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djo Untung

2020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Awardee 베조 운퉁 2020 광주인권상 수상자

2021-02-10     데비드 쉐퍼
Bedjo Untung testifying before the international People’s Tribunal at the Hague.

The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is an award given by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to an individual, group, or institution - domestic or international - for their work in furthering human rights, democracy, and peace. The award has been given annually since 2000 to commemorate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f May 1980. It has been announced that this year’s award goes to Bedjo Untung of Indonesia. While planning his May 18 visit to Gwangju to receive the award, the Gwangju News was fortunate to have the opportunity to do this interview with Mr. Bedjo. (Due to the pandemic, Mr. Bedjo’s visit to Gwangju has been set back to October, the occasion of the World Human Rights Cities Forum.) -Ed.

Gwangju News (GN): Congratulations, Mr. Bedjo, on being the 2020 recipient of the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Though I am sure this is not your first accolade, how does receiving this prize for human rights make you feel?

Mr. Bedjo Untung: Of course, I am happy to receive the 2020 Gwangju 5.18 Award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fact, I do not feel worthy of this award because the research, truth-telling, and recording of victims killed and detained, and their mass graves, are the work of victims and volunteers. Without the support of the victims, this great work would not have been successful. So, this award is an award for all victi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especially the victims of 1965-1966. Therefore, this award is dedicated to the victims and volunteers of the YPKP 65 [1965 Murder Victims Research Foundation] who have worked hard to search for and record mass graves throughout Indonesia.

For me, this award is a form of recogni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the people of Gwangju, for the YPKP 65’s efforts to obtain justice for victims of the Indonesian tragedy of 1965. It is my hope that this award from the Gwangju 5.18 Memorial Foundation will inspire and motivate nations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in Asia, Korea, and Indonesia.

GN: You were jailed for the entire decade of the 1970s in Indonesia. Can you tell us what lead to this imprisonment and what conditions you had to deal with during that time?

Bedjo Untung: When the 1965 tragedy occurred, I was 17 years old and a third-year student in the High Teacher Education School. At the time, I was arrested for being a member of the IPPI (Indonesian Student Youth Association), an independent student organization, not affiliated with any political party, focusing its activities on arts, culture, sports, and joint learning. But the Suharto regime considered it as an affiliated leftist organization of the Indonesian Communist Party (IPPI). The IPPI was indeed a student organization that supported President Sukarno’s government policies to build a just and prosperous Indonesia, create social welfare for all people, and respect human rights and democratic values as well.

At the time, my father was also arrested, detained, and finally exiled to Buru Island for 14 years for supporting President Sukarno. My uncle was killed and buried in an unknown place. Suharto’s military regime, in an effort to overthrow President Sukarno and strengthen Suharto’s military rule, carried out acts of destruction to root out all forces that supported President Sukarno and members of the Indonesian Communist Party. According to Suharto’s right-hand man, 500,000-3,000,000 people were killed in the 1965-1966 genocide. It was the most brutal massacre in the 20th century, following World War II.

I was tortured, forced to be naked, and then received electrical shocks to force a confession from me for things that I did not do. I was put in a narrow cell. Every night many prisoners were tortured until they were covered in blood, and they were not given proper food. I suffered from malnutrition due to lack of food and could not walk. I was moved to a larger prison, Salemba Prison in Jakarta, and later, I was moved to a forced labor camp in Tangerang, 26 kilometers from Jakarta. We were forced to work from 5 a.m. until sunset. Due to lack of food, we prisoners had to find our own food by consuming any animals found in the forced labor area, including lizards, snakes, mice, snails, crickets, insects, caterpillars, and leaves that grew in the camp. I was detained for nine years from 1970 until my release in 1979.

GN: You are one of the founders of the 1965 Murder Victims Research Foundation (or YPKP 65). Please tell us what the mission of this foundation is and about the 1965-1966 events in Indonesian history that have led to the creation of the foundation.

Bedjo Untung: The YPKP 65’s vision and mission is to reveal the truth, uphold justice, strengthen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fight for justice for victi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especially victims of the 1965 tragedy. The humanitarian tragedy of 1965-1966 began with a planned coup by a group of right-wing army generals against President Sukarno to coincide with the celebration of Indonesia’s Armed Forces Day on October 5, 1965. The threat of a coup by the Council of Generals was met with opposition from a group of progressive-minded officers who formed the Revolutionary Council.

In the early hours of the morning of October 1, 1965, the abduction and arrest of six high-ranking officers took place by President Sukarno’s elite guard with the intention of protecting President Sukarno from the threat of a coup by the Council of Generals. Military authorities then spread hate propaganda and false news claiming that the arrested generals were killed in the early hours of October 1 by the PKI and their bodies mutilated by members of a women’s organization that fought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This ignited the emotions of the masses to carry out retaliatory killings of those accused of being communists.

The military used the fabricated story of the killing of generals as a pretext for mass murders. It is not surprising that Bertrand Russell, a liberal figure from England, in 1966 said that “in four months, five times as many people died in Indonesia as in Vietnam in twelve years.”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1965-1966 tragedy, which is still dark and full of mystery, the YPKP 65 was born to expose the lies made by Suharto’s fascist dictatorial regime so that the dark, painful, humanitarian crimes that killed millions of innocent people would be clearly revealed. Let the younger generation, the next generation, learn the true history so as not to repeat the same crimes in the future.

GN: What do you consider to be the greatest accomplishments of the YPKP 65?

Bedjo Untung: I cannot say this is a major achievement of the YPKP 65 because the achievement desired by the victims is the restoration of the good names of victims and the immediate legal proceedings against human rights criminals. However, since the fall of the Suharto dictatorial regime, there has been some important progress: (a) the 1999 law concerning human rights and the 2000 law concerning the ad hoc human rights court, which requires the state to provide protection and respect for victi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justice for victims; (b) also, the 2006 law and its revision in 2014 concerning protection of witnesses and victims in which victims of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are entitled to protection and to medical and psychosocial services from the state; and (c) a very special achievement of the struggle by the victims, the YPKP 65 activists, and civil society in Indonesia has been the announcement of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team on the 1965-1966 tragedy that the violence was a crime against humanity and recommended that the attorney general of Indonesia immediately conduct an investigation and bring the perpetrators to justice.

GN: I have heard that you traveled to The Hague in 2015 to testify at the International People’s Tribunal. Would you tell us what testimony you made and what the outcome of that tribunal has been?

Bedjo Untung: In front of the panel of judges of the International People’s Tribunal at The Hague, who heard the case of the Indonesian government’s alleged involvement in the crimes of the 1965-1966 tragedy, I testified based on what I had experienced as a student who was detained, tortured, and forced into hard labor in a prison camp for nine years without legal proceedings.

I also reported on the YPKP 65’s discovery of 116 mass grave locations as well as places of detention and torture carried out by the military. That was in 2015; the locations of 356 mass graves have now been discovered. I also reported of the excavation of one of the mass graves and the collection of victims’ testimonies.

An important result of the tribunal was proof of involvement of the military chain of command in the 1965-1966 tragedy. The tribunal finally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should express its apologies to the victims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mmediately hold a human rights court to bring the human rights criminals to justice to avoid recurrence of the same type of crimes in the future.

Bedjo Untung in a rally urging the punishment of Suharto for the 1965 genocide.

GN: How has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Indonesia changed since the three decades of authoritarian rule by Suharto (1967-1998)? What do you foresee for the future of human rights in Indonesia?

Bedjo Untung: The fall of the Suharto dictatorship was greeted with euphoria by the people as it was thought to have ended the repressive Suharto era. New legislation in favor of civil society began to be formed. An important advance when Abdurrahman (Gus Dur) became president was the freedom to embrace religion and faith. Gus Dur even apologized to the victims of the 1965 human rights tragedy.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ct of 2004 was also established. However, after the replacement of President Abdurrahman by Megawati, Soesilo Bambang Yudhoyono, and Joko Widodo, human rights enforcement became almost stagnant.

The keywords are “political will” and “the ability to execute it.” The legal umbrella, the law, already exists; it is only courage that is required. The investigation of human rights crimes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s to be carried out by the attorney general. Human rights activists, researchers, and historians have provided sufficient evidence and facts about the existence of crimes against humanity committed by the state.

The younger generation has begun to open its eyes to the true history that has been covered up by the dictatorship of Suharto. Even though we are aware of how difficult it may be to uphold human rights and democracy in the future, we remain optimistic because the legal instruments for law enforcement are in place. There is still a glimmer of hope that the condition of human rights will be better in the future.

GN: The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was formed to commemorate the May 18 Gwangju Uprising, a pro-democracy struggle in our city. Can you draw any parallels or striking differences between this struggle and those that you have been involved in?

Bedjo Untung: South Korea and Indonesia have a similar historical background. South Korea had the dictatorships of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while Indonesia had General Suharto, who ruled authoritatively for three decades. I can say that the Korean people, especially the residents of Gwangju, who have fought bravely and sacrificed their lives against the dictatorial regime of Chun Doo-hwan, are also our best friends. We together have the same passion and spirit to fight against dictatorial regimes and build a nation that respects human rights and democracy.

The difference is that, in Korea after the 5.18 Gwangju Movement, national leadership emerged that upheld the values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continued to promote never again returning to authoritarian rule. Meanwhile, in Indonesia, none of the human rights criminals have appeared in court; even now many generals involved at the time of Suharto’s dictatorship are still holding strategic positions in the palace circle. In Indonesia, none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s of the 1965-1966 genocide have been legally resolved.

GN: Is there anything else you would like to say to the citizens of Gwangju and the people of South Korea?

Bedjo Untung: At this opportunity, on behalf of the 1965 victims, volunteers, and the YPKP 65 Foundation,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for the solidarity and support of the people of Gwangju and South Korea so that we can continue our research and truth-telling as well as continue the struggle for justice for human rights victims, to whom I dedicate this award.

Interviewed by David Shaffer.

Photos courtesy of Bedjo Untung.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June 2020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Bedjo Untung testifying before the international People’s Tribunal at the Hague.

광주인권상은 5·18 기념 재단에서 인권,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를 위해 힘쓰는 국내 또는 해외 개인, 단체, 혹은 기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 상은 1980년 5월에 일어난 광주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해서 2000년부터 매년 수여된다. 올해는 인도네시아 베조 운퉁(Bedjo Untung)이 수상한다고 발표되었다. 상을 받기 위해서 5월 18일 광주 방문을 준비하는 베조 씨와 인터뷰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게 되었다. (팬데믹에 의해 베조 씨의 광주 방문은 세계인권포럼이 열리는 10월로 미루어졌다.) - 편집자

광주뉴스 (GN): 2020 광주인권상의 수상자가 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베조 씨. 상이 처음은 아니겠지만 인권상을 수상하신 기분은 어떠신지요?

베조 운통: 민주주의와 인권 선양을 위한 광주 5·18 상을 수상하게 되어서 당연히 기쁩니다. 사실, 죽음이나 수감을 당한 피해자들과 그들이 묻힌 암매장지에 대한 조사, 진실, 그리고 기록은 유가족들과 자원봉사자들의 업적이기 때문에 제가 이 상을 받아도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유가족들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이 위대한 일은 성공적이지 못했을 겁니다. 이 상은 인권 피해자들, 특히 1965~1966년의 피해자들을 위한 상입니다. 그러므로 이 상은 피해자들과 암매장지를 찾고 기록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전역을 수색한 YPKP 65 [1965학살 피해자 연구 재단] 봉사자들에게 돌리고 싶습니다.

제게 이 상은 1965년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난 비극에 대해 정의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YPKP 65에 대한 세계의, 특히 광주의 일종의 인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 5·18 기념 재단에서 수여한 이 상이 세계 여러 나라, 특히 아시아의 한국과 인도네시아 사람들에게 희망과 동기를 부여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GN: 베조 씨는 1970년대 전체, 그러니까 10년 동안 수감되셨습니다. 수감되기까지의 과정과 수감 생활 중 겪어야 했던 일들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으십니까?

베조 운통: 1965년의 비극이 일어났을 때, 저는 17살이면서 고등사범학교 3학년이었습니다. 당시 저는 특정 정치 정당과 관련 없이 예술, 문화, 스포츠와 접합 학습에 초점을 맞춘 독립적인 학생 단체인 IPPI(인도네시아 학생 청년회)의 회원이라는 이유만으로 체포를 당했습니다. 수하르토 정권은 인도네시아 공산주의 정당(IPPI)에 연계된 좌파 단체라고 여겼습니다. 정말 IPPI는 수카르노 대통령 정부의 정책들이 정의롭고 번영하는 인도네시아를 만들고, 모든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을 펼치며, 인권과 민주주의적 가치를 존중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지지하는 학생 단체였습니다.

당시 저의 아버지도 수카르노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체포, 구속, 그리고 14년간 부루 섬으로 망명까지 당했습니다. 제 삼촌도 죽임을 당하고 비밀리 묻혔죠. 수카르노 대통령을 몰아내고 무력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수하르토의 군사 정권은 수카르노 대통령과 인도네시아 공산당원들을 지지했던 모든 세력을 뿌리뽑기 위해 폭력을 행사했습니다. 수하르토의 최측근에 의하면, 1965~1966년 학살에서 50만에서 3백만명의 사람들이 학살되었다고 합니다. 세계2차대전 뒤의 20세기에서 가장 잔인한 대학살이었습니다.

저는 고문을 당하고, 강제로 벌거벗기고, 전기 고문을 받으며 제가 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자백을 해야 했습니다. 작은 독방에 갇혔습니다. 매일 밤마다 투옥된 사람들이 온 몸이 피에 뒤덮일 때까지 고문을 당했으며, 제대로 된 음식도 제공받지 못했습니다. 음식이 부족한 관계로 저는 영양실조에 걸렸고, 걷지도 못했습니다. 자카르타에 있는 더 큰 감옥인 살렘바 교도소로 옮겨졌고, 그 후 자카르타에서 26 킬로미터 떨어진 곳인 탕에랑에 있는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습니다. 우리는 새벽 5시부터 해질녘까지 노동을 해야했습니다. 음식이 부족해 수용소 근방의 동물들, 도마뱀, 뱀, 쥐, 달팽이, 귀뚜라미, 애벌레와 수용소에 자라는 나뭇잎과 같은 것들을 스스로 찾아 먹어야만 했습니다. 저는 1970년부터 1979년 석방 때까지 9년간 구금되었습니다.

GN: 베조 씨는 1965 학살 피해자 수사 재단(혹은 YPKP 65)의 설립자 중 한 명이십니다. 이 재단의 목적은 무엇이며, 이 재단의 설립까지 이끌게 된, 1965~1966년에 인도네시아에서 벌어진 일들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베조 운통: YPKP 65의 비전이자 목표는 진상을 규명하고, 정의를 고취하며, 인권과 민주주의를 강화시키고 특히 1965년의 비극의 피해자들을 포함한 인권 침해의 희생자들을 위한 정의를 위해 싸우는 것입니다. 1965~1966년의 인도주의적인 비극은 수카르노 대통령을 반대하는 우파 장성들이 1965년 10월 5일이었던 인도네시아 국군의 날 경축식과 겹치게끔 계획한 쿠데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장성의회가 꾸린 이러한 쿠데타의 위협은 진보적 성향을 가진 혁명 의회의 장교들의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1965년 10월 1일 이른 아침에, 장성의회에 의한 쿠데타로부터 수카르노 대통령을 보호한다는 명분을 가진 그의 가장 뛰어난 경호원들에 의해 ㅆ 6명의 고위 관료들이 납치 및 체포되었습니다. 그 후 군사 정권은 혐오를 담은 선전을 하였는데 체포된 장교들이 10월 1일 아침에 PKI에 의해 사살을 당했으며, 그들의 시신은 여성 해방을 위해 싸우는 여성 단체 회원들에 의해 모조리 토막났다는 가짜 뉴스를 퍼뜨렸습니다. 이는 대중의 심리를 자극하여 공산주의자로 의심받는 이들에 대한 보복적인 사살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군대는 장성들의 죽음에 대해 조작한 이야기를 대학살의 명분으로 삼았습니다. 영국의 자유주의 인물인 버트런드 러셀이 1966년에 “고작 넉 달 만에 인도네시아에서는 12년 동안 베트남에서 일어났던 죽음의 5배가 발생했다”라고 한 말이 놀랍지 않을 정도입니다.

아직 풀지 못한 문제가 많고 어둡기만 한 1965~1966년 비극의 역사적 바탕에서 YPKP 65는 수하르토의 파시즘, 독재 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거짓말들을 드러내어, 수 만명의 잘못 없는 국민들의 죽음을 초래한, 어둡고, 고통스러우며 비인도주의적인 범죄들을 밝히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다음 세대, 젊은 세대들이 진실된 역사를 배워 미래에 똑같은 범죄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죠.

GN: YPKP 65의 가장 큰 성과를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베조 운퉁: 이러한 것들이 YPKP 65의 주된 성과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피해자들이 원했던 것은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인권 범죄인에 대한 즉각적인 법적 절차를 밟는 것이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수하르토의 독재 정권이 끝나자, 몇가지 중대한 발전이 있었습니다. (a) 1999년 인권과 관련된 법과 2000년 국가에서 인권 침해 피해자들을 위해 보호와 존중과 정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특별 인권 법원에 관한 법 제정, 그리고 (b) 국가가 모든 인권 침해 피해자들을 보호하고 의료 및 정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는, 증인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2006년 법 제정과 2014년 개정, (c) 피해자, YPKP 65 운동가들과 인도네시아 시민 사회의 투쟁으로 얻은 아주 특별한 성과는 1965~1966년 비극에 대한 조사팀의 발표였습니다. 가해진 폭력은 인류에 대한 범죄이며 인도네시아의 법무부 장관은 당장 조사를 실시하고 가해자들을 법정에 세워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Memorial at the mass graves in Widuri, Central Java, for victims of the 1965~1966 genocide.

GN: 2015년에 증언을 하기 위해서 국제인민재판소가 있는 헤이그를 찾으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증언을 하셨으며, 그 재판의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알려주세요.

베조 운통: 헤이그의 국제인민재판소 판사 패널 앞에서 제가 학생으로서 법적 절차도 없이 겪었던 9년 간의 구금, 고문, 그리고 수용소에서의 고된 강제 노동에 대해 증언했습니다. 그들은 1965~1966년 비극과 인도네시아 정부의 관련 의혹도 들었지요. 또 저는 YPKP 65가 발견한 116개의 대규모 묘지와 군대가 행한 구금과 고문이 일어났던 장소들에 대해서도 보고했습니다. 그때는 2015년이었어요. 현재는 356개의 대규모 묘지가 발견된 상황입니다. 저는 대규모 묘지 중 한 개의 발굴과 피해자들의 증언 모음도 제시했습니다.

재판의 중요한 결과 하나는 1965~1966년의 비극에 군사 지휘부가 개입한 증거입니다. 재판부는 최종적으로 인도네시아가 인권침해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고 즉시 인권 재판을 열어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가해자들이 심판 받게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GN: 30년간의 수하르토 정권(1967~1998) 후, 인도네시아의 인권 상황은 어떻게 변했나요? 인도네시아 인권의 미래를 어떻게 보십니까?

베조 운통: 수하르토 독재 정권의 종말은 사람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습니다. 억압적인 수하르토의 시대가 끝났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그리고 시민 사회 지향적인 새로운 법이 제정되기 시작했습니다.

압두라만(거스 더)이 대통령이 되었을 때, 중대한 진전은 바로 종교와 신앙의 자유였습니다. 심지어 거스 더는 1965년의 인권 비극 피해자들에게 사과까지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04년 진실화해를 위한 위원회 법도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메가와티,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그리고 조코 위도도에 의해 압두라만 대통령이 교체된 후, 인권 보장은 거의 정체되기 시작했습니다.

키워드는 “정치적 의지”와 “실행 능력”입니다. 법률적인 우산, 법은 이미 존재합니다. 필요한 것은 용기일 뿐입니다.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범죄 수사는 법무장관이 맡기로 했습니다. 인권운동가, 연구자, 역사가들은 국가가 저지른 비인간적인 범죄의 존재에 대해 충분한 증거를 제공했습니다.

젊은 세대는 수하르토 정권이 감춰왔던 진짜 역사에 눈을 뜨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켜나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울지 알면서도 법을 집행할 법적인 도구들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권 상황이 앞으로 더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GN: 광주인권상은 5월18일 광주민주항쟁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 도시에서 일어난 친민주주의 투쟁이죠. 이런 투쟁과 본인이 직접 참여했던 것 사이에 비슷하거나 확연히 다른 점이 있습니까?

베조 운통: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는 비슷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박정희와 전두환의 독재가 있었고, 인도네시아에는 30년 동안 수하르토 장군의 독재가 있었습니다. 저는 한국 사람들, 특히 전두환의 독재 정권에 맞서 싸우고 목숨을 바친 광주 사람들이 우리와 절친한 사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독재 정권에 대항하고 인권과 민주주의를 존중해주는 국가를 만들어가는 것에 대한 동일한 열정과 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차이점은 한국에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인권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며 다시는 전제 통치로 절대 돌아가지 않겠다고 하는 국가 지도자가 나타났다는 겁니다.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인권 침해 가해자들이 한 명도 재판을 받지 않았고, 수하르토 독재 시기에 참여했던 많은 장군들이 지금도 여전히 정계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1965~1966년 대학살 때 일어났던 인권 침해 어떤 것도 법적으로 해결되지 못했습니다.

GN: 광주 시민들과 한국 사람들에게 더 하고 싶은 말이 있으신가요?

베드조 운통: 이 기회에 1965년의 희생자들, 자원봉사자들, 그리고 YPKP 65재단을 대표하여, 광주시민과 대한민국 국민들의 연대와 지원에 감사함을 표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인권 피해자들을 위하여 조사와 진상 규명을 계속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의의 투쟁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인권 피해자들에게 이 상을 바칩니다.

인터뷰=데비드 쉐퍼

사진 제공=베조 운통

*이 글은 광주뉴스 2020년 6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에 처음 발행한 대한민국 최초의 영문 대중월간지입니다. 매월 발행되는 각 호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지역민의 활동과 지역사회의 이야기 및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습니다. (www.gwangjunewsg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