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광주공항 국제선, 무리한 추진 반복 안돼”

문인기 건설교통국장 “현행 법규상 CIQ 문제로 지난해에도 불허” 나광국 도의원 “지역 갈등 우려…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 촉구해야”

2025-11-18     정진탄 기자
전남도청. 전남도 제공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 추진과 관련 전남도는 사실상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문인기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18일 열린 도의회 추경예산안 심사에 출석, 광주공항 국제선 재취항에 대한 질문에 “광주공항은 현행 법규상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세관·출입국관리소·검역(CIQ) 등 국제선 운항을 위해 필요한 시설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에도 같은 이유로 불허된 만큼 더 이상 무리한 임시취항 논의가 반복돼선 안 된다”고 했다.

지난 10일 광주시는 정부가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해 시민 불편과 관광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재추진 입장을 밝혔다.

광주시는 올해 4월 국제선 임시취항을 추진했다가 국토부의 불허 방침으로 한차례 무산된 바 있다.

당시 김영록 전남지사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은 한시적으로 운영하겠다는 것인 데다 무안공항 폐쇄로 여행업계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여행업계 어려움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도의회에서 나광국 의원(더불어민주당·무안2)은 문 국장에게 전남도가 중심을 잡고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로드맵을 정부에 요구할 것을 주문했다.

나 의원은 “광주공항 국제선 취항 논쟁은 전남도와 광주시, 무안군 간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질 수 있다”며 “전남도가 이 문제에 대해 ‘정부 결정을 기다린다’는 입장을 넘어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일관된 재개항 로드맵을 요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재개항 일정이 불투명한 상황이 장기화할수록 피해는 관광업계와 도민, 참사 피해 유가족에게 돌아가고 있다”며 “지역 경제를 비롯해 지역 전체에 막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광주공항 국제선 재추진과 관련 광주시의회 내부에서도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강수훈(민주당·서구1) 의원은 “국토부는 무안공항 정상화 시점·이동권 보완·국제선 대체 계획 등 어떠한 로드맵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형 항공사고는 조사에만 최소 4~5년 이상 걸리는 만큼 호남권의 장기 고립이 우려된다”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필요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박수기(민주당·광산5) 의원은 “국토부가 불허 입장을 밝혔고 ‘6자 TF’가 가동된 상황에서 같은 사안을 반복 제기하는 것은 행정 신뢰를 훼손한 것”이라며 “보여주기 행정이 아니라 무안공항의 조기 정상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 조치와 협력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광주시가 국토부에 신청한 국제선 임시 취항노선은 울란바토르(몽골), 나트랑(베트남), 다낭(베트남), 옌지(중국), 장자제(중국) 등이며 중형기종으로 동남아와 하와이 운항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