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청백리(淸白吏) 열전] ‘감히 속이지 못한’ 서문표(西門豹)
폐단을 없애 백성에게 큰 이익 돌려줘
공직사회가 엉망이 되었다. ‘나라 잘 되는 데는 열 충신으로도 모자라지만 나라 망치는 것은 혼군(昏君)이나 간신(奸臣) 하나면 충분하다’는 옛말이 괜한 말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왕조체제를 벗어난 지가 1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때보다 못한 일들이 나라와 공직사회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기강이 무너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망국의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길 밖에 없다. 깨어있는 시민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이 난국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서 역대 중국의 청백리들을 소개하여 반면교사로 삼고자 한다.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바랄 뿐이다.
글쓴이 김영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는 지난 30년 넘게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그가 남긴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 3천 년 통사 《사기(史記)》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그 동안 150차례 이상 중국의 역사 현장을 탐방했으며, 많은 저역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간신 3부작’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등이 있다. (편집자주)
역대 청백리의 기본적인 특징이자 공통점은 당연히 ‘청렴’이었다. 여기에 실무 ‘능력’까지 갖추면 가장 바람직한 청백리라 하겠다. 실제로 청백리 대부분이 뛰어난 능력의 소유자였다. 청백리가 능력을 발휘하는 방면은 당연히 통치, 즉 자신이 맡은 직책에 따라 해야 할 백성들을 위한 정책이었다. 그런데 통치행위와 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청백리가 보여주는 일처리 방식은 저마다 달랐다. 쉽게 말하자면 일처리 스타일이 달랐다.
사마천은 청백리의 일처리 스타일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눈 다음, 어느 쪽이 가장 뛰어난가 라는 질문을 던졌다. 사마천은 이 세 종류의 일처리 방식을 ‘삼불기(三不欺)’로 요약했는데, 훗날 정치학에 큰 통찰력을 준 내용이기도 하다.
‘삼불기’란 세 가지 속이지 않는 유형 내지 방식이란 뜻으로, 불능기(不能欺)·불감기(不敢欺)·불인기(不忍欺)를 가리킨다. ‘불능기’는 ‘속일 수 없다’는 뜻이고, ‘불감기’는 ‘감히 속이지 못한다’는 뜻이며, ‘불인기’는 차마 속이지 못한다‘는 뜻이다. 관련한 《사기》 <골계열전>의 기록을 한 번 보자.
“전하는 말에 따르면 ‘정자산(鄭子産)이 정나라를 다스리자 백성들이 그를 속일 수 없었고, 복자천(宓子賤)이 선보(單父) 지방을 다스리자 백성들이 차마 그를 속이지 못했으며, 서문표(西門豹)가 업(○) 지역을 다스리자 백성들이 감히 그를 속이지 못했다’고 한다. 세 사람의 재능 가운데 누가 가장 뛰어난 것일까? 다스리는 이치를 아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가릴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어느 쪽이 가장 수준 높은 통치방식이자 경지일까? 이 글의 주인공 서문표를 이야기하면서 한 번 생각해보자.(서문표에 대한 기록은 《사기》 <골계열전>과 《한비자》 <외저설좌하> 편이다.)
‘서문표가 무당을 (강물에) 던지다’
서문표는 기원전 5세기 전국 초기 위(魏)나라의 행정 전문가로 업현(○縣, 지금의 하북성 한단시邯鄲市 임장현臨○縣 업성진○城鎭)을 다스린 행적으로 이름을 남겼다.(생몰 연도는 확실치 않다.) 업현에 부임한 서문표는 원로들을 모아놓고 백성들의 고통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원로들은 업현의 향관(鄕官)을 비롯한 대소 관리들과 토호들이 백성들로부터 매년 100만 전이 넘는 막대한 돈을 징수하여 그 중 30만 전 가까이를 물의 신 하백(河伯)에게 제물을 바치는데 쓰고 나머지는 무당들과 함께 착복하기 때문에 백성들의 생활이 여간 어렵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게다가 하백신에게 처녀를 함께, 그것도 산채로 바치다보니 딸 가진 집안의 부모들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하백에게 제사를 지내는 날 서문표는 자신도 참석하겠다고 했다. 그리고는 대소 관리들을 죄다 거느리고 제사가 열리는 강으로 갔다. 서문표는 하백에게 처녀를 바칠 차례가 되자 마지막으로 처녀를 한 번 보겠다고 했다. 얼굴을 가린 면사를 젖히고 처녀의 얼굴을 본 서문표는 처녀가 너무 못생겼다며 처녀 대신 무당을 배에 태워 하백에게 보내 이를 알리게 했다.
무당은 당연히 돌아오지 못했다. 서문표는 무당의 제자들을 차례로 물속에 던져 무당의 행방을 알아오게 했고, 그 다음에는 토호와 관리들을 차례로 물에 처넣게 했다. 관리들과 토호 그리고 무당들은 서문표에게 납작 엎드려 잘못을 빌었고, 서문표는 단칼에 오랜 이 악습을 제거했다. 여기서 ‘서문투무(西門投巫)’, 즉 ‘서문표가 무당을 (강물에) 던지다’는 고사성어도 나왔다.
서문표의 통치 스타일은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비정상적인 방법이나 수단을 거리낌 없이 동원하여 위엄을 과시함으로써 관민들을 놀라게 만드는 것이었다. 위세에 눌린 관민들이 서문표를 ‘감히 속이지 못하는’ 것은 당연했다. 법가의 인물이었던 서문표는 대체로 강제라는 방법과 사나운 수단으로 관민들을 통치했고, 그 결과 관민들은 ‘감히 그를 속일 수 없었던’ 것이다.
서문표의 리더십을 정리하면 이렇다. 하백신에게 처녀를 바치는 악습을 단칼에 없앤 서문표의 일처리 방식은 폭력으로 폭력을 제거하는 ‘이폭제폭(以暴除暴)’에 가깝다. 백성들이 ‘감히 속이지 못한’ 것이 당연했다. 서문표의 리더십 행사는 과격하다. 대개는 꺼려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리더들이 이 방식은 선호하고 따른다. 실제로는 결코 그렇지 않지만 쉬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사마천은 서문표를 코미디언과 유머에 대한 기록인 <골계열전>에 안배함으로써 일반 상식의 허를 찌르고 있다.
서문표, 두 차례 업을 다스리다
이제 《한비자》의 기록을 따라 서문표 이야기를 좀 더 해본다. 서문표는 전국시대 위나라 문후 때 사람이다. 앞서 업이란 지역을 다스렸다고 했는데 정확하게는 두 차례 같은 지방을 다스렸다. 처음 업을 다스릴 때 서문표는 사적인 감정이나 이익은 조금도 꾀하지 않고 오로지 정직하고 청렴하게 일에 임했다. 실세들이라 할 수 있는 문후 주변 사람들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 자들이 작당하여 서문표를 모함했다. 1년 뒤 서문표는 업을 다스린 현황을 문후에게 보고했지만 문후는 그의 관인(官印)을 몰수하고 파면시켰다. 서문표는 문후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했다.
“제가 전에는 업을 다스리는 방법을 몰랐으나 이제 알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제게 업 지방을 맡겨주십시오. 그러고도 주군의 마음에 들지 않으시면 제 허리를 자르면 처벌을 기꺼이 받겠습니다.”
문후는 서문표의 목숨을 건 과감한 요청을 받아들여 다시 업을 맡겼다. 서문표는 세금을 무겁게 물리고, 있는 힘을 다해 문후 주변 인물들의 비위를 맞추었다. 1년 뒤 서문표는 다시 문후에게 보고를 올렸고, 문후는 몸소 그를 맞이하며 깍듯한 예를 올렸다. 서문표는 이렇게 말했다.
“첫 해에 저는 주군을 위해 있는 힘을 다해 업을 다스렸습니다. 그런데도 주군께서는 관인을 회수하셨습니다. 올해 저는 주군 주변에 있는 자들을 위해 업을 다스렸습니다. 그랬더니 주군께서 직접 저에게 예를 올리셨습니다. 저는 더 이상 업을 다스릴 수 없습니다.”
서문표는 관인을 다시 문후에게 돌려주었다. 문후는 “전에는 내가 그대를 잘 몰라서 그랬지만 지금은 알게 되었으니 계속 업을 다스려주길 원하오”라며 관인을 돌려주려 했으나 서문표는 끝내 받지 않았다.
김영수 사마천학회 이사장
본문 한자 속 ‘○’표시는 신문제작시스템에 없는 글자임을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