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하수처리장 총인처리시설 시공사 선정과 관련한 잡음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광주시의회에서 문제를 제기한 이후 시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의혹은 더욱 증폭되는 양상이다. 급기야 시민단체가 나섰다. 참여자치21은 총인처리시설 시공사 선정의 취소를 요구했다. 그렇지 않으면 감사원 감사청구나 검찰 수사의뢰, 공정거래위 제소 등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총인처리시설 관련 의혹의 핵심은 입찰 참가업체의 담합 여부, 평가항목 적절성 여부, 수질기준 후퇴, 심사위원들에 대한 로비 여부 등이다. 이런 흔적들이 곳곳에서 보인다. 충분히 의심을 살만 하다. 이를 불식시키려면 관련자료는 물론 시공사 선정 과정 전반을 시의회와 시민사회단체에 낱낱이 공개하고 함께 검증에 나서야 한다. 기술적 부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생긴 오해라는 식으로 적당히 넘어가려 한다면 사태는 더 악화될 것이 명약관화하다. 광주시의 책임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총인처리시설과 관련한 의혹은 시청 내부에서부터 불거졌다. 시가 소속 공무원 5명을 포함해 설계심사 분과위원 7명을 전격 해촉한 것이다. 왜 갑자기 심사위원을 해촉했을까, 혹여 특정 업체에 좋은 점수를 줘 해촉당한 건 아닐까 하는 의혹이 일었다.

 가격담합 의혹도 우연이라 치부하고 넘어가기엔 석연치 않았다. 4개 건설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는데 가장 많은 금액을 제시한 업체와 가장 적게 써낸 업체간 가격 차이가 겨우 1억5200만원에 불과했다. 1000억원에 육박하는 초대형 공사에 대한 입찰가격 차이가 이 정도라면 누구라도 의심의 눈길을 보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시공사의 유지관리비를 인하하는 과정에서 수질기준을 후퇴시켰다는 주장도 나왔다. 특히 일부 심의위원들의 평가사유서 의견이 동일해 사전에 로비를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처럼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의혹들이 제기됐는데도 광주시가 명쾌하게 해명하지 못하고 얼렁뚱땅 넘어가려 한다면 이는 의혹의 해소가 아니라 의혹을 더욱 증폭시킬 것이다.

 시가 떳떳하다면 오히려 더 강력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의회와 시민사회단체, 학계 등과 함께 검증단을 꾸려 시공사 선정과정 전반을 들여다보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오히려 스스로 감사를 요청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시공사 선정을 백지화하고 관련자를 처벌하는 수순을 밟아야 한다. 반대로 문제가 없다면 사업은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광주시는 의회와 시민단체의 의혹제기를 단순한 시정 발목잡기로 생각해선 안된다. 오히려 책임있는 자세로 제기된 의혹들을 검증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