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환경연합 하남산단 주변 인식조사 결과

▲ 하남산단 전경.<광주드림 자료사진>
 노동자와 인근주민을 대상으로 광주 하남산단 유해화학물질 인식조사를 한 결과, 대처방법이나 정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남산단은 조성 36년 된 노후 산단이다. 최근엔 남영전구 수은노출사고, 세방산업 발암물질배출 등 유해물질 관리소홀 사례가 연이어 발생한 터라 “규제강화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광주환경운동연합과 광주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하남산단 근무 노동자와 인근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는 9월 25일부터 13일 간, 환경·노동·보건 등 전문가의 자문으로 하남산단 인근 거주 주민 338명(장덕동, 하남동, 흑석동, 수완동)과 근로자 12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노동자들은 화학물질 대처방법 등에 대해 관리나 교육을 제대로 못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하남산단 노동자 75.8%는 화학물질 관련 교육을 지난 1년 간 한번도 받아보지 못했다고 답했다.
 
▲노동자 75.8% “1년간 교육 한 번 안받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정보도 74.2%가 전혀 모르고 있었다.

 물질안전보건자료란 화학물질에 대해 유해위험성, 응급조치요령, 취급방법 등 16가지 항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자료다. 안전보건공단은 홈페이지에 이를 공개하고 있다.

 작업도중 화학물질 노출 시 대처방법도 전체 응답자의 51.7%가 마찬가지로 몰랐다.

 반면 “화학물질이 건강에 영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77.5%가 영향이 많다고 생각했다.

 연이은 화학물질 관리소홀 사례로 우려가 높으나,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형태다.

 또한 정규직(69.1%)보다 비정규직(85.1%)가 교육 기회가 더 적었고, 경력 3년 미만(76.2%), 시간제(75%), 단순노무직(72.7%) 등 유해화학물질에 직접 노출될 경우가 많은 층이 화학물질 대처방법에 대해 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관리 개선을 위해 시급한 일은 제도개선과 예산 확대(30.8%), 인식개선과 감시 및 모니터링 강화(27.5%), 전담기관 운영(13.3%) 순으로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담기관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인근주민들도 정부가 제공하는 관련 정보에 대해 모르긴 마찬가지였다.
 
▲주민 70% “정부 제공 정보 시스템 몰라”

 주민 69.5%가 관련 시스템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20대(5.9%)~30대(6.3%) 젊은 층의 경우엔 시스템 인지도가 특히 낮았다.

 이처럼 정부가 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 녹색제품정보시스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등을 구축해 화학물질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정작 이용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0.3%는 미디어매체(TV, 신문 등)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알게 됐다. 정부 및 관련기관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3%에 불과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정은정 간사는 “내 집 주변 유해화학물질 배출정보 제공에 75.5%가 찬성하고, 유해화학물질 제품 정보 제공에도 88.2%가 긍정적으로 답했다”며 “이에 대한 정보제공도 염두에 둬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노동자의 대다수가 관련교육을 받지 못했고, 절반이상이 화학물질 노출 시 대처방법도 알지 못해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업장에 대한 화학물질 관리프로그램을 도입하고, 노동자 대상으로 화학물질 및 안전교육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