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ness to May 18 Dr. Paul Courtright
In 1979, a young Paul Courtright found himself in Korea, working as a Peace Corps volunteer just outside of Gwangju. His work-related travel took him through Gwangju in the early days of the Gwangju Uprising in 1980, later to be known as the Gwangju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Eager to witness more of what was unfolding in the city, Paul bicycled back into Gwangju, where he was astonished at what was transpiring before his eyes! Forty years later, when Paul was now Dr. Courtright, he recorded his May 18 experiences in his book, Witnessing Gwangju. In advance of his planned visit to Gwangju, the Gwangju News was fortunate to be able to conduct this interview with Dr. Paul Courtright. -Ed.
Gwangju News (GN): Thank you, Dr. Courtright, for agreeing to do this interview with the Gwangju News. You were a young U.S. Peace Corps volunteer in Korea in the 1979–1981 period, part of one of the last groups in the Peace Corps’ fifteen-year history in this country. Can you tell us what motivated you to join the Peace Corps and come to Korea?
Dr. Courtright: I finished university in the U.S. in 1978, and I knew that I wanted to return overseas. I had spent part of my youth overseas because of my father’s work in Iran, Taiwan, and Australia, and I figured that, ultimately, my career would be outside of the U.S. The Peace Corps seemed to be a natural fit for me. When the Peace Corps offered me Korea and work in leprosy, I said “yes.” I knew nothing about leprosy, but after years of living in Taiwan and studying Chinese, I felt that I wanted to be somewhere in East Asia. I was particularly keen to learn a new language and a new culture, and so, Korea was a perfect choice.
GN: The Peace Corps was the “perfect choice.” So, what type of work did you do during your two years of Peace Corps service? I believe you were stationed in Jeollanam-do for the entirety of you time here.
Dr. Courtright: After my Peace Corps training, I was assigned to Naju Health Center in Jeonnam. During the first few months in Naju, I realized that there was little to do at the health center itself but a lot to do at the two leprosy resettlement villages, which were at opposite ends of the county. It was difficult to get back and forth between them, even on my bike on the back roads. I made the request to live in the largest village, Hohyewon (호혜원), and my friend Tim Warnberg said that he would provide some support to the other village. I moved in November 1979 to Hohyewon, not far from Nampyeong, which is on the outskirts of Gwangju, so I was in and out of Gwangju frequently. Among other things, it had the closest bathhouse. Gwangju became my “second home.” During this time, I spent most Mondays at the Yeosu Aeyang Hospital (여수 애양병원) learning about the eye complications of leprosy.
I lived and worked in Hohyewon until October 1980; my father had passed away, and I returned to the U.S. for a brief period. There was a new group of Peace Corps volunteers coming in, and I asked one of them to move to my village. When I returned to Korea in December, I started a new project: visiting almost all the leprosy resettlement villages in the country with my Korean co-worker to examine people for eye diseases. So, during the remainder of 1980 and until the Peace Corps closed down in late 1981, I was “on the road,” traveling throughout Korea, from village to village, focused on providing eye care.
GN: As you were not based in Gwangju, how is it that you got caught up in the Gwangju Uprising in May of 1980? Can you tell us what you witnessed and what you did upon seeing the violence that was taking place?
Dr. Courtright: On May 18, I was hiking near my village. I had no idea about what was happening in Gwangju that day. My village leader told me, when I got back that evening, that “something bad had happened.” The following morning, I was taking two of my patients to the Yeosu Aeyang Hospital for eye surgery, and we changed buses in Gwangju. That was when I first saw what was really going on in Gwangju. I was shocked when I saw a young man being brutally beaten by two soldiers at the bus station. When I came back to Gwangju that evening, my bus stopped a mile or so before the bus station because of all the debris on the road and the evidence of conflict. I spent that night and the following morning (Tuesday) in Gwangju and saw the uprising starting to emerge. I was back in my village Tuesday night and in Nampyeong on Wednesday. On Thursday, I rode my bike into Gwangju, likely the last person to get into Gwangju on that road. For the next few days, I was in Gwangju unable to get out because of the military blockade.
GN: Luckily, those were some of the calmer days of the uprising. I hope you will be able to share the details in a talk at the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during your planned trip for later this year. Next is a two-part question: How did your time in Korea in general, and your witnessing the Gwangju May 18 Uprising in particular, impact your life after leaving Korea?
Dr. Courtright: My time in Korea had a huge impact on my life, as I think it does to most foreigners. When the Peace Corps closed in Korea in late 1981, I was not ready to leave. I had grown to love many aspects of the country: the people, the food, the culture, and the countryside – but certainly not the military government of the time. I taught at Seoul International School for the next year, so I did not return to the U.S. until the end of 1982.
Witnessing the events in Gwangju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 however, at the time, I really did not understand what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The anger, pain, and defiance that people in Gwangju demonstrated was both distressing and inspirational. I wanted to remain in Korea, but I knew my status was fragile: The military government was furious with us because of our work as translators for the foreign reporters and photographers. For a long time afterwards, I tried to push it to the back recesses of my mind – for my own mental state and because I felt there was nothing I could do. Instead, I immersed myself fully in my work.
GN: I think you must have had a fascinating career in public health. Can you highlight some of the places you worked at and the things you have done?
Dr. Courtright: After completing my master’s degree in public health at Johns Hopkins, I moved to San Francisco to work at UCSF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During this time, I spent a year working in Egypt; my time there was the foundation for my doctorate at UC Berkeley. I have Korea to thank for putting me on my career pathway. Because of my time in Korea, I becam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epidemiology of eye diseases, and my entire career has focused on this. After finishing my degree, I got married, and my wife and I moved to Ethiopia for one year, followed by four years in Malawi, and seven years a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 Canada. I had decided a long time ago that I had limited interest in a U.S.-based academic career. Instead, I was interested in applied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addressing real-world needs. We returned to Africa in 2001, and my wife and I established the Kilimanjaro Centre for Community Ophthalmology (www.kcco.net) in Moshi, Tanzania. Our training and research facility worked with eye care professionals from throughout Africa. It was challenging but fascinating – we even started partnerships with two Korean organizations to expand their support for the prevention of blindness in Africa. After over 20 years in Africa, I handed over the reins to a new executive director in 2016, and we moved to San Diego. Besides the fascinating experience of working in many countries in Africa, I was also glad that our two sons grew up in Africa. They are both back working in Africa after finishing their degrees.
GN: You have been to so many places and done so many things. And on top of all that, you have recently published a book on 5.18, Witnessing Gwangju. Why did you decide to undertake this book-writing project, and why did you wait until 40 years after the event to do it?
Dr. Courtright: I wanted to write my story about what I experienced in Gwangju, but I waited. Why? First, there were other foreigners, particularly Tim Warnberg, whom I felt were more capable to write about our experiences. Second, I still found it emotionally draining to think back to that time and decided it was better to wait. Third, the rest of my life took over: my work in Africa and elsewhere, and my family. After Tim died, I decided to write – but only when I had the time, when I retired.
So, why did I want to write this book? I felt it was important for Americans to understand this event, how the American government responded to it, and how this event impacte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 thought that it would best be done as a memoir. When I visited Korea in May 2019, it became clear to me, after talking with many of my Korean friends, that Koreans also wanted to hear a foreign perspective of the event. I was told that, as a foreigner, I was considered independent – I was not from Gwangju or other places in the country, and my perspective was not biased toward any point of view. So, I felt that it was also good to have a Korean translation of my book. When I was in Seoul, I was shocked that there were still people who believed the Chun narrative. Incredible!
GN: Yes, I can empathize with the “emotionally draining” part. So, tell us how you went about doing the research required for such a book-length project? I suspect that if I were to reach back and dust off my cranial archives of 5.18 memories, I would be lucky to find enough detail for a short essay.
Dr. Courtright: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me to write my memoir if I had not kept extensive notes detailing every single day during the uprising. My notes captured not just what I saw, but also how I felt, and what I heard. I had to recreate the dialogue as best as I could. It was important for me to visit Gwangju in 2019 to view a few places, for example, the provincial office building, to remind myself of the interior layout. I wanted to make sure that I captured the sense of the place accurately. I also used some letters I had written to friends at the time, which I had photocopied before posting because I realized that they included a lot of information.
Why did I write everything down in May 1980? Having it written down was the only way that I could sleep at night. The events of each day were traumatic, and I found it difficult to sleep unless I had written everything down. That allowed me to be confident that nothing was lost – it was captured on paper and did not have to bang around in my brain all night.
GN: What perspective did you take in your account in Witnessing Gwangju? What do you hope that the reader takes away from the account of 5.18 that you present?
Dr. Courtright: I decided early on that I would only write about what I had observed, what I had heard, and what I had felt during those days, rather than describe the perspectives of others. There are academic articles about the uprising, and it was not necessary for me to repeat what had already been written about specific events. Although I am an academic, my field is not Korean political history, and I did not feel qualifie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uprising in Korean history or in America's interaction with Korea. I was only qualified to present what I had experienced, and I hoped that it would give a perspective that may not have been presented in the past. Since my main audience was American, it was also important to present my life in Korea – it helps the readers to imagine themselves in my shoes. I always wondered “what if I…,” so I hope readers consider what they might have done when presented with the same situation. Of course, I also wanted the readers to appreciate my fondness for Korea.
GN: It has been a year now since Witnessing Gwangju has come out. What kind of reception has it received? And there is a Korean translation of Witnessing out also, “5.18 – Pureun nun-ui jeungin” (5.18-푸른 눈의 증인). Is it also enjoying a wide readership?
Dr. Courtright: As you might imagine, many former Korea Peace Corps volunteers are interested in reading Witnessing Gwangju. I have given several talks to Korean studies classes at U.S. and Canadian universities. I hope that people with an interest in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will read my book, but that requires marketing -which is not my strong point. Interestingly, the Korean translation of Witnessing Gwangju has sold many more copies than the English version. There will be a re-release of the Korean version with additional pictures. Hollym Press has released the English version as an ebook just recently, which should make it more accessible for people in other countries, too.
GN: English, Korean, and now an ebook version-the book appears to be doing extremely well, and gaining in popularity! Well, have you looked into a crystal ball, read tea leaves, or had your saju read lately? Can you tell us what might be in store for Paul Courtright in the future?
Dr. Courtright: I tend to avoid looking at crystal balls. That said, I expect that I will continue to support the elimination of trachoma as a public health problem in Africa. Although semi-retired, I work with the Ministries of Health and NGO partners in about 20 countries to help them plan their pathway to elimination – a few, like Malawi, are almost there! I have a team of eleven African technical advisors who now provide on-the-ground support for these countries instead of me. In San Diego, I am involved in a number of volunteer activities, which I enjoy. Visiting with friends from Korea and eating good banchan with soju or makgeolli will always remain in my future, and a visit to Korea is being planned for later this year.
GN: Ah, soju and makgeolli conjure up memories of times gone by -times that I am sure you have captured in your book. Thank you, Paul, for this interview, and we look forward to your visit to Gwangju this year.
Interviewed by David Shaffer, Gwangju News editor-in-chief.
Photographs courtesy of Dr. Paul Courtright.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May 2021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5·18의 증인 폴 코트라이트 박사
인터뷰: 데이비드 쉐퍼(David Shaffer) 광주뉴스 편집장
사진: 코트라이트 박사 제공
1979년 젊은 날의 코트라이트는 한국의 광주 외곽지역에서 평화봉사단(Peace Corps) 자원활동가로 일하고 있었다. 업무와 관련된 출장으로 그는 1980년 광주 항쟁, 나중에 ‘5·18 광주민중항쟁…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는 그 항쟁의 초기를 겪게 된다. 광주에서 펼쳐지는 일들을 목격하고 싶었던 폴은 자전거를 타고 광주로 돌아오게 되고 눈앞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놀란다. 40년이 지나 이제 코트라이트 박사가 된 그때의 폴은 자신의 5·18 경험을 Witnessing Gwangju(한글 제목: 5·18 푸른 눈의 증인)이라는 책에 담았다. 예정된 광주 방문 전에 미리 폴 코트라이트 박사와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광주뉴스에게는 행운이었다. ( 편집자)
광주뉴스: 광주뉴스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박사님은 1979년부터 1981년 사이 미국의 평화봉사단에 젊은 자원봉사자로 한국에 체류 중이셨고 봉사단의 15년 한국 역사의 마지막 그룹에 속해 있었습니다. 어떤 이유로 평화봉사단에 참가하고 한국에 오게 되셨는지 얘기해 주실 수 있을까요?
코트라이트 박사: 저는 1978년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했고 스스로가 외국으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이란, 대만, 오스트레일리아 근무로 유년시절의 어느 정도를 외국에서 보냈던지라 결국은 미국 밖에서 하는 일을 찾게 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미국 평화봉사단은 제게 자연스럽게 딱 맞는 자리로 보였죠. 봉사단이 한국과 한센병 관련 근무를 제시했을 때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한센병에 대해서 아는 것은 하나도 없었지만 대만에서 살았던 경험과 중국어를 몇 년 동안 계속 공부하고 나서는 동아시아 어딘가에 있고 싶다고 느꼈습니다. 특히 새로운 언어와 문화를 공부하는 것을 좋아했었던지라 한국은 완벽한 선택이었죠.
광주뉴스: 평화봉사단이 완벽한 선택이었네요. 그럼 2년간의 봉사 기간 동안 어떤 종류의 일을 하셨었나요? 모든 기간을 전라남도에서 계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코트라이트 박사: 평화봉사단 교육 이후 전남 나주 보건소에 발령받았습니다. 나주에서 처음 몇 달 동안 실제로 보건소 자체에서 할 일은 거의 없었지만 반대편 끝에 위치한 두 개의 한센병 재정착 마을에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됐습니다. 시골길을 왔다 갔다 하는 것은 자전거를 타더라도 힘들었었습니다. 가장 큰 마을인 호혜원에서 살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1979년 11월 광주 변두리의 남평에서 멀지 않은 호혜원으로 이사했습니다. 이제 광주에 자주 왔다 갔다 했었죠. 그중에서도 광주에 가장 가까운 목욕탕이 있었어요. 광주는 저의 제2의 집이 되었죠.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월요일은 여수 애양병원에서 한센병의 눈 합병증에 대해 배우면서 보냈습니다.
1980년 10월까지 호현원에서 일하면서 거주했습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잠깐 미국에 돌아갔었죠. 새로운 평화봉사단 활동가들이 들어오게 되고 그중 한 명에게 제가 사는 마을로 와달라고 했습니다. 12월 한국에 돌아왔을 때 저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지요. 한국에 있는 거의 대부분의 한센병 재정착지를 한국인 동료와 방문하며 안질환을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1980년 남은 기간과 1981년 말 평화봉사단이 종료될 때까지 항상 눈 관리를 제공하는데 집중하며 한국 전역의 마을에서 마을로 이동 중이었습니다.
광주뉴스: 광주에 적을 두고 있지 않았는데, 어떻게 1980년 5월 광주항쟁에 휩쓸리게 된 거죠? 무엇을 목격했는지 폭력이 행해지는 것을 보고 어떻게 했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코트라이트 박사: 5월 18일 동네 근처를 걸어 다니고 있었습니다. 그날 광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혀 알지 못했죠. 저녁에 돌아왔을 때 이장님이 무언가 안 좋은 일이 일어났다고 말해줬어요. 다음 날 환자 중 두 명을 여수 애양 병원으로 눈 수술을 위해 데려가고 있었고 광주에서 버스를 갈아탔습니다. 그때 처음으로 광주에서 정말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게 됐습니다. 버스정류장에서 두 명의 군인에게 무자비하게 맞는 젊은 남자를 보았을 때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날 저녁 광주에 돌아왔을 때 타고 있던 버스가 정류장 좀 전에 멈췄습니다. 충돌의 증거와 길에 있는 잔해 때문이었죠. 그날 밤과 다음날(화요일) 아침을 광주에서 지내고 광주항쟁가 서서히 시작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화요일 저녁에 제 동네로 돌아왔고 수요일에는 남평에 있었습니다. 목요일 광주로 자전거를 타고 갔죠. 아마도 그 길을 통해 마지막으로 광주로 들어간 사람이었을 거예요. 그 후 며칠 동안 군의 폐쇄로 광주에서 나올 수 없었습니다.
광주뉴스: 다행히도 그때는 조용한 며칠이었습니다. 추후 올해 예정된 방문 때 광주국제UC교류센터에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나눌 기회가 있기를 빕니다. 다음은 두 개의 질문입니다. 한국에서 보냈던 시간이 그리고 특히 광주 5·18 항쟁을 목격했던 것이 한국을 떠난 뒤 어떻게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쳤나요?
코트라이트 박사: 한국에서 보냈던 시간은 제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습니다. 대부분의 외국인들에게 비슷할 거라 생각합니다. 1981년 말 한국에서 평화봉사단이 철수했을 때 저는 떠날 준비가 되지 않았었습니다. 이 나라의 많은 측면을 사랑하게 되었죠. 사람들, 음식, 문화 그리고 시골. 하지만 당시의 군정부는 정말 아니었습니다. 다음 해에 서울 국제 학교에서 가르쳤습니다. 1982년 말까지 미국에 돌아가지 않았던 거죠.
광주에서 목격한 상황들은 제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외상후증후군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어요. 분노, 아픔 그리고, 광주 사람들이 보여줬던 고통스러우면서 영감을 주는 반항. 저는 한국에 남고 싶었지만 제 체류 상황이 불안하다는 것을 알았어요. 군정부는 외국 기자들과 사진기자들에게 번역가로 일했던 우리들에게 격분했었습니다. 그 후 오랫동안 저는 제 마음 한편에 그것을 밀쳐두려고 노력했습니다. 제 자신의 정신적 상태를 위해서였죠. 제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었으니까요. 대신에 일에 열중했습니다.
광주뉴스: 공중보건 분야에는 흥미진진한 이력을 가지셨던 거라 생각됩니다. 일하셨던 곳과 했던 일에 대해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게 있으실까요?
코트라이트 박사: 존스 홉킨스에서 공중보건 석사학위를 마친 후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대학에서 일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로 이사했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이집트에서 1년을 일하게 됐죠. 그 기간이 UC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위한 토대가 되었습니다. 진로를 결정하게 해준 한국에 감사해야 하죠. 제가 한국에서 보냈던 시간 덕분에 안질환의 방역학에 특별히 관심을 갖게 됐고 제 모든 경력은 이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제 학위가 끝난 후 결혼을 했고 저와 아내는 1년 동안 에디오피아에서 1년, 이어 말라위에서 4년, 그리고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부교수로 7년을 지냈습니다. 오래전부터 미국에 기반을 둔 학계 경력에 관심이 별로 없었습니다. 대신에 진짜 세계에 필요성을 제시하는 응용방역학과 공중보건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저희는 2001년 아프리카로 돌아갔고 아내와 저는 탄자니아 모시에 킬리만자로 커뮤니티 안과를 설립했습니다. 저희 연수 연구 시설은 아프리카 전역으로부터 온 안과 전문가들과 일했습니다.
광주뉴스: 정말 많은 장소에서 많은 일을 하셨는데요 무엇보다도 Witnessing Gwangju라는 5·18에 관한 책을 출판하시게 됐습니다. 왜 집필을 시작하시게 됐는지 그리고 40년이란 시간을 기다렸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코트라이트 박사: 저는 광주에서 제가 경험한 것에 대한 제 이야기를 쓰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기다렸죠. 왜냐고요? 첫 번째 이유는 팀 완버그와 같은 다른 외국인들이 있었으니까요. 우리 경험에 대해 더 잘 쓸 수 있을 거라고 느꼈습니다. 두 번째로 아직도 그때를 회상하면 심적으로 힘들어서 기다리는 게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세 번째로 저의 나머지 삶이 있었으니까요. 아프리카다 다른 곳에서의 일과 가족이 있었습니다. 팀이 죽은 뒤 글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퇴직 후 시간이 있을 때만 이였죠.
자 그럼 왜 제가 이 책을 썼을까요? 저는 미국인들이 이 사건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미국 정부가 어떻게 반응했으며 다양한 삶의 사람들에게 이 사건이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요. 회고로 하는 것이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019년 5월 한국을 방문했을 때 많은 한국인 친구들과 얘기한 후 한국인들 또한 외국인 시선으로 본 이 사건의 이야기를 원한다는 것이 확실해졌습니다. 외국인으로서 광주나 다른 지역 사람이 아니었고 어떤 관점에 선입견이 없어서 독립적이라고 여겨졌으니까요. 그래서 이 책의 한국어 번역본이 있으면 좋겠다고 느꼈습니다. 서울에 있을 때 전두환의 입장을 믿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믿을 수 없어요!
광주뉴스: ‘심적으로 힘들다’라는 것에 동감할 수 있습니다. 책 분량의 프로젝트를 위해 요구되는 연구는 어떻게 하시게 됐는지 얘기해 주세요. 만일 제가 5·18에 대한 머릿속 기억을 끄집어 내야 한다면, 짧은 글을 쓰기에 충분한 정도의해 자세한 내용을 찾기만 해도 행운일 겁니다.
코트라이트 박사: 그 기간 동안 매일 자세하게 적어뒀던 대대적인 기록이 아니라면 회고록을 쓰는 것은 불가능했을 겁니다. 제 기록은 단지 보았던 것뿐만 아니라 어떻게 느꼈는지 무엇을 들었는지 담았습니다. 2019년에 광주를 방문해서 몇 군데 들러보는 것이 제게는 중요했습니다. 예를 들자면 도청 건물은 내부 구조를 상기시켜줬습니다. 그 장소의 그 느낌을 정확하게 담았기를 확실하게 하고 싶었습니다. 그 당시에 친구들에게 썼던 편지도 활용했습니다. 많은 정보가 들어있다는 것을 깨닫고 보내기 전 복사를 했었답니다.
왜 1980년 5월에 대한 모든 것을 적어 뒀냐고요? 어딘가에 적어두는 것만이 제가 밤에 잠을 잘 수 있는 방법이었습니다. 매일매일의 사건이 충격적인 경험이었고 모든 것을 적어두지 않으면 잠을 이루기 힘들었습니다. 그것만이 어떤 것도 잃어버리지 않았다는 자신감을 주었으니까요. 종이에 기록된 뒤에는 제 머릿속을 밤새 내내 쿵쿵 내리치며 다닐 필요가 없었습니다.
광주뉴스: 이 책에서 고려하신 시점은 무엇인가요? 박사님이 제시하신 5·18로부터 독자들이 어떤 것을 얻어 가기를 희망하시나요?
코트라이트 박사: 초기에 결정했던 것은 그 당시에 제가 관찰한 것, 들었던 것, 느꼈던 것만 쓰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서술하는 대신에요. 학계의 글들이 있으니 특정 사건에 대해 이미 적혀진 내용을 반복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저도 학계에 몸을 담고 있지만 한국 정치 역사는 제 전공 분야가 아니고 한국 역사에서 이 사건의 갖는 의미나 한국과 미국의 상호작용에 대해 논의할 만큼 자격이 있다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제가 경험했던 것만 얘기할 수 있을 정도만 자격이 있었고 과거에 나오지 않았을 관점을 제공하기를 희망합니다. 제 주 독자는 미국인이었으므로 한국에서의 삶을 보여주는 것 또한 중요했습니다. 독자들을 제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이 되니까요. 만약 … 이라고 언제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독자들이 같은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어떻게 했을 것인가 고려해보면 좋겠습니다. 당연히 한국을 좋아하는 제 마음을 독자들이 알아주기를 원했습니다.
광주 뉴스: Witnessing Gwangju가 출판된 지 벌써 1년이 됐습니다. 사람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한국어 번역본인 ‘5·18-푸른 눈의 증인’이 있는데요 많은 독자들이 접해볼 수 있었을까요?
코트라이트 박사: 상상하시는 대로 많은 한국 평화 자원봉사자들은 Witnessing Gwangju에 관심 있어 합니다. 미국의 한국학 수업이나 캐나다 대학에서 몇 번 강연한 적이 있습니다. 한국의 근대 정치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이 이 책을 읽기를 희망합니다만 그렇다면 홍보가 필요할 텐데 제가 강한 부분이 아니라서요. 흥미롭게도 Witnessing Gwangju의 한국어 번역본이 영문 버전보다 더 많이 팔렸습니다. 한국판에는 사진이 더해져 재출판 될 예정입니다. 호림 출판사가 전자책으로 영문판을 최근에 출시했으니 다른 나라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좀 더 접근성이 생길 겁니다.
광주뉴스: 영어, 한국어 그리고 이제는 전자책까지, 책이 성공적으로 보이는데요. 게다가 관심도 많이 얻고 있고요. 수정공을 들여다보거나 찻잎을 읽어보거나 혹은 최근에 사주라도 보신 적이 있나요? 폴 코트라이트씨를 위한 다음 행보는 어떻게 될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코트라이트 박사: 저는 미래를 알고 싶어 하지 않는 편입니다. 아프리카의 공공건강 문제로서의 트라코마 제거를 계속해서 지원할 것입니다. 어느 정도 은퇴를 했지만 보건부와 20여 개 국가의 비정부단체 파트너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말라위같이 몇 개의 국가에서는 거의 목표에 도달했습니다. 제 대신 이 국가들에서 현지 지원을 맡아준 11명의 아프리카 기술 자문팀이 있습니다. 샌디에고에서는 몇몇의 자원활동에 참여합니다. 저에겐 즐거움이죠. 한국에서 온 친구들과 함께 방문하고 맛있는 반찬을 먹으면서 소주나 막걸리를 마시는 것은 항상 제 미래에 남아있는 계획입니다. 그리고 올해 말에 한국을 방문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광주뉴스: 아, 소주와 막걸리는 지난 기억들을 되살리죠굙-분명히 박사님 책에 남겨진 순간의 시간들일 거예요.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올해 박사님의 광주 방문을 기대하겠습니다
번역자 민은 2013년 4월부터 광주국제교류센터 번역 자원활동가로 활동해 오고 있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21년 5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에 처음 발행한 대한민국 최초의 영문 대중월간지입니다. 매월 발행되는 각 호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지역민의 활동과 지역사회의 이야기 및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습니다. (www.gwangjunewsg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