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wing the Lifeblood of Democracy
옛 광주 적십자병원:
민주주의 생명의 피를 채혈하다

▲ 밝은 줄무늬와 좋은 위치에도 불구하고, 옛 광주 적십자 병원은 외면되고 있다.
 At the end of “Wedding Street” downtown, just before the Seoseok Bridge over the Gwangju Stream, the old Gwangju Red Cross Hospital (구 광주적십자병원) sits overlooked behind a cordon of chains. The signboard out front bears the image of a skeleton’s hand over the word “AIDS” with the subtext “Only your wholesome sex life can prevent AIDS.” Though cracked and faded, the public health warning still lists the symptoms of AIDS and oddly explicit instructions for how to prevent it, like by avoiding intercourse with female prostitutes and staying clear of the blood and organs of those infected. When viewed in isolation, the morbid old sign seems almost humorously inappropriate, but when it’s paired with the hospital’s history, a more apropos context emerges.

 Given its proximity to the old Jeollanam-do Provincial Hall, the former Gwangju Red Cross Hospital was where many of the wounded were brought during the Gwangju Uprising in May 1980. Overwhelmed by the deluge of patients with gunshot wounds, the hospital’s blood bank was rapidly depleted, causing alarm among the medical staff. In response, the staff began making urgent pleas for the local community to come together and donate blood. As solidarity and civicmindedness among the denizens of Gwangju were then at an all-time high,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began turning up in droves to donate their blood to the cause, including many female prostitutes. Today a commemoration plaque outside the hospital praises these “bar girls” for their acts of altruism, while the contrasting AIDS warning also seen outside the hospital reflects society’s hyper-vigilant and, at times, oddly selective response to the virus.

 At present, the inside of the hospital sits largely unchanged since the day it was shuttered in 2014. Gurneys can still be seen in many of the rooms, including the emergency room, where squatters have taken over and made good use of the beds. The emergency

 room also includes a tiny operating room with a single stretcher and a few trolleys stacked with many of the nightmarish instruments an ER doctor might need in a crisis, including scissors, kidney dishes, tweezers, and blades of all sizes. Straight down the hall from this emergency room is the main operating room, though it’s unfortunately padlocked. In fact, most of the doors throughout the hospital are locked, save an OB-GYN office and a few other rooms squatters have taken over.

 While looking through some of the junk left around, an old wooden stationery box turned up bearing an interesting message from just over 40 years ago. On the underside of the lid, a doctor had penned the following message in English:
 
 Dept. of Otolaryngology, Kwangju Red Cross Hospital
 May 1978
 Sung Kon Kim, M.D.
 “For My Patients”
 
 Signed just two years shy of the Gwangju Uprising, it’s possible that this doctor was also part of the medical staff during those harrowing days. Interestingly, the strongest online link between this name and the Gwangju Red Cross Hospital are hospital records from the 5.18 Archives website showing that a 33-year-old man with the same name arrived at the same hospital on May 22 with a gunshot wound to the right leg.(References 1) I sit just a coincidence, or did Dr. Kim, after being wounded in the uprising, become a patient at his own hospital? Whoever the patient was, did the community’s blood donations save his life, or did he perish? The records simply don’t say.

 One mystery about the old Gwangju Red Cross Hospital that was easier to solve was why it has such a nice new gate out back despite being over 50 years old. The answer is likely because one of the hospital scenes from the 2017 film A Taxi Driver was actually shot there on location. In the film, many retro vehicles had to be brought into the hospital’s rear parking lot to recreate how things might have looked back in 1980, and this probably required a sturdy new gate to accommodate all the activity. Another change made to the rear exterior of the hospital for the film’s sake was the addition of the name “Gwangju Red Cross Hospital” in Korean across the second-floor banister, though no trace of this add-on remains today.

 In fact, it’s hard to find any reference to “Gwangju Red Cross Hospital” on the building today, and that’s because after the hospital went bankrupt in 1995, it was purchased a year later by Seonam University owner Lee Hong-ha and then renamed Seonam University Hospital.(References 2) If these names sound familiar, that’s because Lee and his now defunct Seonam University were mentioned in the Gwangju News’ 200th issue last October (see “That Other Creepy Gwangju Hospital”). Like with many of his acquisitions, Lee was more interested in embezzling money from them than in maintaining them. This explains both why he’s in jail and why the hospital still looks straight out of the 1980s. It’s a shame to see such an iconic piece of Gwangju’s history still bearing his brand.

작업실은 들것을 가까이 두고 자물쇠 뒤에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It’s hard to say what will become of the old hospital, given its current ownership. Most likely, it’ll continue to sit and fester like so many of Lee’s other properties. In recent years, Gwangju City has certainly recognized the hospital’s historical significance, as it’s now registered as “Historic Site No. 11” along 5.18 Road (오월길), a course through the City of Light showcasing the most noteworthy sites from the Gwangju Uprising. Though the old Gwangju Red Cross Hospital’s private ownership casts serious doubts on any hope for a quick salvaging, last year’s A Taxi Driver and minor articles like this can at least help keep the old hospital’s memory alive in the public consciousness.
Written and photographed by Isaiah Winters
 
References

 [1]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0). 5.18 광주민주화운동자료총서, 25, 357. Retrieved from the 5.18 Archives website: http://www.518archives.go.kr/books/ebook/25/#page=357

 [2] Moon, H. (2017, August 21). <디테일추적>영화 ‘택시운전사’, 서남대 부속병원을 세트장으로 쓴 이유는. Retrieved from the Chosun.com website: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1/2017082101881.html
 
 The Author
 Originally from Southern California, Isaiah first came to Gwangju in 2010. He returned to South Korea in 2017 after completing his MA in Eastern Europe and is currently the chief proofreader for the Gwangju News. He enjoys writing, political science, and urban exploring.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January 2019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광주천 서석대교 바로 앞, 도심 ‘웨딩의 거리’ 끝자락에는 옛 광주적십자병원이 줄지어 서 있는 쇠사슬 뒤로 보인다. 병원 앞의 현판에는 ‘AIDS’ 라는 단어 위의 해골의 손 이미지와 함께 ‘건강한 성생활만이 에이즈 예방을 할 수 있다’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비록 금이 가고 희미하긴 했지만, 공중 보건 경고문은 여전히 에이즈의 증상들과 그것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여성 매춘부와의 교제를 피하고 감염된 사람들의 혈액과 장기를 멀리하는 것 같은 이상할 정도로 분명한 지시들을 열거하고 있다.

 따로 놓고 보면, 이 거의 병적인 오래된 간판은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부적절해 보이지만, 병원의 역사와 함께 보면, 더 적절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산부인과실은 병원의 다른 방에 비해 밝고 쾌적했다.

 옛 전라남도청과 가깝다는 점을 감안하면, 1980년 5월 광주항쟁 당시 부상자 중 많은 이들이 실려 온 곳이 광주 적십자병원이었다. 총상을 입은 환자들이 넘쳐나서 병원의 혈액은 급속히 고갈되어 의료진들 사이에 경고가 울렸다. 이에 직원들은 지역 사회가 함께 모여 헌혈을 해 줄 것을 긴급히 호소하기 시작했다.

 당시 광주 주민들 사이의 연대와 시민 정신이 최고조에 있었기 때문에 많은 여성 매춘부들을 포함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몰려나와 대의를 위해 헌혈을 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병원 밖의 기념판에는 이타적인 행동 때문에 이 ‘술집 여자들’을 칭송하는 반면, 함께 병원 밖에서 보이는 대조적인 에이즈 경고는 바이러스에 대한사회의 극도로 활기차고 심각한 경계심과 때로는 이상할 정도의 선택적인 반응을 반영한다.

 현재 병원 내부는 2014년 폐쇄된 이후 큰 변화가 없다. 환자용 들것들은 여전히 응급실을 포함한 많은 방에서 볼 수 있는데, 노숙자들이 자리를 잡고 침대를 잘 이용하고 있다.

 응급실에는 또한 들것이 하나 있는 작은 수술실과 몇 대의 병원 카트에 응급실 의사들이 위기 상황에 쓸 만한 가위, 강낭콩 모양의 접시, 핀셋, 그리고 모든 크기의 칼 등의 악몽 같은 기구들이 쌓여 있었다. 이 응급실에서 곧장 복도를 따라 내려가면, 지금은 불행히도 잠겨 있지만, 중앙수술실이 있다. 사실, 산부인과실과 몇몇 노숙자들이 사는 몇 개의 방들을 제외하고 병원 전체의 대부분의 문은 잠겨 있다.

 주변에 남겨진 쓰레기들을 들여다보던 중, 바로 40년 전의 재미있는 메시지를 담은 오래된 나무 상자가 나타났다. 뚜껑의 밑부분에 한 의사가 영어로 다음 메시지를 써놨다.
 
 광주 적십자병원, 이비인후과(Dept. of Otolaryngology, Kwangju Red Cross Hospital)
 1978년 5월(May 1978)
 의사 김성곤(Sung Kon Kim, M.D.)
 “나의 환자들을 위하여”(“For My Patients”)
 
 광주항쟁을 겨우 2년 앞두고 이 글을 쓴 의사도 그 참혹한 시대에 의료진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흥미롭게도, 이 이름과 광주 적십자 병원 간의 가장 강력한 온라인 연결고리는 5·18 기록 웹 사이트에 33세의 같은 이름을 가진 남자가 5월22일에 오른쪽 다리에 총상을 입고 같은 병원에 왔다는 기록이다.(참고1) 그냥 우연일까, 아니면 닥터 김이 광주항쟁에서 다친 후 자신의 병원에 환자가 된 것일까? 환자가 누구였든지간에, 지역사회의 헌혈이 그를 살려주었을까, 아니면 죽었을까? 기록에는 단순히 나와 있지 않다.

희귀한 버려진 구급차가 병원 뒤 주차장에 놓여 있다

 옛 광주 적십자병원에 대한 더 해결하기 쉬운 다른 한 가지 의문점은 왜 5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멋진 새 문을 가지고 있는가였다. 그것은 2017년 영화 ‘택시 운전사’의 병원 장면 중 하나가 실제로 그곳에서 촬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영화에서 많은 옛날식 차량들이 1980년에 상황이 어땠는지를 재현하기 위해 병원의 후방 주차장으로 들어와야 했고, 아마도 이것 때문에 튼튼한 새로운 문이 필요했을 것이다. 또한, 이 영화를 위해 병원 뒷부분의 2층 난간에 한글로 ‘광주 적십자병원’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이 추가물의 흔적은 지금 남아 있지 않다.

 사실, 현재는 이 건물을 보고 광주 적십자병원을 생각하기는 쉽지 않은데, 1995년 부도 후 1년 뒤 이홍하 서남대 이사장에게 팔려 서남대병원으로 개명되었기 때문이다.(참고2) 이런 이름들이 친숙하게 들리면 지난해 10월 광주뉴스 200호에 이 전 총장과 지금은 폐교된 서남대가 거론됐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무서운 광주 병원”(That Other Creepy Gwangju Hospital) 참조). 그가 인수한 많은 곳들에서처럼, 이 씨는 그것들을 유지하는 것보다 거기에서 돈을 횡령하는 데 더 관심이 있었다. 이 사실을 통해 왜 그가 감옥에 있는지, 그리고 왜 병원이 여전히 1980년대 모습인지 알 수 있다. 광주 역사의 이런 상징적 부분이 아직도 그의 상표를 간직하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현재의 소유권을 감안할 때, 그 오래된 병원은 어떻게 될 것인지 말하기 어렵다. 그것은 아마도 이 씨의 다른 소유재산들처럼 계속해서 상태가 악화될 것이다.

 최근 광주시는 이 병원의 역사적 의미를 분명히 인식했다. 지금 이 병원은 광주를 가로지르며 5·18민주화운동의 가장 볼만한 장소들을 지나는 길인 오월길에 있는 역사 유적지 11호로 등록되어 있다. 옛 광주 적십자 병원의 소유 문제는 신속한 재활에 대한 희망에 심각한 의문을 던지지만, 지난 2017년 ‘택시 운전사’와 이 글과 같은 작은 기사들은 최소한 대중의 의식 속에 옛 병원의 기억이 살아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글·사진=Isaiah Winters (이사이야 윈터스)

번역=유연우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참고 문헌

 [1]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0). 5.18 광주민주화운동자료총서, 25, 357. Retrieved from the 5.18 Archives website: http://www.518archives.go.kr/books/ebook/25/#page=357

 [2] Moon, H. (2017, August 21). <디테일추적>영화 ‘택시운전사’, 서남대 부속병원을 세트장으로 쓴 이유는. Retrieved from the Chosun.com website: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1/2017082101881.html
 
 작가
 남부 캘리포니아 출신인 Isaiah(이사이야)는 2010년에 광주에 처음 왔다.
 그는 동유럽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뒤 2017년에 한국으로 돌아왔으며 현재 광주 뉴스의 수석 감수자를 맡고 있다. 그는 글쓰기, 정치학, 그리고 도시 탐험을 즐긴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9년 1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에 처음 발행한 대한민국 최초의 영문 대중월간지입니다. 매월 발행되는 각 호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지역사회의 이야기, 활동에 중점을 둔 지역민과 지역의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습니다. (www.gwan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