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자전거 타요]
수완~첨단간 첫 시도… 중앙차로제도 검토 필요

▲ 최근 개통한 광주 첨단~수완간 도로. 끝차선(노란선)을 자전거도로로 할애했다.

자전거는 보도로 가라한다. `자전거도로’라고 선 그어진 곳이다. 그런데 불법이다.

도로교통법은 자전거를 차로 규정한다. 보도에서 사람과 부딪힐 경우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이렇듯 `무늬만 자전거 도로’를 까는 데 광주시와 각 자치구는 1995년부터 100억 원 이상을 썼다. 법상으로, 그리고 현실적으로도 실용성이 없으니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자전거는 차도로 내려가야 한다. 법상으론 옳지만 목숨을 걸어야 하는 게 현실이다.

씽씽 달리는 차량들은 자전거에겐 흉기다. 자동차 운전자들은 대놓고 무시한다. “왜 자전거가 차 속으로 들어오냐”고…. 때론 위협도 마다하지 않는다. 경적에, 삿대질이 난무한다.

전용도로를 갈망하지 않을 수 없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의 제일 조건이기도 하다.

차도를 줄여야 가능한 일이다. 이른바 `도로 다이어트’다. 차량 운전자들이 좁아진 도로로 인한 불편을 감내하겠다는 `사회적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

이게 쉽지 않다. 버스나 택시 등 대중교통, 그리고 자가용 운전자들의 반발 때문이다.

그래도 자전거가 대세인 세상이다. 한없이 거스를 수만 없는 흐름인 것. 자전거도시인 창원시를 비롯 충북도 등이 `도로 다이어트’를 실시했거나, 계획 중에 있다.

광주시도 최근 자전거전용도로를 선보였다. 차도를 줄이는 `도로 다이어트’ 방식으론 최초다. 최근 개통한 첨단~수완간 도로 상이다. 차도 끝차선에 양방향 자전거전용 도로를 만들었다. 약 1.5km 구간이다. 대신 시내버스는 중앙차로제를 채택, 끝차선에서의 자전거와 충돌을 막았다.

`자전거도로가 차도로 내려왔다’는 자체로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 `의미’를 넘어서면 아쉬움이 많다.

차도와 자전거도로를 경계짓는 것은 노란 실선 뿐이다. 펜스 등 차단시설이 없어 차로부터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차도와 구별되는 색의 아스콘 포장이라도 했어야 했다.” 문종호 (사)자전거사랑전국연합회 광주본부 사무국장은 “더 나아가 차도와 높이를 달리하는 구조를 택했다면 실효성이 훨씬 높아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전거도로는 차도보다 5~10cm정도 높이고, 보도는 자전거도로보다 그 만큼을 높이는 `계단식’ 구조를 주문함이다.

그나마 신설 도로였기에 이나마라도 가능했다. 옛 도로에선 자전거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훨씬 더 어렵다.

끝차선은 대중교통의 승하차와 주정차 등으로 자전거가 달릴 수 있는 여건이 못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자전거 중앙차로제를 시범운영해보자”고 제안한다. 김광훈 빛고을바이크사업단 사무국장은 △광송간 도로 △월곡동~상무지구간 무진로 △유동사거리~옛 도청까지 구간 등을 자전거 중앙차로제 시범구간으로 삼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도로 중앙에 보도턱과 펜스로 차단된 전용도로를 가질 경우 자전거가 차량보다 훨씬 더 빠른 대중교통수단이 될 것”이라는 장담이다. “자전거 타는 인구가 많아야 이런 시도를 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는 행정식 접근법은 “기반시설이 잘 갖춰지면 자전거족은 당연히 늘게 된다”는 이용자들 셈법과는 차이가 있다. 양 자가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다. 채정희 기자 good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