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am: A Berlin-based NGO Part2

Dedicated to Human Rights in North Korea ‘사람’ : 북한 인권을 위해 일하는 베를린의 비정부기구(2)

2020-08-26     윌리엄 어반스키

GN: You have been extremely busy during your time in Seoul. Whom have you been meeting with?

Sprekels: Largely, I have been meeting with North Korean defectors. Let’s say it like this: It is important for us to develop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m because the majority of defectors do not want to talk in public or speak out. Their families in North Korea might suffer because of that and could be sent to prison camps. We meet them in private and earn their trust. That is a very important part of our work here. Besides that, we have been meeting with people from NGOs such as NK Watch and ICNK (International Coalition to Stop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 as well as with the OHCH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GN: Could you comment on the international approach to North Korea? What works and what does not? What do you think w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deal with the regime?

Sprekels: Generally speaking, from my understanding, among the general public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political parties, there are two extreme positions for dealing with North Korea. The first is this idea of applying maximum pressure. The other side wants to build a very friendly and trustful relationship, like with the Sunshine Policy [of President Kim Dae-jung]. These two extreme approaches change every few years with the elections and North Korea plays on this quite well. They try to play around between these two possibilities.

Just to be clear, we do not want to lectu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n what to do. What we would like to have is a situation internationally where political and civil organizations (NGOs) follow one strategy to really be successful in achieving improvements for North Koreans in their daily lives and in terms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Now there is no joint strategy.

We are not against exchange, but we want to have a more contingent exchange. We should not give North Korea any benefits without them improving some human rights aspects. This should always be the condition for exchange. What we see in Europe is that if one country wants to talk human rights, North Korea will refuse to talk with them and just go to the next country. North Korea plays this perfectly. It is not because the regime is mysteriously evil, but it is just natural for them to do that.

GN: What do you have to say about people who would like to visit North Korea to “experience it for themselves” and get a direct impression?

Sprekels: The thing is, if you go to North Korea today, you do not get a realistic impression, not at all. There is no freedom of movement, and you see only what they want you to see.

Gregor: It is a guided tour, and you are funding the government. It is not a tourist institution that runs the tours. The tourist office is directly linked to the government. All the money you spend on that trip is reinvested to fund programs like the military.

The question is, do you really want to see what is going on there? My personal opinion is that if you want to go to a country to experience its poverty or human rights problems, then it is a little bit like going to a zoo. You also have to keep in mind that you cannot just walk around and approach people and talk to them, even if you do speak Korean. You would endanger people by doing that. If they say something wrong or against the government, you can leave the country, but they have to stay there and face the consequences. So, even if you think it is a good idea to smuggle something into the country or talk about your personal point of view with them, you would be endangering the people living there.

You have to ask yourself why you want to do this trip. Is it just to satisfy your curiosity, the same as you would do on a city trip to London or Paris? Or do you really want to know something about the people there? If so, it is probably better to talk to someone who has left the country. Everything you see there is completely staged for the tourists. I do not think there is a yes or no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you should go there, but you should be aware of all the points before you make a decision.

GN: Getting back to the issue of the regime and how it works, you mentioned there can be no real improvements in North Korea until there is a regime change. Can you expand on that?

Sprekels: There are a lot of dictatorships in the world that have ended. Take for example the regime in Romania under Ceaușescu, who actually had Kim Il-sung as his role model. We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dictatorships quite well. The assumption that so many people have is that all dictatorships are the same, but that of North Korea is different. It is not. We know very much what happens psychologically to dictators that have complete power and are admired by the population. We can predict what North Korea is going to do because we can predict how dictators mentally change. Something you can see in the case of all dictators (Hitler, Stalin, Ceaușescu, etc.) is that over time they get more paranoid about losing their power and more brutal in their mechanisms of oppression. It does not make any sense to say that the North Korean dictatorship should be an exception, and we can prove this by the actions they are taking today. Therefore, regime change is the only thing that will end that cruel human rights situation.

I have to be clear what I mean by regime change. I do not mean that this should be achieved through military action. There is no military option at all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I want to make that extremely clear. It would be extremely horrifying. I do not have the answer on how to achieve such a change, but we definitely need a different approach.

If the current regime were to open up the country, the citizenry would want to have basic rights. Once this happened, the regime would be weakened. This is what we see in every other dictatorship, and this is why the current regime cannot open the country up. It is not an option, and we need to understand and accept that.

GN: Quite a profound and eye-opening viewpoint, I must say. Thank you both for sharing your views on North Korea with the Gwangju News.

Saram’s German-language website contains pictures and contact information, if you would like to learn more, at https://saram-nk.org.

Interview by William Urbanski

The Author

William Urbanski, managing editor of the Gwangju News, has an MA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ultural Diplomacy. He is married to a wonderful Korean woman, always pays cash and keeps all his receipts.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March 2020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서울에서 지내는 동안 굉장히 바쁘셨던데요. 누구를 만나셨습니까?

△니콜라이 스프렉클스 : 저는 북한 탈북자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탈북자들은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거나 크게 말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들과 개인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북한에있는 가족들은 그로 인해 고통을 겪을 수 있으며 수용소로 보내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개인적으로 그들을 만나고 그들의 신뢰를 얻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일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 외에도 우리는 NK Watch 및 ICNK (북한 인권 범죄를 막기위한 국제 연합)와 같은 NGO 및 OHCHR (유엔 인권 고등 판무관실)과 회의를 가졌습니다.

-북한을 국제적으로 접근하는 대한 조언을 주시겠습니까? 무엇이 효과적이고 무엇이 효과가 없습니까? 정권을 다루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니콜라이 스프렉클스 : 일반적으로 제가 한국 사회의 일반 대중과 정당 사이에서 이해를 해보면, 북한을 다루는데 두 가지 극단적인 입장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최대 압력을 적용한다는 아이디어입니다. 다른 쪽은 햇별 정책과 같이 매우 친밀하고 신뢰할 수있는 관계를 구축하려고합니다. 이 두 가지 극단적인 접근 방식은 선거와 함께 몇 년마다 바뀌고 북한은 이를 꽤나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이 두 가지 가능성 사이에서 놀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우리는 한국 정부에게 무엇을 해야 할 지 강의하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는 국제 사회에서 정치 및 시민 단체 (NGO)들이 일상 생활과 인권 상황에서 북한 주민의 개선을 달성하는 데 실질적인 성공을 위한 하나의 전략을 추종하도록 하는 상황을 만들고자 합니다. 공동 전략은 없습니다.

우리는 교류에 반대하지 않지만, 보다 추가적인 교류을 원합니다. 우리는 인권 측면을 개선하지 않으면 북한에 어떠한 이익도 주어서는 안됩니다. 이것은 항상 교류의 조건이어야 합니다. 유럽에서 우리가 본 것은 어떤 국가가 북한에게 인권에 대해 대화를 원한다면 북한은 그 국가와 대화를 거부하고 다음 국가로 넘어간다는 것입니다. 북한은 이것을 완벽하게 해냅니다. 그 정권이 불가사의하게 악해서가 아니라 그들에게는 그렇게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북한을 방문하여 “자신을 위해 체험” 하고 직접적인 인상을 받기 원하는 사람들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고 싶으십니까?

△니콜라이 스프렉클스 : 오늘 북한에 가면 현실감을 전혀 느낄 수 없을 것입니다. 자유롭게 이동할 수가 없고, 당신은 그들이 당신이 보기를 바라는 것만 볼 것입니다.

△프랜치스카 그레거 : 그것은 가이드 투어이며 당신은 북한 정부에 자금 조성을 해주는 것입니다. 투어를 운영하는 관광 기관이 아닙니다. 관광 사무소는 북한 정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당신이 여행에 쓴 모든 금액은 군대와 같은 프로그램에 재투자됩니다. 문제는, 그곳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말 알고 싶습니까? 저의 개인적인 의견은 당신이 빈곤이나 인권 문제를 경험하기 위해 어떤 나라에 가고 싶다면, 그것은 동물원에 가는 것과 조금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당신이 한국어를 할 수 있을지라도 아무데나 걸어 다니거나 누군가에게 다가가서 대화를 나눌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그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릴 것입니다. 만약 그들이 틀린 말을 하거나 정부를 반대하는 말을 한다면, 당신은 나라를 떠나도 되지만, 그들은 그곳에 살아야 하고 어떤 결론에 직면하게 됩니다. 만약 당신이 그 국가에 무언가를 밀수입하거나 그들과 개인적 관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더라도, 그곳에 살고 있는 그들을 위험에 빠뜨릴 것입니다.

당신은 이런 여행을 하는 이유를 자신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런던이나 파리로 가는 도시 관광과 같은 방식처럼 당신의 호기심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입니까? 아니면 그곳 사람들에 대해 정말로 알고 싶습니까? 그렇다면 나라를 탈출한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당신이 보게 될 모든 것은 완전히 관광객용 무대입니다. 저는 당신이 그곳에 가야하는지에 대해 예스 노 대답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결정을 내리기 전에 모든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권 문제와 그 통치 방식으로 돌아가, 당신은 북한 정권이 바뀔 때까지 북한에는 실질적인 개선이 있을 수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더 설명할 수 있습니까?

△니콜라이 스프렉클스 : 세계적으로 많은 독재가 종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 김일성을 롤모델로 했던 차우셰스쿠(Ceausescu)의 루마니아 정권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우리는 독재의 본질을 아주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진 가정은 모든 독재가 동일하지만, 북한만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완전한 권력을 가지고 있고 인민에 의해 존경받는 독재자에게 심리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매우 많이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독재자들이 정신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북한이 무엇을 할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독재자 (히틀러, 스탈린, 차우세스쿠)의 경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권력을 잃는 것에 대해 편집증이 생기고 독재 메커니즘에서 더 잔인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북한의 독재는 예외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으며 오늘날 그들이 하는 행동으로 이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권 교체 만이 그 잔인한 인권 상황을 종식시킬 것입니다. 우리는 정권의 교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해야 합니다. 저는 이것이 군사 행동을 통해 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북한에 대해 군사적 방법은 없습니다. 저는 그것을 매우 명확하게 하고 싶습니다. 그것은 매우 끔찍할 것입니다. 제가 정권 교체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해답은 알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현 정권이 나라를 개방한다면, 시민은 기본적인 권리를 갖기를 원할 것입니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정권은 권력이 약해질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다른 모든 독재에서 볼 수있는 현상으로, 현 정권이 나라를 개방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선택이 아니므로 우리들은 그것에 대해 이해하고 동의해야 합니다.

대단히 심오하고 눈이 번쩍 뜨이는 관점이네요. 북한에 대한 당신의 견해를 Gwangju News와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 보려면 '사람'의 독일어 웹 사이트에 사진과 연락처 정보을 참고하십시오.

https://saram-nk.org

글·사진=William Urbanski (윌리엄 어반스키)

번역=유연우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작가

광주 뉴스 편집장인 윌리엄 어반스키 (William Urbanski)는 국제 관계 및 문화 외교 분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는 훌륭한 한국 여성과 결혼했으며, 항상 현금을 지불하고 모든 영수증을 보관합니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20년 3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에 처음 발행한 대한민국 최초의 영문 대중월간지입니다. 매월 발행되는 각 호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지역민의 활동과 지역사회의 이야기 및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습니다. (www.gwangjunewsg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