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영화 도약을 위한 컨퍼런스’ 열려
영화관련 예산 3억, 16개 시·도 중 최저
기반시설도 문턱 높아 “지원과 투자를”

▲ 광주독립영화관(GIFT)로 운영되고 있는 광주영상복합문화관.
 “실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기회가 없었던 광주영화.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플랫폼 마련을 적극 고민해야 할 때다.”

 열악한 여건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지역 영화인들의 호소다.

 지난 2016년 광주국제영화제가 좌초된 이후 지역영화 생태계를 지탱하는 것은 온전히 영화인들의 몫이 됐다. 하지만 언제까지 이대로 갈 순 없을 터.

 18일 ‘2018 광주영화페스티벌’ 개최를 계기로 지역 영화인들이 지역영화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열린 ‘광주영화 도약을 위한 컨퍼런스’다.

 문화콘텐츠그룹 잇다의 이순학 대표는 ‘광주영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영화 프로그램과 플랫폼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광주시의 영화정책의 현주소와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 대표가 파악한 2018년도 광역자치단체별 ‘영상문화 진흥사업 및 예산’ 현황을 보면, 광주시의 영화 관련 예산은 광주여성영화제 지원 4000만 원, 영화드라마제작 지원 2억7000만 원 등 3억1000만 원이 전부였다. 그나마 영화드라마제작 지원 예산은 실제 다양성 영화 제작을 지원하는 예산이 5000만 원 수준이고, 나머지는 영화 관계자들 대상 팸투어, 지역 로케이션 제작·촬영 지원에 쓰이고 있다.
 
▲광주에서 영화는 문화산업인가?

 이 대표는 “영화 제작 지원 예산은 광주 영상위원회에서 운영하는데, 실제 영화기반 활동가가 없는 조직이고, 한국영상위원회하고도 네트워크가 이뤄지지 않다”고 지적했다.

 광주시는 미래 먹을거리 산업 중 하나라 문화융복합 콘텐츠를 제시하고 있다.

 영화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들이 선호하고 쉽게 접하는 콘텐츠로 부상한지는 오래다. 최근 지역에선 광주극장을 비롯해 광주독립영화관, 국립아사이문화전당(ACC) 시네마테크 등 금남로 일대에 영화 인프라 네트워크가 구축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영화가 광주에서 문화산업으로 인정 받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1935년 ‘조선 제일’ 규모로 문을 열어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광주극장이 단순한 예술영화 상영관으로 취급받는 현실을 대표적으로 언급했다.

 이 대표는 “광주극장은 83년간 한 번도 영화 상영을 하지 않은 적이 없고, 법인 형태는 주식회사지만 아무도 문화관련 기업으로 인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화콘텐츠 진흥 조례를 살펴보면, 부산, 대구, 인천, 대전 등은 조례 명칭이 ‘문화콘텐츠산업 진흥 조례’로 돼있지만, 광주는 ‘문화콘텐츠 진흥 조례’로 돼있다.

 명칭을 떠나 이 대표는 “이 조례에 따라 광주가 의지가 있었다면 얼마든지 광주극장을 지원할 수 있었지만, 한 번도 주목한 적이 없다”며 “협의체가 있지만 실제 정책이 도입된 것도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300만 원 정도의 붐마이크, 동시녹음기 등 장비를 구하기 힘들어 20~30대 청년 영화인들이 허덕이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의 노후화된 장비를 빌려야 하는데, 누가 쓰고 있으면 빌릴 수 없고, 그때마다 ‘필름에이지’에 사정해야 한다”는 것.

 또 광주의 영상 관련 시설을 보면 당초 취지대로 운영되지 않거나 너무 문턱이 높아 이용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광주CGI센터, 영상복합문화관, 세계광엑스포주제관, 옛 영상예술센터 등이 대표적인데, 이 대표는 “CGI센터는 진입장벽이 높아 현실적으로 이용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영상복합문화관은 스마트벤처캠퍼스로 활용되고 있고, 세계광엑스포주제관은 어린이 애니메이션 상용, 안전체험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상예술센터는 현재는 음악산업지원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 영화인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예산도, 기반시설도 없는 게 광주시의 현실인 셈이다.

▲영화 관련 ‘일’이 직업이 될 수 있도록
 
 이 대표는 “미래 주역들을 위한 예비 투자가 단계적으로 조성돼야 한다”며 광주영화 플랫폼 조성을 제안했다. 이 핵심이 상영관 지원, 영화제 지원, 제작 및 배급 지원이다.

 특히, 지역 영화인들이 만든 창작물을 상영할 수 있는 광주독립영화관이나 다양성 영화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광주극장의 경우 운영 적자가 심해 안정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지원책이 요구되고 있다.

 영화제 지원도 독립영화, 청소년영화 등 지역 내에서 다양한 브랜드가 기반을 다지고 있지만 정작 여성영화제를 제외하면 광주시의 지원이 없는 상황이다. 민선7기 최대 과제가 일자리 창출인 가운데, 영화 관련 일이 ‘직업’으로 인식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도 제시했다.

 서울의 충무로영상센터 ‘오!재미동’은 영화 관련 아카이브와 창작지원, 교육, 상영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 대표는 “큰 규모는 아니지만 이 정도만 되도 광주영화의 새로운 ‘씨앗’이 뿌리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병원 동의대학교 영화 트랜스미디어 연구원은 “영화진흥위원회가 점차 지역영화정책을 강화하고 지역영화 예산 폭도 넓어질 것”이라며 관·민·산·학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지역 차원의 영화유산, 영화환경 등에 대한 실태조사 및 영화정책 추진체계 마련 등을 주문했다.

 전 연구원은 “광주는 광주영화영상인대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구성돼 영진위 지역영화정책의 정책적 ‘파트너’가 존재하는 곳”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광주가 좀더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대응을 고민한다면 다른 어떤 지자체보다 지역영화정책들이 쉽게 자리를 잡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