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 민선7기 이용섭 시장에 거는 기대

 이달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각 지자체들이 조직 개편을 서두르고 있다. 조직 개편은 신임 단체장들의 정책 방향을 읽을 수 있는 코드다. 이런 의미에서 광주시민이라면 이용섭 시장의 조직 개편 방향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용섭 시장은 취임사에서 7대 정책을 밝혔는데, 이중 일자리 관련이 3개나 차지했다. 조직도 기존의 ‘일자리경제국’을 ‘일자리경제실’로 격상시키고,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임기 첫 결재로 선택했으리 만큼 정책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 일자리에 대한 의지를 읽기에 충분하다. 일자리 창출에 지원을 쏟아부어 청년창업 붐 조성에 나선 정부 정책 방향과 다르지 않다.

 정부의 창업 장려는 여유자금이 많아서가 아니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 해소를 위한 필연적인 귀결이라 여겨진다.

 취업이 안 돼 결혼을 미루고 출산율이 떨어지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건 목전에 닥친 현실이다. 지역적으로도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떠나면서 인구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도시 자체가 쇠락해 가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과거 미국 제일의 자동차 도시였던 디트로이트시의 쇠락이 이같은 현상을 드러내기에 분명한 사례다. 자동차 산업의 쇠퇴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한때 185만 명에 달했던 인구가 2013년, 절반도 안되는 70만 명으로 줄어 디트로이트시는 결국 파산 신청에 이르렀다.

 한국전쟁 이후 세계 최빈국중 하나였던 대한민국이 현재의 경제 대국을 건설한 데엔 대기업과 기업인들의 기여를 무시하기 어렵다. 그러나 시대가 변해 글로벌 경쟁이 보편화되면서, 대기업도 생존을 위협받는 시대가 됐다. 2005년부터 6년 동안 우리나라에선 69만여 개의 일자리가 생겼는데, 이중 대기업이 창출한 것은 2900여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68만7000여 일자리는 창업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만든 것이었다는 통계가 달라진 시대상을 대변한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기존 (대)기업들이 신규 투자 등을 통해 창출하는 고용 능력이 신생 기업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걸 보여준다. 이는 곧 청년창업을 활성화해 이로부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설명이기도 하다.

 물론 창업으로 지역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이 시기 가장 효과적인 대안 중 하나라는 것은 분명하다. 이제라도 창업을 뒷받침할 투자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다.

 광주시민들이 일자리위원장 출신의 이용섭 시장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낸 건 공직 경험을 살려 일자리 창출에 매진해달라는 주문일테다. 새로운 시장도 이같은 시대적 사명을 염두에 두고 취임 초기 일자리 관련 정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시민으로선 기대감을 가져볼만한 대목이다.

 그럼에도 창업 붐을 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한발 더 나아가는 결단이 필요하다. 공무원 및 교사들에 대한 기업가정신 교육과 ‘청년창업 앤젤펀드 조성’ 등이 그것이다.

 이는 창업하기 좋은 도시를 넘어 창업 성공률이 높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필수 요소다.

 광주는 이제 ‘창업 붐’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민선 7기 행정이 앞장서고, 창업지원기관과 민간 전문가 등이 뒷받침하며, 시민들의 관심·응원이라는 삼박자가 어우러져야 가능할 성과다.
하상용 <사단법인 창업지원네트워크 대표 , K-ICT창업멘토링센터 CEO멘토)>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