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철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다. 지방선거 출마자들 역시 미세먼지 등 환경 관련 공약을 속속 내놓고 있다. 광주지역에선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제에 따른 녹지 보전이 현안으로 떠오른 상황. 유권자들은 정치인들에게 중앙공원 등 장기 미집행 공원을 얼마나 지킬 수 있겠느냐고 묻고 있다.
 봄철에 접어들자 미세먼지가 유래없이 기승을 부려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여느 때보다 높다. 이는 지방선거에서도 마찬가지여서 6·13지방선거 광주지역 예비후보들도 미세먼지·환경 공약들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정부 대책을 재탕하는 수준이거나,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실행할 수 없는 것이어서 “형식적”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빅데이터 활용…체계적 대응해야”

 박혜자 더불어민주당 광주 서구갑 국회의원 선거 예비후보는 “체감하는 환경오염을 정확히 측정하고 환경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에는 도시대기 측정기 2곳, 도로변 대기 측정기 등 모두 8곳에 미세먼지 측정기가 설치돼 있지만, 대부분 건물 옥상에 설치돼있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있어왔다.

 박 예비후보는 이에 버스정류장 등에 간이측정기를 설치하겠다고 공약했다. 설치된 측정기를 활용, 빅데이터를 구축해 미세먼지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장 예비후보도 “광주시 내 미세먼지 측정망을 개선해 미세먼지 예보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미세먼지 주요발생원인과 취약계층 분포 등을 고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지정해 피해저감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특히 불법주정차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해 불법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고, ‘광주시 빅데이터센터’를 설치해 교통·환경 분야에서 교통 체증에 대응하고, 도시철도 역사에 자전거 환승주차장을 확충하겠다는 공약도 제시했다.
 
▲“어린이·노약자 등 취약계층 대응 우선”

 그런가하면 발생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줄여보겠다”는 공약들도 제시된다. 어린이·청소년·노약자 등 취약계층의 피해를 줄이겠다는 것.

 윤난실 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구청장 예비후보는 “청정광산을 만들겠다”며 미세먼지 취약계층 보호지원을 위해 마스크와 공기청정기를 단계적으로 지급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산업단지 주변에 대해 대기오염·악취 실시간 모니터링·대응센터를 설치하고, 신재생에너지활성화를 통해 에너지 생산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근본적으로는 도시숲 개선을 위해 완충숲·하천숲·학교숲 등을 확충하겠다고 약속했다.

 강기정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장 예비후보는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노인요양시설 등에 ‘미세먼지 프리존’을 지정하고, 프리존 내에 측정소 운영, 미세먼지 청소차량, 살수차 투입, 마스크 제공 등을 조치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이밖에도 ‘미세먼지안전과학원’을 설치하고, 전기차 교체 지원 확대, 대중교통·자전거 중심 교통체계 전환, 도시숲·포켓쉼터 조성, 차없는거리, 혼잡통행료 징수 등 환경공약을 제시했다.

 미세먼지의 원인을 외부요인으로 찾으며, 외교적 대응을 강조한 후보도 있다.

 김상훈 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청장 예비후보는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과 한반도의 계절적 대기 안정 영향으로 봄가을철이 되면 우리나라의 대기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해 중국과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선적으로 우리나라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해 중국과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며 “전기자동차 인프라 확대를 통한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적극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다.
 
▲환경단체 “실효성 있는 공약 필요”

 이에 대해 한 환경단체 활동가는 “미세먼지 대책은 후보들 대부분이 환경부가 준비중이거나 고려중인 것을 나열하는 것에 머물거나 지방자치단체에서 해결할 수 없는 거시적 접근이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광역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가 실제로 해결 가능한 부분이 무엇인지 면밀히 따진 후에 실효성있는 공약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역 환경단체들은 오는 21일 지구의 날을 맞아 시민들이 바라는 광주 환경정책을 총망라해 ‘안전한 광주를 위한 공동정책제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복지 △포용도시 △동물복지 △생물다양성 △자원순환 △미세먼지 등 광범위한 내용들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