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 박차
내년 완공 목표로 ‘자율주행 인증센터’ 구축 중 자율주행 핵심 기술 국가표준 결합해 실증 시작 광주시 “자율주행 고도화 예산 191억 통과돼야”
광주시가 국정과제인 ‘AI 모빌리티 신도시’에 적용할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2단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년까지 핵심 기술(통합제어·인지·제어·통신) 국산화가 가능한 21종의 자율주행 검증 장비를 설치해 추후 “실증까지 가능한 인프라를 조성하겠다”는 게 목표다.
광주시는 이같은 인공지능·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이 이재명 정부가 광주 국정과제로 채택한 사업인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와 연계할 초석이 될 것이란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18일 광주시에 따르면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에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및 국가표준에 필요한 장비 개발 명목으로 ‘예산 약 191억 원’ 편성을 산업통상부에 요청한 상태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 2023년, 산업통상부 공모에서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된 뒤 미래차산업 생태계 조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광주 미래차산업 핵심 기반 산단은 미래차산업 삼각벨트인 △미래차국가산단(실증) △빛그린국가산단(인증·완성차) △진곡산단(부품생산)이다.
여기에 각 전문성에 맞는 핵심 기술 제작이 가능한 시설을 구축하겠다는 것.
이미 광주시는 5년간 약 657억 원을 투입했고, 자율주행 연구개발비뿐만 아니라 성능평가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이같은 생태계 조성 성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광주시가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과 유관기관(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한국광기술원 등), 자율주행 기업(DH오토리드·에스오에스랩·에니트)과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통합 성과보고회’를 공동 개최한 것도 그 중 일환이다.
그간 자율주행 관련 기업들은 2024년부터 자율주행 기술 연구개발(R&D)비 ‘예산 254억 원(국비 200·민자 54)’을 수혈받아 기술개발에 매진해 왔다.
대표 기업으로는 △통합제어 분야: DH오토리드(노면 반력모사 액추에이터와 안전성을 위한 이중화 전원 시스템) △통신 분야: 에니트(차량 교통 인프라 간 정보 교환 시제품 제작) △인지 분야: 에스오에스랩(악천후에도 안정적으로 인지 가능한 모듈 개발)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광주시는 내년 12월, ‘자율주행 안전 성능평가 인증지원센터’가 준공되면 총 21종 “자율주행 검증 장비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구축이란, 장비가 잘 작동하는지 검증 장비부터 인증센터에 ‘설치’하겠다는 의미다.
이후에는 국가기술표준원이 자율주행 장비를 검증 가능한 표준(기준)을 마련하면, 광주시는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공개입찰을 진행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장비 시험부터 평가, 인증까지 가능하도록 인증센터에서 수행하는 게 목표다.
이는 곧, 자율주행차가 도심에서 실제 운행 가능한지 실증 토대를 마련하는 국정과제인 ‘AI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과 직결된다.
광주시 미래차산업과 관계자는 본보와 통화에서 “국가기술표준원이 표준을 만들기 전이라도, 국가 표준에 준하는 장비를 구축하는 게 우선이다. 자율주행 사업을 고도화할 사업도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에 예산을 요청했다”며 “인증센터 구축이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과 밀접하므로 원활한 사업 진행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최문석 기자 mun@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