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침체 광양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2년간 정부 긴급 경영자금·대출연장 등 기업·소상공인 지원 전남도 환영문 “다시 산업 중흥 선봉…저탄소·첨단산업 전환”

2025-11-20     정진탄 기자
포스코 광양제철소. 전남도 제공

광양시가 주력 산업인 철강산업 침체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전남도는 즉각 이를 환영하며 "광양 철강산업을 다시 한번 대한민국 산업 중흥의 선봉에 세우겠다"고 했다.

20일 전남도와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광양시는 오는 2027년 11월 19일까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 정부로부터 정책금융 등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이번 지정은 여수(석유화학), 충남 서산(석유화학), 경북 포항(철강)에 이어 ‘지역산업 위기 대응법’에 따른 네 번째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사례다.

광양시는 이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약 381억 원의 보통교부세를 추가 지원받을 예정이다.

정부는 긴급 경영 안정자금, 지방 투자 촉진 보조금 우대 등과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정책금융기관에서는 중소기업에 만기 연장·상환 유예를,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에서는 협력업체·소상공인에 우대보증 지원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아울러 지역산업 위기 대응 사업을 통해 산업위기 지역에 소재한 주된 산업 관련 기업 대출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이차보전, 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지난 10월 광양시의 철강산업 위기를 이유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광양시는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저가 철강 수입재 확대 및 단가 하락, 내수 부진 등으로 인해 철강산업에 집중된 지역경제의 산업 전반이 크게 위축됐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광양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환영문에서 “이번 지정은 국가 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이 저탄소·첨단 산업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철강 중소기업 금융지원, 지역상권 활성화, 고용안정과 인력 양성, 노후산단 재생은 물론, 철강 AI·로봇 자동화와 첨단신소재 기술개발 지원을 강화해 산업 경쟁력 회복과 미래산업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광양시가 대한민국 대표 철강도시로 다시 도약하도록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철강산업의 탈탄소·미래산업 전환, 청정수소 산업벨트 조성 등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또 철강기업의 탄소 감축, 전력 인프라 확충, 기술개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국회에서 논의 중인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K-스틸법)’의 조속한 제정을 지속 요청할 계획이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