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팀 셔록:두 달간의 광주 프로젝트

▲ Tim in Democracy Plaza by the old provincial capital, the center of the uprising.
 There are few Americans with as much inside knowledge about the May 18 Gwangju Uprising as Washington, D.C.-based veteran investigative journalist Tim Shorrock. Shaped by his early witnessing of the April 19, 1960 Uprising as a child of missionaries living in Seoul, Shorrock’s career has spanned over three decades. Though not on the ground during May 1980, his three extensive stays in Gwangju during the following decade led to his use of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to obtain nearly 4,000 declassified government documents related to Gwangju that revealed the U.S. role in crushing the Uprising. Spanning the years 1994~2006 the project was first revealed in a series of articles in 1996, causing furor in South Korea.

 Shorrock’s work earned him the title of honorary citizen of Gwangju, presented by Major Yoon Jang-hyun during the May 21, 2015 ceremony at the 5·18 Democracy Square. After visiting the city again last year as part of a group of foreign journalists who had reported on the Uprising, a plan was hatched to integrate his documents into the 5.18 Archive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downtown Gwangju. From April to May 2017, Shorrock is back in Gwangju, busy at work on the archival project. Gwangju News caught up with the journalist at his office in the Archives building.

 “One of the biggest questions I still have is why did the U.S. decide on May 22?” Shorrock said. “Why did they go for the military solution rather than negotiations or wait it out? Why did they consider it such a threat to the Korean military and also to American interests? When you look at these documents and reports, you start putting it together, what might have led to that kind of decision. What I’ve seen a little bit is that some of the reports were completely false. I hope to find some more documents that might help us to understand.”

 Working with a 5·18 Archives Korean staff assistant, Shorrock is creating a searchable database of his files, ordered by relevance to Gwangju, that will be available for any future researcher looking to answer these and other question.

 “It will be available and accessible to researchers and that to m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se documents are my life’s work,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my career in journalism. I’m proud to have them here, and I’m glad that they will be accessible. It makes me feel like I’ve really contributed to this city, to understand what happened and have reconciliation with the past and with the United States, too.”

 Arriving in Korea during a heated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leading up to the vote on May 9, following the first impeachment of a democratically elected president, Shorrock sees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as a continuation of the country’s democracy movement. He views the sustained nationwide candlelight street protests of late 2016 and early this year as signals of a shift in a new direction.

 “It began a long time ago, with certain key events,” he said. “4·19, 5·18, the election of Kim Dae-jung. This was a mass mobilization. I think it’s a climactic moment. It seems like people here in Korea want to turn away from these military, authoritarian, very right-wing conservative governments they’ve had for the last two presidents. Both the candlelight movement and the election are very important events in that succession.”

 Although many Koreans felt a sense of shame during the prolonged impeachment process, Shorrock maintains that from his perspective as an American, the peaceful candlelight movement is nothing short of inspirational.Connecting the Korean protests with the largest demonstration he has ever seen in his home country, the Women’s March on Washington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 Shorrock sees a lot of hope for change. While traditionally ignored or misunderstood by the U.S. press and ordinary citizens, the latest wave of demonstrations helped to shine a new light on Korea. Still, Shorrock was disappointed by the U.S. coverage of the former president’s removal from office.

 “To be honest, Americans pay hardly any attention to South Korea,” he said. “All they see is, North Korea, bad. Fifield in the Washington Post, especially the TV side of the [impeachment] coverage was just hysterical and simplistic.”

 In Shorrock’s view, the 5·18 Gwangju Uprising was a Cold War-era uprising on the same level as China’s 1989 Tiananmen Square or Hungary’s 1956 revolt against the Soviet Union. Yet compared to these events, he sees that the story of Gwangju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it deserves. Shorrock attributes this to the fact that, rather than a Communist government, people of this city rose up against a U.S.-backed military. These days, with presidential candidates investing more time and energy in Gwangju on the campaign trail, he believes that the area is receiving more of a domestic boost as part of the nation as a whole, after a long history of neglect by the central government.

 “Maybe Jeolla and the Honam area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it’s becoming more integrated. A lot of people here don’t want the history forgotten. They want to make sure people understand what it’s all about.”

 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this uncovering of history, Shorrock views his journalistic role as bringing out stories that would not otherwise be shared with the public.

 “When I was in Gwangju in 1985, people said ‘Please tell our story. Please tell Americans what happened here.’ Then I was a journalist after Hurricane Katrina hit New Orleans and the Gulf Coast in 2005. I heard the same thing from people: ‘Please tell our story.’ I’m always fair in my reporting, but I’m an activist as a journalist. I was ashamed of what happened in Gwangju, and I wanted to expose that because I don’t want it to happen again.”

Written by Anastasia Traynin

Photos courtesy of Tim Shorrock



-<원문해석>-

 워싱턴D.C의 베테랑 탐사저널리스트 Tim Shorrock(팀 셔록) 만큼 5·18 광주 민주항쟁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미국인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서울에서 선교사의 자녀로 자라면서 어려서 1960년 4·19항쟁을 목격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의 광주항쟁까지, 그의 경력은 30년이 넘습니다. 비록 1980년 5월 바로 이 곳에 있지 않았지만, 그는 그후 10년 동안 세차례에 걸쳐 광주를 방문해 자국의 정보자유법을 활용, 광주항쟁 진압에서 미국의 역할이 드러난 광주 관련 약 4000건의 기밀문서의 봉인을 해제시켰습니다. 1994년부터 2006년에 걸치는 이 프로젝트는 1996년 처음 기사로 공개됐으며 이는 대한민국에 격렬한 분노를 일으켰습니다.

 셔록의 작업은 그에게 광주명예시민이라는 타이틀을 안겨주어 2015년 5월21일 5·18민주광장에서 윤장현 광주시장으로부터 시민증을 수여받았습니다. 광주항쟁을 세계에 알렸던 외국인 저널리스트그룹의 일원으로서 2016년에 광주를 다시 방문한 셔록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5·18민주화운동기록관으로 그의 문서들을 옮겨 통합저장하는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시작했고 2017년 4월부터 5월 현재까지 광주에 체류하며 디지털 문서화 작업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광주뉴스는 5·18기록관의 그의 사무실에서 이 저널리스트를 만나 인터뷰했습니다.

 “아직 여전히 제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의문은 어째서 미국은 5월22일에 그러한 결정을 했는가입니다”라며 셔록은 이야기를 이어 나갔습니다. “어째서 미국은 한국정부와 협상을 하거나 좀더 기다리는 것을 선택하지 않고 군사적인 해결책을 선택했는지, 왜 그들은 이 항쟁을 한국 군대 뿐 아니라 미국의 이권에 대한 위협으로까지 간주했는가? 이 문서들과 보고서들을 읽으면서 무엇이 그런 결정으로 이끌었는지 짜맞추기 시작합니다. 지금까지 내가 조금 알아낸 것은 몇몇 보고서는 완전히 엉터리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좀 더 많은 문서들을 찾길 바라고 있습니다.”

 셔록은 5·18기록관의 한국 직원과 함께 그의 파일자료를 광주와의 연관성을 토대로 연구데이터로 만들어서 추후에라도 연구자들이 이런 질문과 또 생겨나는 다른 질문들에 대해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작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항쟁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유용히 접근할 수 있으며 이 점은 나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문서들은 내 일생의 작업이고 내 저널리즘 경력에 있어 가장 위대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나는 이 자료들을 이곳에 모아둔 것이 자랑스럽고 또 이를 누구나 찾아볼 수 있게 한 것이 기쁘기 그지없습니다. 사람들이 (80년 광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이해하고, 과거와, 또한 미국과 화해하도록, 내가 광주라는 도시에 큰 기여를 하였다는 느낌을 들게 한답니다.”

 5월 9일 선거를 앞두고 대통령선거캠페인이 한창인 시기에 광주에 도착한 셔록은 민주적 절차에 의해 당선된 대통령의 첫 탄핵이 이뤄진 현 정치적인 상황을 근대 대한민국에서 일어났던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는 2016년 후반기부터 2017년 초반까지 전국에서 진행된 촛불집회를 새로운 방향으로의 교체 신호탄으로 생각했습니다.

 “교체는 오래전 4·19와 5·18 및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이라는 주요사건을 통해 시작됐습니다. 이는 대중의 움직임이었고 절정의 순간이었습니다. 여기 한국 사람들은 군사적이고 권위적인 그리고 극우보수정부를 대표하는 두 명의 전직 대통령으로부터 돌아서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 연장선에서 촛불집회와 선거는 매우 중요한 사건입니다.”

 비록 많은 한국사람들이 대통령탄핵의 과정을 지켜보며 수치스러움을 느꼈다 할지라도, 미국인의 관점에서 셔록은 이 평화로운 촛불운동이 긍정적 영감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봤습니다.

 셔록은 자국에서는 본 적도 없는 한국의 대형 시위를 보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후의 워싱턴의 여성행진을 통해 많은 변화의 희망을 보았다고 합니다. 전통적으로 미국 언론이나 일반 대중에게 무시되기도 했고 또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최근에 보여준 시위의 물결은 한국에 새로운 등불을 밝히도록 도왔습니다. 그러나 셔록은 여전히 한국 대통령의 퇴진에 대한 미국언론의 보도에 실망하고 있습니다.

 “아주 솔직히 말하자면 미국인들은 대한민국에 어떠한 관심도 없습니다. 그들이 보는 것은 오로지 북한이며 그들이 나쁘다는 것이 전부이지요. 몇몇 훌륭한 기자들을 제외하고는, TV에서 보도된 대한민국 대통령의 탄핵은 그저 신경질적이면서 단순할 뿐입니다.”

 셔록의 관점에서 본 5·18은 1989년 천안문광장사태 또는 소비에트연방의 권위에 대항한 1956년 헝가리혁명과 동일선상에 있는 냉전시대의 항쟁인것입니다. 그러나 이 둘과 비교해볼 때 광주항쟁은 마땅히 받아야할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셔록은 5·18광주항쟁이 공산정부에 대한 항쟁이 아닌 미국을 등에 업은 한국 군사정권에 시민들이 일어섰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봅니다. 요즘 대선후보들이 광주에 더 많은 시간과 열정을 쏟아 부었던 가운데, 광주가 이제야 국가전체의 한 부분으로서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어쩌면 전라도와 호남지역은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보입니다. 이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역사가 잊혀지는 것을 원치않고 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이 모든 것들을 확실히 이해하는 것을 바라고 있어요.” 이 역사적 사실을 대중에게 알린 중요한 기여자로서 셔록은 저널리스트적 역할은 바로 대중과 공유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이야기를 세상에 불러내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1985년 제가 광주에 있을 때, 사람들은 `제발 우리 이야기를 알려주세요. 제발 이곳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었는지 미국사람들에게 알려주세요’라고 했습니다. 그 뒤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뉴올리언즈와 걸프만을 강타했던 2005년에 저는 저널리스트가 됐어요. 곳곳의 사람들로부터 매번 똑같은 말을 듣곤 했지요. `제발 우리 이야기를 알려주세요’라구요. 저는 언제나 보도에서는 공정합니다. 그러나 언론인으로서는 행동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생각하면 부끄럽기 그지없었고 그래서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기에 이 사실을 알리고자 했습니다.”

글=Anastasia Traynin

사진 제공=Tim Shorrock

번역=이효정(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