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정부, ‘탄소 감축’ 상생 사다리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협력 체계 구축 대기업부터 2차 협력사까지 연쇄적 감축
정부가 현대차·기아와 함께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의 탄소 배출 감축을 지원하는 상생 체계를 가동한다.
17일 중소벤처기업부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따르면 중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현대차·기아, 자동차 부품 중소·중견 협력업체 87개사,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함께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열고 공급망 전반의 탄소 경쟁력 제고에 나서기로 했다.
최근 EU 등 주요국이 탄소 규제를 사업장 단위에서 제품 단위로 강화하면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이 수출 규제의 핵심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와 현대차·기아는 부품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해 완성차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사업 규모를 확대해 자동차 부품 기업의 설비 개선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산업부 역시 올해 4개 공급망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며, 내년부터는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을 통해 지원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산업부와 현대차·기아는 1차 협력업체의 탄소 감축을 위한 설비 교체를 우선 지원하고, 1차 협력업체는 이에 상응하는 금액을 환원해 중기부와 함께 2차 협력업체 설비 개선에 참여한다. 정부는 이 같은 연쇄적 감축 구조가 공급망 전반에 탄소 저감 효과를 확산시키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업체의 탄소 저감이 완성차의 탄소발자국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향후 배출권거래제에서도 상쇄 배출권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용석 중기부 제1차관은 “글로벌 공급망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부품업체 비중이 큰 자동차 산업에서 선제적 감축 노력이 이뤄지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며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동일 산업부 산업정책실장도 “탄소 감축은 정부와 기업의 공동과제”라며 “이번 협력이 산업 전반의 그린전환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정부·기업·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 모델”이라며 “산업 생태계 전환의 실질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 등 다른 주력 산업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확대해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