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ds On: An Interview with Asia Culture Center Architect Kyu Sung Woo
“ACC, 광주의 가장 중요한 문화적 허브 될 것”

▲ Asia Culture Center(ACC).
 If you have been to downtown Gwangju, chances are you have seen the Asia Culture Center(ACC). Recently, I was granted an interview with lead architect Kyu Sung Woo. I spoke with him over the phone from his home in Boston, Massachusetts.

 Woo has had a blessed career winning Korea’s Ho Am Prize and having been made Fellow in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He also has graduate degrees from Harvard and Columbia. Some of his more well-known designs include the Whanki Museum and Olympic Village Housing in Seoul, and the Arts Gallery of Korea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Speaking about the ACC Woo recounted, “It was the most challenging project of my professional career.” He went on, “It took 10 years and the level of responsibility I felt was immense. 10 years is a long time for aproject…. it is a long time in a person’s life!.” Woo explained that because the ACC was going to be a major cultural hub in the city center, and used by the public, he felt great pressure to do a good job.

 The ACC came into being as part of ex-president Roh Moo-Hyun’s 2004 initiative to turn Gwangju into an international hub by 2023. President Roh allocated 4.8 billion USD to the project, and placed 680 million USD aside for the ACC, which was to be (and is) the largest cultural center in Korea.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was held to find a design for the structure and Woo’s design won beating out 124 competitors. Woo called his proposal “Forest of Light.”

 On the ACC website Woo explains, “The overarching concept behind my design was the memory of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Because of this, Woo put the square where the uprising took place at the center of his design. He also preserved historically relevant buildings on site, such as the former provincial office and Sangmoo Hall. Woo goes on to say, “I wanted to create the kind of space in the busy center of the city that was more of a lung, than a heart.” He continues, “What I mean by this is that there needs to be plenty of breathing space… the answer to this was a public park.”

 Most would agree that Woo's vision came to life, as the ACC does feel very much like a park. And yet, below street level lies a myriad of underground structures including a children's museum, performance theaters, a library park, cultural exchange agencies and much more.

 “Light,” as seen in Woo’s design, not only references physical light but also the light of hope found in democracy and freedom. Woo wrote online, “The lights shot up by lighting artists at Ground Zero in the aftermath of the 9/11 attacks were more touching than any tangible structures I had seen.” A similar sentiment is felt at the ACC, as skylight boxes placed around the grounds light up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the day, and glow a bright white light at night.

 “Forest” can easily be seen in Woo’s design because of all the greenery the ACC boasts-- 30,000 pyongs in all. Tall bamboo trees line the perimeter of the complex and the grounds include a large grass field and rooftop garden. In this way, the ACC is an oasis of green space in an otherwise bustling downtown.

 Curious, I asked Woo what his favorite part of the complex was. “The people in the space,” he replied. When he visited last year, he saw people lying on the grass of the large sloping field and children playing and riding bikes near the fountain. Woo said that it was nice to see the ACC fulfilling its purpose as a civic space, providing a place for people to enjoy life and just be.

 However, the ACC did not come about without criticism. Many doubted the choice to build a massive cultural hub in a “remote southwestern city,” as one Korea Times writer put it. Woo said these doubts were understandable but now that the ACC is complete, he hopes critics can see the contribution the complex makes to the city.

 Shifting gears a bit, Woo began to explain his process to me. He told me that because the ACC was in Korea, his approach to design was different than it would have been for a building in another country. Woo said he tries to be sensitive of a building’s location, as well as the culture and space it inhabits. For the ACC, the overall layout “mirrors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characterized by a center and periphery.”

 When asked if the ACC was a favorite project of his career, Woo surprised me with his professionalism, saying, “I think of myself like a doctor. There is aproject that needs to be done, and so I do my best. After the building is complete, it takes on a life of its own.” In this way Woo explained that no one project is more important or prized than another, just different.

 I could tell that Woo was excited to discuss the ACC with me. Even though he did not directly admit it, I can only assume that having his name attached to the largest cultural complex in Korea brings him great pride.

 When asked what advice he might give to aspiring architects, he thought for a moment then responded, “Always follow your conviction.” He mentioned that the current architectural climate of today sometimes places more emphasis on style and architects, than the projects themselves. He said to this, “I do not worry about styles and labels too much, I just do the best I can. To me, architecture is part of life.”

 You can learn more about Woo’s approach to designing the ACC on the ACC website (acc.go.kr), or check out more of his buildings on his company’s website (kswa.com).

Copy-Edited By:Kelsey Rivers

Words by Murdock O’Mooney

Photos courtesy of Kyu Sung Woo and Lorryn Smit

Proofread By:Murdock O’Mooney

Final By:Kelsey Rivers



-<원문해석>-

 광주 시내에 가 봤다면 아마 국립아시아문화전당(Asia Culture Center-이하 ACC)을 본 적이 있을을 것이다. 최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수석 건축가 우규승씨와 인터뷰를 할 수 있었다.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는 그의 자택과 전화 연결을 통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우 건축가는 명성에 걸맞은 화려한 경력을 갖고 있다. 한국 호암 건축상을 받았고 미국 건축협회의 수석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 또한, 하버드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 더욱 잘 알려진 그의 건축 작품들에는, 서울에 있는 환기 미술관과 올림픽선수촌, 그리고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 박물관에 있는 한국관(Art Gallery of Korea) 등이 있다.

 우 건축가는 ACC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ACC프로젝트는 지금까지 건축을 하면서도 가장 힘들었던 프로젝트였어요. 총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고 내가 느꼈던 책임감은 막중했습니다. 10년이란 건축프로젝트를 하는데 있어서도 길지만 한 사람의 인생에서도 매우 긴 시간이죠.” 그는 ACC가 광주광역시의 가장 중요한 문화적 허브가 될 것이고 광주 시민들이 이용하게될 것이므로 프로젝트를 잘 해내야 한다는 커다란 압박감을 느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은 광주를 2023년도까지 국제적인 허브로 성장시키겠다는 노무현 정부의 2004년 계획안의 일부로서 시작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48억 달러 즉 한화 5조 원이 넘는 금액을 이 프로젝트에 할당했으며 총 6억8000만 달러, 즉 한화 7900억 원을 투자해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문화센터로서 기능하게 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건설하는데 책정했다. 드디어 건축의 디자인을 정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건축가를 공개 모집했으며 그 결과 우 건축가의 디자인이 124명의 경쟁자를 뚫고 선정 되었다. 우 건축가는 그의 디자인을 `빛의 숲’이라고 명명했다.

 또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식 홈페이지에서 우 건축가는 “내 디자인에 감춰있는 중심이 되는 개념은 5·18민주화운동의 기억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그의 디자인의 중앙 부분에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바로 그 광장을 배치했다. 또한 구(舊)도청, 상무관과 같은 역사적으로 관련 있는 건물들을 그대로 보존했다. “바쁜 도심 속에서 심장보다는 허파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들고 싶었어요. 이렇게 함으로써 내가 의도했던 바는 무언가 시민들에게 있어서 숨 쉴만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던 것입니다. 이에 대한 답이 시민 공원이었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 건축가의 이러한 의도가 이루어졌다는 것에 동감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공원처럼 느껴질 뿐만 아니라 지하에도 어린이 박물관, 공연 극장, 라이브러리파크, 문화교류관련 사무국 등 다양한 공간들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우 건축가의 디자인에서 엿볼 수 있는 `빛’이라는 주제는 단순한 물리적 빛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자유에서 발견되는 희망의 빛을 의미한다. 그는 메일에 썼다. “9/11 공격의 여파 속의 뉴욕 Ground Zero(2001년 9월11일 알카에다 테러로 초토화된 뉴욕의 세계 무역센터 자리)에서 조명 아티스트들이 쏘아 올린 빛은 이제껏 내가 보았던 그 어떤 건축물보다 마음에 와 닿았다. ACC 주변에 놓인 채광상자들은 낮 동안에는 지하에 있는 시설물들을 밝히고 저녁에는 환한 빛을 발산한다. 이러한 조형물들을 보면서 시민들도 비슷한 감정이 느껴질 것이다.

 ACC가 자랑하는 모두 3만 평 정도의 녹지 때문에 우 건축가의 디자인에서 `숲’은 너무나도 쉽게 볼 수 있다. 대나무들이 ACC 주변을 따라서 길게 놓여 있고, 지하에는 매우 넓은 잔디밭과 지붕있는 정원도 있다. 이렇게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북적이는 도심 속에서 녹지공간을 갖춘 오아시스이다.

 궁금증이 생긴 필자는 우 건축가에게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그 공간의 사람들”이라고 답했다. 그가 작년에 ACC를 방문했을 때, 그는 많은 사람이 드넓은 공원에서 편히 누워있고, 아이들은 분수 주변에서 놀거나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보았다. 그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시민들의 공간으로서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고 또한 그들에게 삶을 즐기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것을 보고 매우 기분이 흐뭇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립아시아문화전당도 비난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Korea Times의 한 기자가 썼듯이 `먼 남서부의 도시’에 이렇게나 큰 문화 허브를 짓는다는 선택에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제기했다. 우 건축가는 이러한 의심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이제는 ACC가 완성되었으니 비평가들은 이 건축물이 도시에 기여하는 바를 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화제를 좀 바꾸어 우 건축가는 그간의 과정을 설명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한국에 지어질 것이었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접근방식 또한 다른 나라에 있는 건축물들과는 달랐다고 한다. 그는 ACC가 세워질 위치 뿐만 아니라 그곳의 문화 및 공간에 대해서 대단히 신경썼다고 말했다. ACC의 전반적인 레이아웃은 “전통적인 한국의 건축을 반영하되, 중심과 주변에 특성화된다”는 것이었다.

 ACC가 그의 건축가 경력에 있어서 가장 좋았던 프로젝트인가를 물어보았을 때, 그의 `프로 근성’은 필자를 놀라게 했다. “나는 내 자신을 의사와 같다고 생각해요. 끝내야 하는 작업이 있으면 일단 그 작업을 끝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죠. 그리고 건축물이 완성되면 그것은 그 나름의 생명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는 어떠한 프로젝트도 다른 프로젝트보다 더 중요하거나 더 가치있는 건 아니고 단지 다를 뿐이라고 설명했다.

 ACC에 관한 인터뷰를 진행하는 내내 우 건축가는 굉장히 즐거워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그가 직접적으로 인정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문화적 건축물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는 것이 그에게 큰 자부심을 주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우 건축가에게 미래의 야심찬 건축가들을 위한 조언을 부탁했다. 그는 잠시 생각하더니 이윽고 “항상 자신의 신념을 따르세요”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건축계가 프로젝트 그 자체보다는 스타일이나 건축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나는 스타일이나 나에 대한 세간의 꼬리표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요.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죠. 나에게 건축은 삶의 일부입니다.”

 *우 건축가의 ACC설계방식에 대해서 ACC 홈페이지에서 더 알 수 있고 (acc.go.kr) 그가 설계한 더 많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그의 회사 홈페이지(kswa.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Murdock O’Mooney

번역=박철한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사진=우규승, Lorryn Smit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