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유족 껴안고 ‘임~행진곡’ 제창

▲ 지난 5월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5·18유족을 꼭 껴안고 위로하고 있다.
 “1980년 오월 광주는 지금도 살아있는 현실입니다.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연장선 위에 서있습니다. 새 정부는 5·18민주화운동과 촛불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할 것입니다.”

 지난 5월18일 제37주년 5·18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 중 일부다. 이는 5·18민중항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기준점’으로 당당히 선 순간이기도 했다.

 대한민국뿐 아니라 5·18, 광주에게도 2017년은 대전환점이 됐다.

 그 시작이 된 37주년 기념식은 5·18의 위상이 어떻게 달라질지를 압축적이고,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누구나 입장 가능한 ‘국민 개방형’으로 치러진 기념식엔 역대 최대 규모인 1만여 명의 추모객이 참석했다.

 그리고 이 자리에서 이명박·박근혜 정권 9년간 마음껏 부르지 못한 5월의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9년 만에 부활했다.
 
▲국방부 특조위·암매장 발굴 등 진실 향한 전환점 마련
 
 문 대통령을 비롯해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가인 김종률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 5·18유족 등이 함께 손을 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목청껏 불렀다.

 앞서 1980년 5월18일 아버지를 잃은 김소형 씨가 추모사를 낭독하고 자리로 돌아가는 순간엔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졌다.

 추모사에 눈물을 흘리던 문 대통령이 갑자기 일어나 김 씨를 부둥켜 안고 위로한 것이다. 모두가 놀란 ‘감격의 장면’이었다.

 특히, 문 대통령은 5·18진실규명, 옛 전남도청 복원, 5·18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 종식 등 ‘5월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밝혔다.

 5·18 진실 찾기는 ‘대세’가 됐다.

 지난 7월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 및 국가공인보고서 채택 등을 담은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안’이 발의됐다.

 국정감사에선 전두환 신군부가 범정부 차원의 5·18왜곡을 시도한 정황을 뒷받침하는 문건이 공개됐고, “전두환 신군부가 5·18 상황일지를 조작했다”는 전남경찰청의 보고서도 나왔다.

 정부도 움직였다. 5·18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과 전투기 폭격설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특별 조사를 지시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선 지난해 연말부터 올해 초까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의 조사를 통해 전일빌딩 10층 내부에서 5·18 당시 계엄군 헬기 사격으로 인한 총탄 흔적이 무더기 확인된 바 있다. 특히, 국과수는 이 헬기 사격이 기총 소사였을 가능성을 인정했다. 시민들을 무차별 학살해 놓고 ‘자위권 발동’이었다고 한 전두환 신군부의 거짓 논리가 깨진 것이다.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방부는 바로 후속 조치에 착수했고, 지난 9월11일 ‘5·18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 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이하 특조위)’가 출범했다.

 지난 8월 개봉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택시운전사’는 5·18 진실에 대한 열망과 추모 분위기에 더욱 힘을 싣기도 했다.

 5·18기념재단과 5·18단체들은 5·18 행방불명자 찾기에 나섰다.
 
▲5·18 헌법 수록 기대…한국당 특별법 ‘발목잡기’ 옥에티
 
 1995년 서울지방검찰청에서 작성된 5·18 당시 광주에 파견된 제3공수여단 김모 중령의 진술조서가 계기였다. 여기엔 “12구의 시체를 매장한 사실이 있다”는 진술과 함께 옛 광주교도소 내 시신을 암매장한 위치가 표시된 약도도 포함돼 있었다.

 당시 광주교도소 수감자의 증언 등도 뒷받침되면서 옛 광주교도소에 5·18 희생자들이 암매장됐을 정황은 더욱 또렷해졌다. 암매장 발굴 조사가 본격 추진됐다.

 지난 11월6일 교도소 북쪽 담장 밖 117m 구간에서 시작된 5·18암매장 추정지 발굴조사는 교도소 서쪽, 남쪽은 물론 화순 너릿재, 옛 상무대 인근 광주천변으로까지 확대됐다.

 아직까지 유해나 암매장 흔적이 발견되지 않고 있지만 이번 조사를 계기로 3공수여단 부대원 출신들의 ‘양심고백’이 잇따르면서 5·18 암매장의 진실이 밝혀지지 않을까하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5·18역사왜곡의 결정체인 ‘전두환 회고록’에 대한 법원의 출판 및 배포 금지 가처분신청 인용, 5·18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 전일빌딩 총탄흔적 보존 등도 5·18 37주년이 남긴 결실이다.

 다만, ‘5·18진실규명 특별법’ 연내 제정이 자유한국당의 ‘발목잡기’로 무산되면서 이러한 노력이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로 확대되는 것은 다음을 기약해야 하는 상황이다.

 5·18단체들은 이와 관련해 “특별법 처리를 보류한 것은 민심을 읽지 못한 결정”이라며 다시 한 번 조속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