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섬 곤충 생태계 아열대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미기록종 45종 찾아내 25종(55%) 열대·아열대성, 20종 온대·냉대성 섬 생물다양성·기후 변화 가늠 환경지표 주목
지구 온난화·기후변화 영향으로 호남권 섬 지역에서 열대성 곤충이 새로 발견되는 등 생태계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섬지역에서 새로 발견된 곤충의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이라는 것으로, 조사기관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로 주목하고 있다.
19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관장 박진영)에 따르면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연구진이 이들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다. 구체적으로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 포함 5종이 발견되는 등 우리나라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뚜렷한 온대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저위도의 더운 기후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발견되는 현상은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로 평가된다.
특히 섬 지역은 외래 생물들이 처음으로 유입되는 주요 지점이자, 내륙으로 확산되는 중간 관문이기 때문에 정밀한 조사를 통한 생물상 변화 파악이 중요하다는 게 호남권생물자원관의 입장이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가거도·흑산도 등 원거리 섬과 제주도·울릉도 등 국내 주요 섬에서 곤충·어류·지의류 등 다양한 열대·아열대 생물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조사 중이다.
연구진은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45종 중 남방가는나방 등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했으며, 나머지 종들도 학술논문 발표 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할 계획이다.
노승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동물자원연구부장은 “섬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상당수가 열대 또는 아열대성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이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신호로, 앞으로도 섬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과학적으로 규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채정희 기자 goodi@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