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대 한국의 최초 밀랍초 제조가<1>

 Do you know about beeswax candles? Maybe some of you do. I did not know about them until I decided to write about Bin Do-rim, a well-known beeswax candlemaker in Korea, for the feature article of the Gwangju News. To give a brief background, beeswax candles have been a sophisticated means of illumination since ancient times in both Europe and Asia. In Korea, they were used in the royal court and during special ceremonies in the residences of the aristocracy.

 To get the story on Bin, a German-born man with the birth name Dirk Fuendling, I along with LorrynSmit (the Gwangju News’s own photo editor) interviewed him at his home. His home and workshop are located in the beautiful mountains of Damyang County near Gwangju. Our trip from Gwangju took almost an hour. Once inside the Damyang area, we passed a beautiful lake and enjoyed the silence of the green mountain scenery.

 During the interview, Bin’s wife and work partner, Lee Young-hee, accompanied us. Our interview with them was warm and relaxing because of their hospitality and the peaceful atmosphere of their home. Here is how our conversation went.
 
 -Gwangju News (GN): Can you tell me about your history with Korea?

 △Bin: I was born in Berlin, Germany. I came to Korea to study Korean language in Seoul for three years. And then I went back to Germany to the first university that had a Korean studies department and finished my studies there in 1984. In that year, I got my Ph.D. and then came back to Korea. At first, I was teaching at a university in Daegu for eight years. Then I got dragged away to the German Foreign Service and worked at the German Embassy in Seoul for ten years. After that, we came here. We built this house a little bit earlier. I’d finished working at the embassy by the year 2000 and we resettled here in 2002. After that, we moved our permanent residence to this place. We’ve lived in Damyang for almost 20 years.

 -GN: So you’ve been living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now you’re a Korean citizen. Can you tell us when and why you became a Korean citizen?

 △Bin: I’ve been a Korean citizen since 2005. It was kind of a logical development because I’m living here and am quite settled here. And, personally, I don’t have much connection to Germany anymore, though my children are living there - but that’s it. My parents passed away. I have no siblings and no other relatives, actually. There isn’t very much that connects me with Germany anymore. Now I’ve been living in Korea for about 40 years, so the plan to stay here is a kind of logical development - to become a member of the society you’re living in. Now we do a lot of work in the local community. For example, I became the chairman of Cooperative Founders here in the municipality of Daedok, and I’m a member of the Citizen’s Committee. So I regularly engage in community activities.

 -GN: When did you become a beeswax candlemaker? And why a candlemaker?

 △Bin:We started our candle business in 2003. It was a very slow start for our business. In the beginning, it was a hobby. We made “family candles” for friends and for ourselves after I discovered that beeswax wasn’t used in Korea at that time. And from a certain time - I don’t remember when exactly - we were able to sustain ourselves with this business. Then we increased our capacity and invested in some machinery. Some of the big changes have come from selling our product on the Internet and at the shopping mall, which allows people to put in orders.

 Our second biggest service customer is a Hansalim cooperative. We’re a member of the Hansalim producer’s organization. Hansalim is basically for organic foodstuff, but they have a segment of non-food items like pottery, cosmetics, soaps, and our candles. We’re members because we make natural candles. We solely use beeswax without any additives, and the candles are made with all Korean products. Hansalim is very much concerned about using local and natural ingredients. They’re a national cooperative that’s active all over the country.

 It started as a hobby and,of course, it took some time to learn the necessary skills. I wasn’t trained in candlemaking. In Germany, they have candlemaking as a craft. You learn for three years, and then you have an examination, after which you get a certificate. Here in Korea, they don’t have this. I didn’t have these three years of training, so I had to learn from books and, of course,we visited some places in Germany where they make beeswax candles. They also make them in Australia, America, and in most European countries. Here in Korea, we were the first to do so in the modern era, making us famous.

 Hundreds of years ago, everybody had beeswax candles because they were the only type of candles available. In Korean folklore and in museums in Seoul, you still can see some old candles that were used only in the royal court. These, too, were made from beeswax. Then in the 19th century, we got a product from mineral oil called paraffin. It’s the material normally used for candles today because it’s cheaper and easier to make. But it’s not good for your health because when you burn paraffin, it’s like sleeping around the rear end of a running car. So the fuel of a gasoline engine is similar to the stuff they used in paraffin candles. Beeswax doesn’t have this problem.

 -GN: Is there anything unique about the beeswax candles you make?

 △Bin: The beeswax market isn’t so big. We were the first, and we’re still the biggest and strongest in Korea. Now we have some followers. Some people pick it up out of nowhere and some learn from us directly. But they’re all on a much smaller scale than we are. I think we’re the biggest and the oldest.

 -GN: Do you have a class for people who want to learn candlemaking?

 △Bin: Yes, we do. But not on a regular basis. People come to us for lessons. In summer, for example, I do it outside. For this to happen, we prefer a group of ten or more people. Actually, that’s kind of our minimum. Sometimes, we have 30-50 or even over 100 people. That’s a little bit of an exception, but it’s all possible. We’ve had all kinds of classes, from schools and kindergartens to, of course, adult classes. We even do classes for other places, like environmental institutions. Also, other institutions ask me to do these classes at a civil servant educational center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ssociations. But that’s not our main source of income; we’re actually reluctant to do it [laughs]. It’s a lot of work and takes a lot of preparation, but we do it.
(to be continued)
Written by Zico Mulia

Photographed by Lorryn Smit
 
 THE AUTHOR

 Zico is a master student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joring in interdisciplinary NGO Studies. Hailing from Indonesia, he is also active as a human rights defender and pro-democracy activist. Zico likes to read, listen to music, sports and traveling.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April 2018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밀랍초에 대해 아시나요? 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광주 뉴스의 특집기사로 국내에서 밀랍초 제조가로 유명한 빈도림 씨에 대해서 취재하기 전까지는 몰랐습니다. 간단히 배경을 설명하자면, 밀랍초는 고대부터 유럽과 아시아에서 고급스러운 조명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궁중이나 귀족의 집에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사용되었습니다.

 독일 태생이자 ‘더크 퓌엔들링’이라는 본명을 가진 빈 씨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광주뉴스 사진 편집자인 ‘로린 스미트’와 함께 그의 집에 방문하여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그의 집과 작업실은 광주 근교인 담양군의 아름다운 산속에 있습니다. 광주에서 대략 한 시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담양의 아름다운 호수와 초록으로 물든 산속의 조용함을 즐기면서 갔습니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 빈 씨의 아내이자 작업 파트너인 이영희 씨도 함께 했습니다. 그들과 인터뷰는 그들의 환대와 집의 평화로운 분위기 덕분에 따뜻하고 편안했습니다. 다음은 인터뷰 내용입니다.
 
 -GN(광주 뉴스): 한국에서의 삶에 대해서 말해줄 수 있나요?

 △빈 씨: 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어요. 처음 한국은 서울에서 3년 동안 한국어를 배우려고 왔었죠. 그 후 독일에 돌아가서 한국어학과가 있는 첫 번째 대학에 다녔고, 1984년에 졸업했어요. 그 해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왔어요. 처음에는 대구에 있는 대학에서 8년 동안 가르치는 일을 했습니다. 이후 서울의 주한 독일 대사관에서 10년 동안 일했어요. 그 뒤, 우리는 여기로 왔습니다. 우리는 이곳에 오기 전에 이 집을 지었어요. 2000년도쯤 대사관 일을 그만두면서, 2002년에 이곳으로 이사 왔고, 여기서 계속 살기로 결정했죠. 우리는 담양에서 거의 20년 가까이 살고 있어요.
 
 -GN: 그래서 당신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살았고 이제는 한국 국민이 되었네요. 언제, 왜 한국 국민이 되기로 하셨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빈 씨: 저는 2005년 부터 한국 국민이었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그때부터 여기에 살고 있고 완전히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로도 이제 독일과 별로 관계가 없어요, 제 아이들이 그곳에 살고 있지만 그게 다예요. 제 부모님은 돌아가셨고, 사실 다른 형제 자매나 친척들도 없어요. 이제는 독일과 연결되는 것이 별로 없죠. 제가 40년 동안 한국에서 살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여기 살면서, 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이 당연한 거죠. 지역 사회를 위해서도 많은 일을 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서, 저는 여기 대덕면 공동 창립자의 회장이자, 시민 위원회 회원이기도 하죠. 그래서 공동체 행사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답니다.
 
 -GN: 언제부터 밀랍초를 만들기 시작했나요? 그리고 왜 초를 만들기 시작했나요?

 △빈 씨: 2003년에 밀랍초 사업을 시작했는데, 사업을 하기에 너무 늦은 시작이었죠. 처음엔 취미로 시작했는데, 그 당시 한국에서 밀랍이 사용 되지 않는 것을 알고 친구들과 저희 가족을 위해 ‘가족 초’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언제인지는 잘 기억이 안 나지만, 어느 순간부터 이 사업을 계속 하게 됐어요. 그 후, 생산 개수를 늘리면서, 기계도 구입했어요. 저희 제품을 인터넷과 쇼핑몰에서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 가장 큰 변화였죠.

 두 번째로 가장 큰 고객은 한살림이에요. 저희는 한살림 생산자 연합회의 회원이기도 하죠. 한살림은 주로 유기농 식품을 위한 곳이지만, 도자기, 화장품, 비누, 그리고 우리의 양초 같이 식품이 아닌 제품도 있어요. 저희는 천연 초를 만들기 때문에 회원이 되었죠. 저희는 다른 첨가물 없이 밀랍만 쓰고, 국산 재료로 초를 만들어요. 한살림은 현지의 친환경 재료 사용을 목표로 하는 전국구 생활협동조합이에요.

 취미로 시작했기 때문에, 숙달되지 않아 필수 기술을 배우는 데 시간이 걸렸어요. 독일에서는 양초 만들기가 하나의 기술로 간주되죠. 3년 동안 교육 받고 시험을 봐야 자격증을 받을 수 있어요. 여기 한국에는 그런 곳이 없죠. 그래서 저는 3년 교육과정 대신 책을 통해 연구하고, 독일의 밀랍초 만드는 곳도 방문했었죠. 밀랍초는 호주, 미국, 그리고 대부분의 유럽 나라에서 만들어져요. 한국에서는 저희가 최초예요. 그래서 덕분에 유명해졌어요.

 몇 백년 전에는 밀랍초가 유일한 초였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었어요. 한국 민속이나 서울에 있는 박물관에 가면 궁에서 쓰였던 오래된 초를 볼 수 있어요. 그것 또한 밀랍으로 만들어졌어요. 그러다가 19세기에 미네랄 기름에서 나온 물질인 파라핀이 제작되죠. 그것은 더 싸고 만들기 쉽기 때문에 요즘 양초들을 만드는데 쓰이는 것이에요. 그러나 그것은 건강에 좋지 않아요. 왜냐하면 파라핀을 태우면, 마치 달리는 자동차 뒤에서 잠자는 것과 같기 때문이죠. 가솔린 엔진의 연료는 파라핀 양초에 사용되는 물질과 비슷한 거죠. 밀랍은 이런 문제가 없죠.
 
 -GN: 당신이 만드시는 밀랍초에 특별한 점이 있나요?

 △빈 씨: 밀랍양초 시장은 크지 않아요. 저희가 최초이고, 아직도 한국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해요. 이제 몇몇 추종자들도 생겼어요. 저희로부터 직접 배우는 분들도 있죠. 하지만 저희 보다 훨씬 더 작은 규모입니다. 제 생각에 우리가 가장 크고 오래된 것 같아요.
 
 -GN: 초 만들기를 배우고 싶은 사람을 위한 교실이 있나요?

 △빈 씨: 네, 있어요. 그런데 정기적으로는 아니죠. 사람들이 우리에게 강습을 받으러 와요. 예를 들어서 여름에는 전 밖에서 가르쳐요. 그것을 위해서는 10명 이상의 사람들이 있어야 해요. 사실 적어도 그 정도는 있어야 해요. 때때로 우리는 30부터 50명, 심지어 100명 이상이 있기도 해요. 그건 약간의 예외이긴 하지만, 다 가능해요. 다양한 수업들을 해 봤어요. 학교와 유치원부터 당연히, 성인을 위한 체험까지요. 우리는 심지어 환경 관련 기관을 위해서도 체험을 해요. 또한, 다른 기관들은 중소기업협회의 공무원 교육 센터에서 수업을 해달라고 부탁해요.

 하지만 그것이 저희의 주수입원이 아니에요. 사실 우리에겐 내키지 않은 일이죠(웃음). 할일도 많고 준비가 많이 필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하는 거죠. (다음 회에 계속)
글=Zico Mulia

사진=Lorryn Smit (광주뉴스 사진편집자)

번역=유연우 (광주뉴스 자원활동가)
 
 저자

 지코는 전남대학교 석사과정 대학원생이고, 학제간 NGO연구를 전공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그는 인권 옹호자이자 민주주의 운동가이다. 지코는 책읽기, 음악 듣기, 스포츠와 여행을 좋아한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8년 4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부터 매달 발간하고 있는 한국 최초로 발간된 공식 영문 월간잡지이다. 매달 지역민과 지역의 이야기를 다뤄오고 있으며 특히 지역거주 외국인과 커뮤니티의 활동과 모습을 담고 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다. (www.gwang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