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입양·보호소 가장 ‘신종 펫숍’ 기승

SNS서 입양·보호로 유혹 후 고가 분양 유도 입양률 떨어진 광주…“신종 펫숍 확산 영향”

2025-11-24     유시연 기자
광주동물보호센터에서 자원봉사자가 유기견을 돌보고 있다.  광주시 제공.

 “SNS에서 무료 입양 글을 보고 강아지를 보러 갔는데, 막상 방문하니 처음 들었던 금액보다 훨씬 비싼 분양비를 요구하더라고요. 계약서를 쓰려 하니 ‘VIP 멤버십’ 같은 것들을 이야기하면서 어느새 결제 금액이 100만 원 가까이 됐어요. 찜찜해서 다음에 오겠다고 하고 나왔는데… 이런 곳이 신종 펫숍인가요?”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보호소를 가장한 이른바 ‘신종 펫숍’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유기동물 보호소’, ‘유기동물 입양센터’ 등 비영리 시설을 자처하지만, 실상은 불법 번식장과 연계해 고가 분양을 유도하는 상업 목적의 판매업소다.

 이들은 SNS에 ‘책임비 없음’, ‘무료 입양’과 같은 문구를 올려 접근성을 낮춘 뒤, 실제 방문 시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대 비용을 요구한다. 명목은 관리비·책임비·후원금 등 다양하지만, 피해자들의 공통된 증언은 결국 “부르는 게 값”이라는 점이다.

 또한 ‘안락사 없는 보호소’ 등을 내세워 파양을 원하는 보호자들을 유인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파양된 동물을 다시 ‘유기동물’로 둔갑시켜 재분양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다. 이 과정에서 파양비나 각종 치료비·수술비 등을 요구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처럼 △과도한 관리비·책임비 요구 △파양을 과도하게 독려하는 멘트 △SNS 후기·사진 중심 홍보 등은 신종 펫숍을 의심해야 할 대표적 특징으로 꼽힌다.

 분양되지 않은 동물이 버려지는 사례도 있다. 실제로 2023년 경기 여주시에서는 개와 고양이 118마리의 사체가 매장된 채 발견됐다. 신종 펫숍에 맡겨졌다가 방치 후 암매장된 동물들이었다.

 현행 동물보호법은 동물판매업자의 등록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보호소나 복지 단체 명목으로 운영되는 경우 단속이 쉽지 않다. 점검 역시 등록 여부·시설 기준 등 행정 절차 중심이어서, 실제 동물복지 실태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결국 신종 펫숍은 ‘보호소’와 ‘입양센터’라는 이름 뒤에 숨어 판매업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관리망을 피해가고 있는 것이다.

 광주에서도 이같은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동물보호센터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보호 중인 유기·유실동물은 436마리다. 유기동물 발생 건수는 최근 3년간 꾸준히 감소했으나, 정작 입양 및 기증률은 지난해 34%에서 올해 9월 기준 28.1%로 떨어졌다.

 유기동물은 줄고, 공공 보호시설은 확충됐지만 입양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설적인 상황이다. 시는 그 배경 중 하나로 ‘신종 펫숍’ 확산을 지목했다. SNS나 포털에서 ‘무료 입양’을 내세우는 곳들이 늘면서, 시민들이 시 직영 보호소 대신 상업적 분양처로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동물판매업 허가를 내고도 ‘유기동물 입양센터’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업체들이 있다”며 “실제로 민원이 자주 들어오지만, 저희 보호센터가 아닌 곳에서의 입양 과정에 벌어진 일이라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품종견을 선호하는 분들이 많은데 동물판매업이 무분별하게 늘어나는 흐름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펫숍 중심의 선택에서 벗어나 유기동물 입양을 먼저 고민할 수 있도록 시민 인식 개선과 책임 있는 입양 문화를 확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