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양 오산리 사람 얼굴 흙인형6

▲ 신라흙인형(왼쪽)과 조선 분청자 문양. 남자가 비파를 연주하고 여자는 손을 맞잡고 노래를 부른다. 오른쪽 분청자 문양을 보면 마치 아이가 그린 것처럼 쓱쓱 그렸다. 정확히 무엇을 그린지는 알 수 없다. 국립경주박물관·동아대학교박물관.
 (저번 호에 이어서 씁니다)

 오산리 사람 얼굴 흙인형을 볼 때 우리는 이런 풍경을 상상할 수 있다. 한 신석기 장인이 그릇을 빚고 있었다. 그 옆에서 그의 자식이 흙을 한 줌 떼어 와 아버지처럼 쓱쓱 빚었다. 아버지가 가만히 보니 사람 얼굴이었다. 아버지는 빙긋 웃으며 묻는다.

 “아이고 우리 아들, 곧잘 빚는구나. 그런데 흥수야, 대체 무얼 빚은 거냐?”

 흥수가 눈을 뚱그렇게 뜨고 대답한다.

 “아버지는 이게 뭔지 모르세요?”

 내가 볼 때 오산리 흙인형은 아이가 어떤 계산도 없이, 직관으로 쓱쓱 빚은 것이다. 그래서 이 흙인형은 ‘씨족 수호의 신상’도 아니고, ‘신앙 의식’에 쓴 것도 아니고, ‘신석기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것도 아니다.

 나는 오산리 흙인형에서 ‘신의 형상’보다는 어린이의 ‘직관’, 어린이에게 찰흙을 쥐어줬을 때 순식간에 빚는, 그러한 어린이의 직관을 읽을 수 있었다. 아이들은 눈과 입 양볼을 엄지로 누를 때 어른처럼 머뭇거리지 않고, 어떤 계산도 하지 않는다. 이 직관의 예술, 순간의 미술은 신라 흙인형으로 이어지고, 다시 분청자 문양으로 이어진다. 한국미술의 독특한 특징 가운데 하나인 ‘익살과 생명력’은 흔히 통일신라 시대 흙인형에서 찾는다. 그런데 나는 그 기원과 시작을 그로부터 한참 더 내려잡아 신석기 시대 양양 오산리(기원전 6∼5천 년 전) 흙인형에서부터 잡고 싶다. 이 흙인형에서 우리 미술의 ‘익살과 장난기’가 시작된 것이다.

양양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흙인형. 흙인형은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의 대표 이미지이다. 박물관 들머리뿐만 아니라 박물관 안 곳곳에서 이 흙인형 이미지를 써서 만든 물건을 볼 수 있다.

김찬곤

광주대학교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