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실습생 죽음 더 나오지 않도록

 극히 소수의 교육청만이 개선방안에 동의했다. ‘고용률 70%로드맵’과 ‘일학습병행제 확산 방안’으로 창조경제를 이끌겠다는 박근혜적폐정부에서 가장 많은 비율(35.1%)을 차지하는 ‘일학습병행제 참여 학습근로자’군은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졸이었다. 그런데 LG유플러스 현장실습생이 죽임당하자 사각지대에 놓인 현장실습의 대안을 찾고자 국회에서, 국가인권위에서 토론회가 벌어졌고 현장실습의 정상화·내실화 정책을 내왔던 교육부에서는 조기 취업형 현장실습을 학습 중심 현장실습체제로 개편한다는 개선방안을 수립했다.

 하지만 죽임에 대한 정치권의 난장판이 가라앉을 만한 늦여름, 전국 대부분의 교육청 관료들은 취업률로 재정지원을 장난치지 않겠다는 공언에도 아랑곳없이 교육부의 개선방안을 내동댕이쳤다. 광주시교육청이 그 대부분에 들어있지 않음을 다행으로 여겨야 함에 쓴웃음만 머금는다.
 
분위기를 조장하는 자 누구인가

 어느 모 일간지 9월5일 기사에서는 서울 종로구의 한 회의실 토론회 자리에 모인 직업계고 학생들이 “기업들 입장에서 보면 특성화고 학생들을 뽑을 명분이 사라진 것”, “같은 능력과 임금이면 굳이 갓 졸업한 고등학생을 뽑을 이유가 있겠느냐”, “현장학습을 통해 취업에 나갈 수 있다는 특성화고의 장점이 줄어들 수 있다”, “취업보다 전문대 진학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라고 한다며 교육부의 개선방안에 학생 입장이 빠졌다는 비판을 했다.

 그리고 국회입법조사처는 9월25일 ‘이슈와 논점’에서 현장실습 1개월 운영기간이 직업계고 설립의 취지와 현장실습의 교육목적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며 이 기사를 들먹였다.

 현장실습을 바꿔보자는 정치권의 난장판이 잦아드니 조기취업 현장실습 찬성기사를 개선방안비판거리로 삼으려는 국회입법조사처의 저의는 무엇이며 이것에 편승해 이미 죽어버린 지난 정부의 ‘고용률 70%로드맵’을 부활시키고자 개선방안을 내동댕이 치는 학교의 장들은 또 무엇인가.

 관리자 없이 일하다 죽임당한 음료제조회사 현장실습생의 죽음이 앞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현장실습제도 개선방향을 만들어야 한다는 여당 원내대표의 모두발언이 정치권의 난장판이 되지 않으려면 이렇게 떠돌아 다니는 유령들을 하루속히 하늘로 올려 보내야 할 것 같다.
 
개선방향 아닌 실행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교육부의 개선방안은 △학습중심 현장실습 지원체제 마련 △학생 보호 중심의 현장실습 강화 △법·제도 정비를 통해 학습(취업준비)중심으로 현장실습체제를 개편해 학생의 학습권·인권보호 및 양질의 일자리 취업 촉진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이것이 기존 현장실습제도의 전면개편이 아닌 점진 개선이라 하더라도 그 방향은 분명하기에 개선방향을 찾아야 한다는 소리는 머리를 갸우뚱하게 한다.

 일이 터져야 날선 칼 위에서 푸닥거리는 정치권의 난장판을 피하고 교육부의 개선방안을 실질화 할 구체적 실행방안이 필요한 때, 이 난장판을 갈아치울 모험가가 되었으면 하는 광주시교육청에 과감한 실험을 주문하고 싶다.
홍관희<민주노총 법률원 공인노무사>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