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주도 시설 중심 사업 한계 확인
민관협의체 구성 절실

 광주천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해법들은 나와 있다.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층 면적을 줄이고 광주천의 건전한 물순환체계 확립을 위한 △상류 지역의 생태저류습지 설치 △하수처리수는 단기적으로만 이용 △하수관거정비사업, 하수처리장 방류수질 개선 등에 대한 국고지원율 상향 조정 △수질 모니터링 체계 구축 △합류식하수관거 월류수를 저류시설에 일시 저장하여 처리장에서 처리 후 방류 △분류식 하수관거 확충 △불투수층 면적을 줄여 지하수 함양률 증가 △빗물이용시설·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 확대 △치수·환경·녹지·도시재개발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통합적 접근 △하천 수질 뿐만 아니라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물 보전 등 다각도의 방안 마련 등이다.

 하지만 한계도 분명하다.

 대표적인 자연형하천정화사업 같은 ‘관 주도’의 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광주천 본류에 진행된 사업들은 전문가들의 의견이나 환경단체와의 소통을 통해 나온 것들은 아니기 때문이다.

 대다수 환경단체 활동가들이 느끼는 광주천에 대한 벽은 ‘관’과의 소통부재다.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관 따로, 민간 따로’의 광주천 살리기가 진행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전주천, 부산의 여러 하천 등 하천 살리기를 잘 진행하고 있는 지역을 보면 민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관이 이를 지원해 하천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근본적인 문제에까지 접근해 하천살리기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때문에 광주천에 현재 필요한 것은 민과 관이 협력해 광주천 살리기 민관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고 광주천 살리기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마련한 필요가 잇다. 민관전문가 협의체는 광주시의 일방적인 하천 행정과 지자체장이 바뀌면 정책이 급변하는 관행을 막을 수 있는 효율적 방안이다. 또 광주천이 행태하천으로 거듭나기 위한 중장기적인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서도 절실하다.

 광주천과 지천을 살리기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도 절실하다.

 현재 ‘광주천 지킴이 모래톱’ 광주천을 지키고자 앞장서고 있다. 모래톱과 같은 또다른 시민모니터링단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천 살리기 주민모임’ 또한 중요하다. 현재 ‘소태천과 친구하기’ 등 마을 하천을 살리려는 모임이 활성화되고 있는 점은 바람직 한 현상이다. 홍성장 기자 hong@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