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를 키웠는데, 이웃 사랑이 자랐네!
한 해 배추 농사 김장 후 마을 어르신과 나눔

▲ 한해 농사로 수확한 배추를 품은 평동초 학생들.
 직접 키운 배추로 김장을 하고 이웃들과 나누기까지. 1년 간 쏟아 부은 정성이 결실로 돌아오는 기쁨을 배운다. 더불어 정성껏 보살피고 관심을 기울일 때, 그 기쁨이 두 배가 되는 경험도 한다. 생태교육을 넘어 나눔교육으로 확장되는 순간이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옥동에 위치한 광주평동초는 생태교육과 나눔교육의 터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특성 모두가 공존하는 지리적 여건은 생태교육을 하기에 맞춤인데다 지역 공동체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나눔교육의 뿌리가 더 잘 뻗어나갈 수 있다는 믿음이 그 토대다.

 평동초는 올해 학생들이 직접 키운 농작물로 김장을 해 동네 어르신들과 나눴다. 작년까진 큰 규모의 노인복지관에 나눴지만, 올해부턴 주변 16개 마을 경로당을 돌며 ‘사랑나눔 봉사활동을 벌였다. 김치를 나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하루 동안 어르신들의 손자가 돼 인연을 맺는 활동도 진행했다.
 
▲생태·나눔교육 이어지는 연결고리 정착

 평동초 김용진 혁신연구부장은 “학생들이 직접 마련한 김치를 한 동네에 살고 있는 어르신께 나누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 활동을 통해 더 큰 교육적 효과를 본다”면서 “영산강 쓰레기 줍는 활동과 같은 일시적인 봉사활동을 할 수도 있지만,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나눔의 기쁨을 체감하는 과정에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평동초 학생들만 나눔의 기쁨을 누리는 게 아니다. 평동초 학부모들 역시 학생들에게 필요한 농사 지식이나 물리적 지원에 대한 공유를 아끼지 않는다. 특히 2015년부터 아버지들이 주축이 된 ‘생태지원단’은 농기계 등을 지원하며 농사에 도움을 주고 있다.

 김장 담그기 행사를 진행할 때도 학부모들의 지원이 컸다. 18명의 학부모들이 참여해 김장 일손을 보탠 것. 현재 전교생이 89명인 것을 고려할 때 학부모 참여 비중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평동초 역시 학부모들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게 쉬운 과정만은 아니었다. 평동공단에 근무하는 학부모들이 많고 농사를 짓는 학부모들이라도 학교 운영에 개입할 여지가 적었다. 하지만 학교 안팎의 자원을 활용한 교육방식을 택함으로써 학부모들 역시 도움을 줄 수 있는 범위가 늘어났다.

 평동초 혁신학교 1기 혁신부장을 맡았던 김양중 연구부장은 “학교 밴드(SNS)를 운영하며, 학부모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고 행사 후 협의회에서 학부모들도 한 주체로 참여하면서 점차 영향력이 확대되는 중”이라며 “학교가 발전하는데 학부모의 지원은 큰 동력이 됨을 실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 안팎 자원 활용하니 시너지 효과 커”

 평동초의 생태교육은 교육과정재구성의 형태로 모든 학년에 적용된다. 5학년의 경우, C·I·A(Callenge·Investigate·Act) 프로젝트 일환으로 생태교육과 진로교육을 연계하고 창체시간과 묶어 33시간을 할당했다. 텃밭가꾸기 뿐만 아니라 토끼 키우기 등 중장기 프로젝트가 포함된다.

 평동초는 혁신학교 1기를 거쳐 올해 재지정 1년차를 보냈다. 작은학교라는 한계 속에서 혁신학교를 운영하며 오히려 큰 전환점을 맞고 있는 중이다. 평동초의 교육방식에 대한 입소문이 퍼져 4년 전에 비해 학생 수가 두 배 이상 늘었다. 내년엔 학생 수가 90명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근에 자리한 평동중학교가 특성화학교이자 혁신학교로서 역량강화에 중점을 둔 교육방식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평동초의 인기도 올라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평동초는 학구를 넘어 광산구 전 지역에서 입학이 가능한 자율학교인 것.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특성을 겸비한 학생들이 모이는 구조다.

 평동초 김길심 교장은 “다양한 구성원들이 모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게 되는 평동초의 특성 상 어려움도 없지 않지만, 오히려 다양성을 몸으로 학습하고 다름에 대한 이해가 커지는 것 같다”면서 “소외된 이웃에게 관심을 갖고 가진 것을 나눌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하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유정종 교감 역시 “학교가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것은 행복이라는 가치라는 점을 잊지 않으려 한다”며 “생태감수성이 자라고, 이웃에 대한 사랑도 배우는 행복 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