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고구마

 넘치면 부족함만 못하다고 했던가. 내겐 고구마가 그렇다. 얼마 전까진 잘 안 먹었다. 맛이 없는 음식이라서가 아니다. 어릴 적 너무 물리게 먹었기 때문인데 시골의 겨울, 고구마는 반쯤 주식이었다. 서리가 내리면 온 가족이 동원돼 고구마를 캔다. 끝이 없이 딸려 나오던 고구마 줄기들. 지금은 전원체험이라는 명목으로 비싼 돈 들여 그런 걸 하는 모양이지만 나는 손이 무척 시렸던 기억밖에 없다.

 캐면 그 많은 고구마는 안방 울목을 차지한다. 대나무 발을 둥그렇게 엮어 천장 높이로 고구마를 쌓아 놓았다. 차가우면 고구마는 금세 열어버리고 못 먹게 된다. 그 많은 고구마를 어떤 형식으로든 다 먹어야 겨울이 갔다.

 고구마는 날것으로 깎아먹어도 사각사각 씹히는 맛이 괜찮다. 그 시절엔 대개 쪄먹는 것이 대세였지만 가장 맛나게 먹는 방식은 구워 먹는 것이었다. 아궁이 장작 숯 속에 30분쯤 묻어 놓으면 겨울 최고의 별미가 탄생한다. 저녁은 밥 대신 군고구마로 해결했던 날이 더 많았다. 눈만 뜨면 고구마를 먹어댔고, 어느 순간부터 그것을 외면하게 됐다. 흔한 말로 질렸다.

 거의 먹는 사람이 없지만 아버지는 지금도 여전히 밭에 고구마를 심는다. 늦가을이면 어김없이 우리 집으로도 한 ‘마대’가 건너온다. 요즘엔 확실히 별미인 모양이다. 두 아들 녀석들은 고구마를 좋아한다. 쪄먹는 것은 별로인 눈치지만 군고구마는 잘 받아먹는다. 일주일에 평균 두 번씩은 겨울 밤 간식으로 군고마가 나온다.

 프라이팬에 물 없이 고구마를 올려놓으면 장작불에 구운 고구마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맛은 난다. 껍질을 벗겨내면 샛노란 고구마 살에 침이 고인다. 늘 외면하다가 최근 들어서는 나도 한두 개씩은 먹는다.

 어쩌다 군고구마를 먹을 때면 새삼스럽게 그리운 것들이 많아진다. 하나라도 더 먹으려고 저녁마다 아궁에서 싸웠던 동생의 얼굴, 아직 젊었던 엄마, 장작불에 고구마를 넣어주시던 아버지. 어떤 맛은 빛나는 추억이다. 울목의 대나무 발, 천장 높이로 쌓여있던 고구마는 누가 다 먹었을까?

  정상철 기자 dreams@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