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산재 유가족 만나 "나라가 할 도리 못해서 그런 것"
유가족들, 고용노동부 장관에 간담회 요청 김영훈 장관 "이른 시일 내 마련"
김민석 국무총리는 18일 산업재해 유가족들과 만나 "이런 시련을 당한 것은 크게 보면 국가의 책임"이라며 "나라의 할 도리를 다 못해서 그런 거라고 생각한다. 특히 지금 대통령이 그런 생각이 강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산재사망 희생자 추모 위령재에 앞서 산재사망 희생자인 방송노동자 이한빛·태안화력노동자 김용균·베트남 청년 부 투안의 유족들에게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세 분이 다 꽃 같은 20대에 세상을 떠나서 뭐라고 말해야 할지, 위로는 될지 모르겠다"며 "가족을 잃은 것도 참 아픈데, 또 이런 일이 없어야겠다고 생각해서 와준 게 쉽지 않은 것 잘 안다"고 밝혔다.
이어 "저희가 간담회를 하자고 말한 취지도 가족으로써 아픔은 아픔이고, 이런 걸 없애자 하는 것 같아서 참 감사하고 죄송하다"며 "제가 다른 건 몰라도 안전 문제에 대해 대통령 대신 해달라고 맡겼다. 저도 필요할 때 같이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사실 한 주쯤 있다가 정부에서 자살하는 사람이 많아 그 문제도 같이 풀면 좋겠다고 해서 원장스님을 뵙기로 했는데, 그 말은 그때 드리겠다"며 "오늘 특별히 산재 문제에 대해 불교에서 앞장서 관심을 가져줘 감사하다. 저희가 함께 하나하나 풀어가겠다"고 밝혔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종교적인 입장에서 보면 죽은 자와 산 자 모두 평안해지길 바라는 차원에서 위령제 모시게 됐다"며 "이미 간 분들은 간 분들대로 저승에서의 평안을 찾아야 하고, 나머지 살아가는 유가족분들은 유가족대로 현실적으로 평안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모든 국민이 사고, 재해에 의해 사망하는 것은 더 이상 발생 안 돼야 한다"고 밝혔다.
진우스님은 "국민 모두가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겠지만, 특히 관리점검하는 정부 차원에서 좀 더 세심하게 살펴서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게 선진국이 된 마당에서라도 더욱더 좋은 나라가 되는 모습"이라며 "누구 책임, 원인을 따지기 전에 국민 모두, 특히 정부에서 세심하게 살펴주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산업재해 유가족들은 고용노동부에 산재 피해 애환 등 요청 사항을 전할 수 있는 간담회를 열어달라고 요청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른 시일 내에 마련해 보겠다"고 약속했다.
김대원 기자 kdw34000@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