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6월 광주 어느곳보다 치열하게 투쟁
30주년 금남공원·서현교회 2곳만 기념석
옛중앙교회·YWCA 등 핵심현장 흔적 없어
 

▲ 광주 금남공원 인근에 설치된 6월항쟁 기념석.
 전두환 군부를 몰아내고 직선제를 쟁취한 32년 전 6·10민주항쟁을 이끌었던 광주지만 정작 당시 뜨거웠던 현장들에선 ‘6월항쟁’의 흔적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32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6월항쟁의 광주·전남 역사 정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제라도 32년 전 ‘광주의 6월’을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광주·전남 6월항쟁기념사업회에 따르면, 6월항쟁 30주년이었던 지난 2017년 광주 금남공원과 서현교회(남구 구동) 두 곳에 6월항쟁 기념석을 세웠다.

 금남공원이 있는 금남로 일대는 87년 당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청소년과 청년, 시민들이 모여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친 뜨거운 거리 시위의 현장이었다.

 광주 서현교회는 시위 참여자들의 피신처이자 쉼터, 다시 싸우기 위해 전열을 정비하는 거점 역할을 했다.
 87년 당시 광주·전남은 6월항쟁을 선도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치열했던 현장에 ‘6월’은 없다
 
 광주 곳곳에서 4·13호헌조치 철폐와 독재타도, 직선제 쟁취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불거졌다. 특히 6·10대회 이후에도 광주는 6월26일 40만 명이 거리로 나서 국민평화 대행진을 진행하며 끝까지 투쟁의 불씨를 활활 타오르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뜨겁고 치열했던 투쟁 열기에 비해 광주·전남의 6월항쟁 역사는 조명받지 못했다.

 6월항쟁이 태동하고 펼쳐진 현장들에서도 6월항쟁의 흔적들을 찾아보기 힘든 현실 자체가 이를 잘 보여준다.

 87년 6월10일 종교계, 대학생, 고등학생, 노동자 등 5만여 명이 시위에 나섰던 무대였던 옛 광주중앙교회, ‘국본(전남 국민운동본부)’가 있었던 투쟁기지 광주YWCA에도 6월항쟁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1987년 6월항쟁 당시 시위 참여자들의 피신처이자 쉼터였던 광주 서현교회 건너편에 설치된 6월항쟁 기념석.|||||

▲6월항쟁 햄심 현장 최소 11곳

 기념사업회는 30주년 때 6월항쟁의 핵심적인 역사 현장으로 최소 11곳을 꼽았다. 옛 중앙교회, 광주YWCA를 비롯해 구 공용터미널, 옛 태평극장, 전남대학교, 광주세무서 인근 등이다.

 5·18민중항쟁의 경우 사적지마다 사적비가 세워져 현장과 관련한 대략적인 역사라도 안내하고 있지만 5·18을 계승한 투쟁인 6월항쟁의 현장들엔 ‘6월항쟁’의 기록이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기념사업회 측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6월항쟁이 ‘민주화운동’ 중 하나로 명시됐을뿐 사실상 기념사업을 위한 법적 근거가 없다”며 “1년에 광주시와 전남도에서 지원 받는 기념사업비는 사실상 기념행사를 치를 수 있는 정도여서 지역의 6월항쟁 역사 연구나 역사를 계승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하기에는 역부족이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 6월항쟁 30주년을 맞아 기념사업회가 광주·전남의 6월 항쟁사를 정리하긴 했지만 보다 더 깊은 역사연구와 의미 해석, 정신계승사업으로의 연계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역 차원 기억·기록 고민해야”
 
 그동안 광주시 차원에서 6월항쟁의 기념·계승사업이 심도 있게 논의되지 못했던 것도 아쉬운 부분이다.

 광주시는 지난 4월 ‘민주화운동 기념사업 및 정신계승 기본계획수립 연구용역’에 착수, 이를 통해 4·19혁명부터 6월항쟁,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지역에서 발생한 민주화운동을 분석하고 정신계승 사업에 대한 발전 전략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계기로 미진했던 지역의 6월항쟁사가 정립될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기념사업회 조선호 사무처장은 “6월항쟁과 5·18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며 “광주지역에서 벌어졌던 87년 6월의 역사도 조명하고, 깊이있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6월항쟁의 현장들이 역사를 알리는 거점이 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지역사회 차원에서 역사탐방 등 다양한 콘텐츠를 고민하는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용역이 9월 중 끝나면 2020~2024년 5년간 지역 민주화운동 역사를 정립하고 정신계승을 위한 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된다”며 “이를 바탕으로 6월항쟁의 역사를 알리기 위한 추모·기념사업 방안도 마련될 것이다”고 밝혔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