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비정규직 노동자 40%… 여성·고령층 ‘이중고’
60대 이상 10명 중 7명 비정규직…임금 절반 수준 서비스·복지업 고용 불안 심화…“구조적 차별 해소 시급”
광주지역 임금노동자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과 고령층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이중 차별’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사회복지, 건설업 등에서 비정규직이 집중되는 양상이 뚜렷했다.
5일 광주노동권익센터가 발간한 ‘2025 광주광역시 노동통계’에 따르면, 2024년 10월 기준 광주지역 임금노동자 59만 5704명 중 23만 3590명(39.2%)이 비정규직으로 집계됐다. 전년(38.4%) 대비 0.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60대 이상 73.4% 비정규직… 연령 차별 심각
연령대별 격차가 심각했다. 60대 이상 임금노동자 11만 1024명 중 8만1483명(73.4%)이 비정규직으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이어 29세 이하(43.1%), 50대(35.5%) 순이었다. 청년과 고령층 모두 안정적 일자리로의 진입이 여전히 어려운 구조임을 보여준다.
반면 30대(24.8%)와 40대(25.6%)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정규직 비율을 기록해, 고령층으로 갈수록 고용 불안정성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성별 격차도 뚜렷했다. 여성 임금노동자 27만 7944명 중 13만 3407명(48.0%)이 비정규직인 반면, 남성은 31만 7760명 중 10만 183명(31.5%)에 그쳤다.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이 남성보다 16.5%포인트 높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임금 격차다. 남성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241 만9700원인 반면, 여성 비정규직은 149만 4500원으로 남성의 61.8% 수준에 불과했다. 여성 비정규직은 성별과 고용형태에 따른 ‘이중 차별’을 받고 있는 셈이다.
남성과 여성 평균 임금도 차이가 났다. 남성 346만 9000원, 여성 230만 6900원으로 여성 임금이 남성의 66.5%에 그쳤다.
정규직 대비 임금 절반… 연 2000만 원 차이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 임금 격차도 컸다. 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359만 4700원인 반면, 비정규직은 189만 1300원으로 정규직의 52.6% 수준이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2044만 원의 차이가 발생한다.
노동시간에서도 격차가 크다. 정규직은 주 41.96시간, 비정규직은 주 29.17시간으로, 비정규직이 주 13시간 이상 덜 일하면서도 생활임금 수준에 못 미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의 83.2%가 비정규직으로 가장 높았다. 서비스 종사자(60.0%), 판매 종사자(56.1%)도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이었다.
반면 관리자(6.9%), 사무종사자(16.8%),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6.2%)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정규직 비율을 보여, 직업 간 양극화가 뚜렷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69.1%),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53.3%), 건설업(49.1%)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높았다. 특히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5만 2444명으로 비정규직 규모가 가장 컸다.
대기업도 비정규직 47%… 전국 평균보다 높아
상시 300인 이상 고용 대기업 86곳의 실태도 심각했다. 전체 노동자 7만 9915명 중 47.1%인 3만 7649명이 비정규직으로, 전국 평균(38.2%)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기간제 노동자 비율이 34.0%로 전국 평균(22.2%)보다 11.8%포인트 높아, 광주 대기업들의 기간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규모 상위 10개 기업(고용인원 3만 4,861명)의 비정규직 비율도 43.7%에 달했다. 중흥토건(2489명), 조선대학교(2289명), 현대아미스(2213명) 순으로 비정규직을 많이 고용했다.
성원산업개발은 비정규직 비율이 99.0%로 가장 높았고, 현대아미스(98.3%), 대광건영(91.1%)이 뒤를 이었다.
결론적으로 광주의 비정규직 비율은 40% 내외로 전국과 비슷하지만, 여성·고령층 집중, 산업 간 격차, 임금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광주광역시에서도 공공부문 고용형태를 정기적으로 공시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나아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지역의 고용과 노동 실태를 직접 조사하고, 정기적인 통계보고서를 작성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광주노동권익센터 정찬호 센터장은 “지역의 고용 상황에 대한 세부적 통계 자료가 미흡한 가운에 7년째 정부 자료를 재분석하여 발표하고 있다”면서 “본 통계보고서를 통해 지역 노동시장을 함께 공유하고 효과적인 노동정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되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