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남도 축제 들썩 양적 풍년 넘어 실속 챙겨야
화창한 가을 광주와 전남지역은 축제의 향연으로 물들고 있다. ‘빵 페스타’‘ 통맥 축제’, ‘미남 축제’처럼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무장한 크고 작은 축제가 성황을 이루고 있다. 가을이 깊어지면서 곳곳이 축제 파티장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의 특산물을 알리고 지역민의 화합을 도모하며, 관광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축제는 지역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올해 지역 축제의 특징은 축제가 훨씬 다양해졌다는 점이다. 지역색과 젊은 층을 겨냥한 몇몇 시험적 축제 들은 최소 경비로 경제적 이득을 올리고 재미도 높이는 축제 본연의 효과를 노리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동안 지역 축제는 외형 부풀기에 주력하다 주민과 축제가 괴리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런 반감을 줄이면서 지역색을 강화한 실속형 축제의 등장은 반가운 일이다. ‘양동통맥’, ‘광주 빵 페스타’, ‘미남 축제’, ‘순천푸드앤아트페스티벌’, ‘여수 섬슬랭 페스타’등은 작지만 강한 축제들이다. 남도 고유의 맛에 K-푸드를 접목한 이런 축제들이 트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벌써부터 관심사다.
어느 순간부터 지역 축제는 유행병처럼 번져나가며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수가 늘면서 이른바 트롯 가수만 배불리는 행사로 전락했다는 박한 평가를 받기도 한다. 비슷한 공연 프로그램, 외부 용역에 의존한 일회성 이벤트, 그리고 어디서든 볼 수 있는 먹거리 부스 등 ‘판박이 축제’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 “이런 축제들이 필요 한가”라는 축제 무용론이 나온 지도 오래다.
가을이면 광주와 전남은 줄잡아 수십개의 축제가 열린다. 축제가 한꺼번에 몰리다보니 뭔가 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획일화 된 틀에서 벗어나 저마다 개성을 담아내고, 지역민과 함께 성장하며,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해 달라는 목소리인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새롭게 단장한 실속형 축제의 등장은 신선한 감동을 준다. 새로 선보인 실속형 축제가 뿌리 내릴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방향만큼은 옳다. 이제 무늬만 축제인 지역축제는 사라질때도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