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사회 돋보이는 약자 배려 사례들

▲ 강자인 어른들 위에서 군림(?)하는 새끼들.
 흔히 동물계를 ‘약육강식’의 세계라고 말한다. 약자는 먹히고 강자는 먹는다는 지극히 간단하고 잔인한 용어다.

차라리 ‘약자는 사라지고 강자는 남는다’는 식의 좀 더 정직하고 부드러운 표현을 사용해도 얼마든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비단 동물에서만 국한되어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식물들도 ‘천이’라는 과정을 거쳐 우점종만이 숲의 지배자가 되며, 소나무 숲 같은 경우는 뿌리에서 나오는 독한 물질로 인해 그 흔한 잡풀조차 자람을 허용하지 않는다. 우리가 숲에서 호흡하는 ‘피톤치드’ 같은 물질도 알고 보면 식물들의 전쟁 무기인 셈이다.

 세균이나 곰팡이 같은 미생물계에서도 이 법칙은 예외 없이 나타난다. 유산균이 차지한 발효식품에는 부패균이 발을 들여 놓을 수 없고 물론 병원균도 접근할 수 없다. 만일 이 균형이 무너진다면 장에 유산균 저장창고를 가진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은 병원균의 침습으로 인해 살아남을 수 없게 된다.

우리가 즐기는 알코올이나 항생제도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로 강자가 되기 위한 무기인 셈이다. 단지 차이라면 동물처럼 손과 발을 이용해 직접 싸울 수 없다는 것뿐이다.
 
▲법칙이란 광대한 생물현상중 일부
 
 그렇지만 모두가 이런 원리에 의해서만 돌아간다면 정말 살고 싶지 않는 세상이 되 버릴 것이고, 날마다 스트레스에 시달려 살아갈 수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보편적이라는 이 법칙이 알고 보면 광대한 생물현상 중에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에 우린 안심하고 생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치 이 용어가 생물의 전부인 냥 사용하는 이들은, 정말 달은 보지 않고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이들이다. 이처럼 반론이 가능한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동물들 새끼 키우는 것도 한가지이다. 새끼들은 아마 세상에서 가장 약자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약육강식이라면 예외 없이 대부분의 새끼들이 치이고 먹히고 해야 하겠지만 오히려 그 반대현상들이 일어난다. 엄격한 위계사회인 원숭이 사회에서도 새끼들은 우두머리의 머리를 밟고 먹이를 맨 먼저 볼에 잔뜩 집어넣어도 결코 제재를 받지 않는다.

심지어 그 새끼를 한 번 안아보려고 암컷들끼리 서로 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동종 간에 그런 모습이야 자기들 새끼니 그렇겠지 하겠지만 이종을 섞어놓아도 보통 새끼나 새끼를 데리고 다니는 어미는 집단 보호를 받음을 여러 번 목격할 수 있다.

 여러 초식동물들이 섞여 사는 초식동물사에서 염소 새끼 한 마리가 치열한 싸움터인 먹이통 한가운데 태연히 누워 자는 모습은 정말 전쟁터에 핀 한 떨기 백합꽃을 보는 것 같았다.

 보통 단독생활을 영위한다는 호랑이, 표범들의 경우 사파리 내에 그렇게 많은 수를 섞어놓아도 예상외로 평화롭다. 심지어 이종 간의 사랑으로 태어난 라이거나 타이곤 같은 핏줄이 섞인 새끼를 생산하는 일도 자주 벌어진다. 이것도 약육강식과는 상충된 예이다.
 
▲호전적인 용어 되짚어볼 때…
 
 우리 동물원에서도 형제 중에 유난히 작고 병약한 막내 동생을 둔 호랑이 그룹이 있었는데, 이상하게 아픈 동물들은 성질도 사나워져서 먹이가 들어오면 이 막내 동생이 다른 형제들은 얼씬도 못하게 으르렁 거렸다.

그러면 형제들은 모른 척 하고 슬슬 피해주는 척을 했다. 그러다 그 동생이 질병 말기에 이르자 어느 날 보다 못한 형제들이 그의 목숨을 끊어주었는데 나는 이것이 그들의 안락사 방식이었다고 생각했다.

 이런 것들을 보았을 때 에누리 없는 식물이나 미생물들보다 우리와 같은 동물이 훨씬 약육강식과는 동떨어진 모습들을 많이 보여 준다. 생물교과서에서 비판 없이 쓰이고 있는 약육강식 같은 호전적인 용어들을 이제 한번 되짚어 볼 시점이 아닌가 싶다.

이미 진화론도 상당부분 수정이 불가피하고 어차피 생물현상이라는 것은 학자들의 이론만으로 규정짓기에 너무나 복잡다단하기 때문이다. 생물은 지금도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물학 이론도 끊임없이 수정이 가해져야 옳다.
최종욱 <우치동물원 수의사>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