정부는 이중 3곳 정도를 선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새봄 기자 newbom@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