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란 신호등’이라 해야 할까, `푸른 신호등’이라 해야 할까.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본인과 한국인은 대개 ‘푸른’과 ‘파란’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학생들에게 ‘푸른 하늘’ ‘파란 하늘’, ‘푸른 신호등’ ‘파란 신호등’, ‘푸른 바다’ ‘파란 바다’, ‘푸른 들판’ ‘파란 들판’ 가운데 어느 것이 더 적절한지 물으면 ‘푸른 ○○’이 훨씬 더 많이 나온다.

 세상을 맑고 날카롭게 본다는 시인들의 시에도 하늘을 푸르다고 표현한 대목이 수없이 나온다. 이뿐만 아니라 윤용이, 유홍준, 이이화 같은 미술·사학자들도 ‘푸른’과 ‘파란’을 구별하지 못한다. 그래서 ‘맑고 파란 하늘빛’ 고려청자는 ‘푸른 청자’가 되고 만다. 영어는 ‘푸른’과 ‘파란’을 ‘그린(green)’과 ‘블루(blue)’로 분명하게 구별한다. 두 빛깔의 ‘개체성’이 분명한 것이다. 한국인이 그린과 블루를 잘 구별하지 않는 것은 두 빛깔의 본질을 ‘같은 것(one-ness)’으로 보기 때문이다.중국을 비롯하여 한국과 일본인은 이 세상 빛깔을 다섯 가지 빛깔 오방색으로 보았다. 그것만 가지고서도 충분하다고 본 것이다. 오방색 가운데 하나인 청은 ‘푸를 청(靑)’이다. 뜻은 그린(푸른)이고 음은 블루(청)이다. 바로 여기에서 혼돈이 오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두 빛깔의 본질을 같게 본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저 멀리 장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 장자는 눈이 밝은 이주와 귀가 밝은 사광을 비판한다.
 
 지나치게 눈이 밝은 자는 오색의 올바른 빛을 어지럽히고 화려한 무늬에 혹하게 된다. 거기서 생겨난 청황색이나 보불의 무늬처럼 눈부신 휘황함은 좋지 않은 것이다. 이주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 또 지나치게 귀가 밝은 자는 오성의 올바른 음향을 어지럽히고 갖가지 가락에 사로잡힌다. 거기서 생겨난 종과 경, 현과 죽 따위 악기와 황종 대려 같은 선율도 좋지 않은 것이다. 사광이 바로 그런 사람이다.
-장자·안동림 역주, ‘장자’(현암사, 2007), 244쪽

 여기서 장자는 빛깔 ‘청황색’과 선율 ‘황종’도 오방색과 오성에서 온(“생겨난”) 것이고, 빛깔과 소리를 너무 잘게 나누는 것(개체성)보다는 그 본질이 더 중요하다고 한다. 그런데 현대 사회에서 빛깔과 소리 문제는 낱낱의 개체성을 인정하고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이것은 서양의 수 범주하고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다음 호에 이어서 씁니다)
김찬곤

광주대학교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