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개 철판부식 원인 추적 중 콘크리트벽 ‘구멍’ 확인
환경연 등 “원전 안전체계 무능력, 근본적 대책 마련해야”

▲ 영광군 홍농읍에 있는 한빛 원자력발전소.<광주드림 자료사진>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 4호기의 콘크리트 벽면에 ‘공동’, 즉 구멍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가 철저한 원인조사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원자력안전연구소(준)는 지난 27일 성명을 내고 “한국형 원전이라던 한빛 원전 4호기가 방호벽에 구멍이 뚫린 채 가동 중이던 것이 확인됐다”며 “원인을 제대로 밝히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지난 27일 한빛 4호기 격납건물 철판 뒷면 일부 구간(18.7cm x 1~21cm)에서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은 ‘공동’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한빛원전 4호기에서 120군데에 달하는 철판 부식이 확인돼 그 원인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알려진 것이다.

이후 “한빛원전 4호기 상부 원형 돔과 하부 경계지점에서 가로 14센티미터, 세로 20센티미터 크기 샘플을 채취한 결과 57개에서 빈 공간이 발견됐다”는 내용도 보도가 됐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등은 “원전 5대 방벽 중 방사성물질 방출을 막는 최후방벽인 철판이 부식되고 구멍이 뚫린데 이어 미사일 공격에도 끄떡없다던 1.2m의 콘크리트 벽에도 구멍이 뚫린 것이다”며 “원안위가 주장하는 대로 원인이 부실시공이라면 지난 20년여 년간 한빛원전이 방호벽이 없는 채 가동된 것이다”고 지적했다.

특히 “콘크리트 열화 등의 문제일 수도 있는데 10년마다 한다는 주기적 안전성 평가도 무용지물이었다”며 “규제기관은 허수아비였던 것이다”고 꼬집었다.

원안위는 지난 2016년 6월 한빛 2호기 정기검사 중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위한 5대 방벽중 제 4 방벽인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LP, Containment Liner Plate, 격납건물 철판)의 뒷면(최종 방벽인 콘크리트와의 접착면) 부식(일부는 관통) 발생을 확인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한빛2호기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낙하 사고에 따른 공사 중지로 16개월간 철판이 대기에 노출된 것을 원인으로 제시했으나 그해 11월 한빛 1호기에서 동일한 부식이 발견되자 해풍 방향 부분에 염분이 부식을 유발했다는 논리를 제시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해 11월 한울1호기와 올해 2월 고리3호기에서 해안 방향 이외에서 철판 부식이 발생하자 올해 3월17일 제 67회 원안위에서 격납건물 건설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잠정결론을 내렸다”면서 “그때까지 격납건물 철판 부식이 발생한 원전이 우리나라 대표 원자력 발전 노형인 한국표준형 원전의 도입 이전 원전이라는 것을 근거로 든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안위는 원인 파악이 이루어졌다면서 10개월간 중단 중이던 한빛 원전을 지난 3월21일 재가동 승인했다”며 “그러나 불과 두 달만인 지난 5월 한국표준형 원전인 한빛 4호기에서도 무려 120곳이 부식되어 있었던 것을 확인했고 나아가 콘크리트 방호벽의 내면 쪽으로도 구멍이 생겼다고 원안위가 발표한 것이다”고 밝혔다.

방호벽 구멍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명백한 부실공사’임을 지적하면서 원자력 안전체계의 ‘무능’도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과 원자력안전연구소(준)은 “약 10개월간 정지하고 있던 한빛 1, 2호기의 재가동 승인이 이뤄질 때 충분한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한수원과 원안위는 건설 공법이 다른 한빛 원전 3호기 이후 건설 원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엉뚱한 답을 제시하고 졸속적으로 재가동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건을 단순 부실시공으로만 한정하지 말고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존 철판 부식 원인까지 다시 점검해야 한다”며 “콘크리트 균열과 열화(오래되어 약화됨) 문제까지 총체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