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등 정책 ‘부족’ 지적 관련
“숙성 단계, 완성차 공장 유치로 발현”

▲ 윤장현 광주시장이 22일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민선6기 3년 결산 기자회견을 가졌다.
임기 막바지에 접어든 윤장현 광주시장은 22일 민선6기 3년 결산 기자회견에서 수많은 성과들을 제시했다.

하지만 윤 시장이 제시한 성과들에 대한 시민들의 체감도는 그리 높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광주형 일자리’ 모델 구축이다.

이날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윤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대한민국 제조업이 경쟁력을 잃고, 대기업이 국내투자를 주저하는 데는 높은 임금과 갈등적 노사문화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진단에 다라 노·사·민·정 사회적 합의와 대타협을 통한 연대임금, 노동시간 단축, 노사책임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 등을 골자로 한 것이 ‘광주형 일자리’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노·사, 시민사회단체, 여성계 등 22개 주체가 한데 모여 ‘광주형 일자리’ 실현을 위한 기초협약을 체결했다”며 “문재인 정부도 광주시의 일자리 모델을 제조업 위기를 복할 새로운 국가정책으로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과 관련해 광주시가 별도로 제공한 ‘(윤장현 시장)취임3주년 종합보고서’에는 ‘민선6기 3년 담대한 변화 당당한 미래’의 두 번째 사례로 ‘고용절벽대안 광주형 일자리 모델 확산’이 제시됐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가 실제 적용됐거나 광주형 일자리로 볼 수 있을만한 사례가 발굴된 것이 있느냐에 대해 광주시는 물론 윤장현 시장도 ‘자신있는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다.

이전부터 “광주형 일자리의 실체가 있느냐”는 비판섞인 의문이 끊이질 않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윤 시장의 기자회견처럼 문재인 정부가 광주형 일자리에 관심을 보이면서 어느 정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확산되고 있지만, 확인 가능한 실질적인 모델은 ‘추진 중’이다.

지난해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윤 시장 취임 2년에 대한 평가를 통해 “알맹이 없는 정책”이라고 혹평한 바 있다.

민선6기 들어 광주시가 시도한 각종 정책과 사업들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도 많았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윤 시장은 “어떤 지적도 받아야 될 위치에 있는 사람이 시장”이라면서도 “광주가 해온 정책에 대해 지역에선 점수가 짠 것 같다”고 반론을 폈다.

윤 시장은 “전기자동차 되겠냐? 에너지밸리 되겠냐? 그 말씀(시민단체 지적)을 기억한다. 광주형 일자리 실체가 있느냐는 질문도 받았다”며 “전기차는 국가사업으로 가고 있고, 에너지밸리도 기업 유치 등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체적으로 보면 숙성해야 될 시간”이라며 “지방정부로서 ‘우리’가 집권 여당이 아닌 상황에서 사실은 말 못할 고비를 공직자들과 함께 극복해 가는 과정이 있었다”고 그간의 고충을 토로했다.

윤 시장은 특히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서는 “여러 주체들이 토론하고 실천 협약을 만든 것 자체도 큰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광주 공동체가 이 일에 동의하고 함께 완성시켜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자동차 부품클러스터에 완성차 공장 유치를 통해 이 일이 구체적으로 발현될 것으로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다”며 “구체적인 실천 협약을 만들고 완성도를 높여 기업을 유치하고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소통과 협업을 통해 이 일을 완성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정 혁신에 대해서도 “내부 협업 시스템, 시민이 중심이 돼서 문제를 풀어가는 시민 직접 참여, 협치 시스템이 8부능선을 넘어 공직자들과 함께 시스템 속에서 움직이는 체제를 갖춰가고 있다”고 말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