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월20일 발생했던 용산참사는 주거권과 생존권을 요구했던 철거민들에게 가해졌던 국가폭력이었다. 이 사건을 경찰 특공대의 시각에서 접근했던 ‘두 개의 문’은 독립영화로는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 이것 말고도 이 영화는 용산참사 화재의 주범으로 몰려 감옥에 갇혀있던 5명의 공동정범이 특별사면 되는 데에도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게 ‘공동정범’은, 용산참사 가해자로 몰려 법적인 처벌까지 받고 풀려난 철거민들의 출소 이후를 기록하거나 인터뷰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이 영화는, 감옥에서 출소한 이들에게서 참사 당일의 진실을 듣고자 한다. 그러니까 경찰 특공대가 투입되었을 때 진압의 과정은 어떠했으며, 연대 철거민들은 망루에서 무엇을 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를 쭉 따라가다 보면 참사를 진상 규명한다는 것이 만만치 않음을 확인하게 된다. 남아 있는 기록은 충분치 않고, 최루가스가 가득 차있던 불길 속에서 살아남은 각자의 기억 역시 온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이 영화는 진실을 찾고자 노력하지만 결국에는 진실에 이르지 못했음을 솔직하게 실토한다.

 이렇듯 ‘공동정범’이 5명의 출소자들을 통해 용산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 영화는 이것보다는 출소자들의 억울함이 충만한 감정을 들어주는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공동정범은,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죄를 범할 때 각자를 정범으로 처벌 한다’는 형법 제30조에 의거한다. 그러나 국가가 이들에게 처벌한 죄목은 잘못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망루 시위에 참가한 정도의 여하를 불문하고 전원을 정범자로 처벌하고 있는 것은 불공평하기 때문이다.

 이 불공평은 용산 4구역으로 달려와 연대 투쟁에 나선 타 지역 철거민인 김주환, 천주석, 지석준, 김창수의 입장에서 보면 그렇다는 것이다. 이들 네 명은 생의 터전을 빼앗기거나 빼앗길 위기에 처해있다는 것이 어떤 고통인지를, 얼마나 절박한지를 알기에 당연히 함께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현장에 참여했다가 참사의 주범으로 몰렸던 것이다.

 이때 어떻게 하면 공동체를 분열시킬 수 있는지를 되풀이해서 써먹고 있는 대한민국의 역사는 연대 철거민을 공동정범으로 묶어 처벌함으로서 이들에게서 연대의 끈을 끊어버린다. 그러니까 국가는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도 않은 채 연대 철거민들이 준비한 화염병 때문에 철거민 5명과 경찰특공대 1명이 죽었다는 죄목을 덮어씌웠던 것이다. 이로 인해 이들은 국가의 판결이 공동체의 분열을 조장하고 연대를 불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었음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내부 분열하며, 한 때의 동지를 적(敵)의 감정으로 대했던 것이다.

 이 영화의 미덕은 이들의 이런 솔직한 속내를 인내심을 가지고 들어주며, 한 때 연대했던 동지들에게로 향했던 원망이 국가를 향하도록 돕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 이 영화는 풀길이 없는 공동정범들의 억울함을 누군가가 들어줘야 했는데, 카메라는 이들의 친구가 되어 주었던 것이다. 그렇게 그들은 조금씩 치유되었고, 결국에는 용산참사의 진짜 주범들이 누구인지를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영화는, 공동의 죄를 짊어졌던 이들이 국회의원으로 출마한 김석기의 유세현장을 찾아가 그가 폭력경찰의 수장이었음을 항의 시위하는 장면을 담아내고, 9년 전 철거민들의 생존권을 짓밟은 이명박이 얼마나 뻔뻔한 인간인가에 방점을 찍는다.

 ‘공동정범’은 용산참사의 가해자로 낙인찍혀 감옥을 다녀온 5명의 출소자들의 이야기를 진심을 다해 들어주는 것으로, 그들에게 살아갈 힘을 주고 있는 치유의 영화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국가로부터 버림받은 이들을 카메라의 품으로 끌어안으며 상처투성이의 인간을 구원하는 것이다.
조대영 <영화인>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