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안나 카리뇨(Joanna Carino) : 토착민 권리 투쟁을 위한 노력<1>

▲ Joanna (fourth from left) on the Awarding Ceremony of 2019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Award. 2019 광주 인권상 시상식에 참석한 조안나.
 Gwangju Prize winner Joanna Carino continues on her crusade against state violence in the Northern Philippines.
 
 With more than 170 ethnic groups from its concrete jungles to its remote settlements, the Philippines cements itself as a cocoon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Asia. In the mountainous northern Philippine region of Cordillera alone, an enormous number of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ave thrived, one of which is the Ibaloi from Benguet Province. Hailing from this ethnic group is this year’s winner of the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GPHR), Joanna K. Carino, who has been at the forefront in the struggle against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region from the Martial Law era up to the incumbent presidency of Rodrigo Duterte, Joanna has been the ebullient voice of the Cordillera grassroots movement, often sporting her traditional Ibaloi divit (skirt) and kambal (blouse) during protests or activities.

 The first few lines of her acceptance speech at the 2019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awarding ceremony were a testament to her fearlessness and dedication in the field of indigenous people’s rights. Last year, the Philippines’ Department of Justice tagged her and six other Cordilleran activists as alleged “terrorists” and so-called sympathizer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Philippines and the New People’s Army, a move that rather emboldened Joanna to denounce the Duterte regime for its overt disregard for civil liberties and rule of law.

 “I am deeply honored to have been chosen as the awardee for the 2019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she shares upon receiving the prize. “It is ironic that while the repressive Philippine Duterte regime labels human rights activists such as myself as terrorists, prestigious foreign institutions such as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recognize my human rights activism as honorable.”
 
Activism Flows in Her Blood and Veins

 Activism and passion for human rights runs in the blood and veins of Joanna. An Ibaloi native from Baguio City, Joanna is part of the influential Carino clan, the traditional landowners of the mountaintop city dubbed the “Summer Capital of the Philippines” for its year-round cool weather. During the American colonial rule, the ancestral lands of the natives of Baguio were forcibly seized, including the land owned by Joanna’s great-grandfather.

 With the support of her parents, Joanna, along with her four siblings, became student activists during the Martial Law era. Her elder sister, Jennifer “Jingjing” Carino, sacrificed her life during the anti-Martial Law movement in 1976.

 “Martial law breeds resistance and revolution,” Joanna explained. “An oppressive and exploitative system breeds revolutionary families. There are eight of us siblings in the family and even before Martial Law, five of us were already student activists. The three younger ones also became activists when they grew older during the Martial Law era. My older sister, Jingjing, is a martyr to the revolutionary cause. Together with my younger sister, Joji, I was illegally arrested, tortured, and detained without charges for two years.”

 Joanna was a lecturer at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 Baguio from 1980 to 1983. When mass movements against construction of dams and logging concessions blossomed, as well as protests to overthrow the dictatorship of then-President Ferdinand Marcos, she gave up her career in academia and became a full-time activist from 1984 up to the present. “It is in the nature of youthful idealism to question, to seek answers and solutions, to work for a better society, especially if the one we have is beset with problems,” she elucidated.
Written by Gianna Francesca Catolico

Photographs courtesy of by Joanna Carino and Kyounghun Choi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The Author
 Gianna Francesca Catolico is an intern from the Philippines at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She recently finished her master’s degree in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from Mahidol University in Thailand. She has been sojourning around Asia over the past three years.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June 2019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Note: A portion of this article appeared in the May 2019 issue of 주먹밥, a biannual magazine published by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원문 해석>-
Joanna (with sign) at the 2018 March Against Tyranny. 2018년 3월 독재에 저항하는 조안나.

 광주상 수상자인 조안나 카리뇨는 필리핀 북부에서 국가 폭력 반대 운동을 계속하고 있다.

 실제 정글부터 멀리 정착지까지 170개 이상의 종족이 함께하는 필리핀은 아시아에서 인종과 문화적 다양성의 보호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악지대인 필리핀 북부 지역에서만 엄청난 수의 소수 민족과 종교가 번성했는데, 그 중 하나가 벤게트(Benguet) 주에서 온 이발로이족(Ibaloi)이다. 올해 광주 인권상 (GPHR)을 수상한 조안나 카리뇨 (Gannano K. Carino)가 이 소수 민족 출신으로 그녀는 계엄령 때부터 로드리고 듀테르테 대통령 재임까지 이 지역의 인권 침해 투쟁에서 최전선에 서있다. 조안나는 어 시위나 활동 중에 종종 그녀의 전통 이발로이 치마(divit)와 블라우스(kambal)를 자랑스레 입고, 코딜레라 민초운동의 패기넘치는 목소리가 되어 왔다.

 2019 광주 인권상 수상식 수락 연설문의 첫 몇 줄은 토착민권 분야에 대한 그녀의 두려움과 헌신의 증거였다. 지난 해 필리핀 법무부는 그녀와 6명의 다른 코딜레라인 운동가들을 “테러리스트”, 또한 필리핀 공산당과 신인민군의 이른바 동조자로 지목했는데, 이는 조안나를 오히려 대담하게 만들어 시민 자유와 법치를 무시한 듀테르테 정권을 비난하게 만들었다.

 “2019 광주 인권상 수상자로 선정되어 큰 영광”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강압적인 필리핀 듀테르테 정권이 저와 같은 인권 운동가들을 테러리스트로 낙인찍는 반면에, 5.18 기념재단과 같은 외국 일류 기관은 저의 인권 운동 활동을 명예로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 합니다.”

그녀의 핏줄과 정맥에는 운동가의 피가 흐른다

 인권에 대한 활동주의와 열정은 조안나의 핏줄과 정맥에 흐르고 있다. 바귀오 시(Baguio City)의 토착 이발로이 사람으로서, 조안나는 연중 서늘한 날씨로 “필리핀의 여름 수도”라고 불리는 이 산 정상 도시의 전통 토지 소유주인 영향력 있는 카리뇨 부족의 일원이다. 미국 식민 통치 동안, 조안나의 증조부가 소유한 땅을 포함하여, 바귀오 원주민의 조상이 살던 땅을 강제로 빼앗겼다.

 부모님의 지원으로 조안나는 4남매와 함께 계엄법 시대에 학생운동가가 되었다. 그녀의 언니인 제니퍼 ‘징징’ 카리뇨(Jennifer ‘Jingjing’ Carino)는 1976년 반 계엄법 운동 중 희생되었다.

 “계엄법은 저항과 혁명을 낳는다”고 조안나는 설명했다. “탄압적이고 착취적인 체제는 혁명적인 가정을 낳습니다. 우리 가족은 8명의 형제자매가 있는데, 심지어 계엄령 이전에도 우리 중 5명은 이미 학생 운동가였습니다. 세 명의 동생들은 자라면서 계엄령 시대가 되자 운동가가 되었습니다. 제 맏언니 징징(Jingjing)은 혁명 대의를 위해 순교한 사람입니다. 저도 여동생 조지(Joji)와 함께 불법 체포되어 고문당했고, 2년간 무혐의로 감금당했습니다.”
Joanna (center) during an event organized by the Sandugo Alliance of Moro and Indigenous Peoples for Self-Determination. 조안나(가운데) 민족자결권을 위해 모로(Moro)의 산두고 연합(Sandugo Alliance)이 주관하는 행사 중.

 조안나는 1980년부터 1983년까지 필리핀 바기오 대학의 강사였다. 댐 건설과 벌목 허가권을 반대하는 집단 운동이 나오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 당시 대통령의 독재정권을 타도하기 위한 시위가 왕성할 때, 그녀는 학술 활동을 포기하고 1984년부터 현재까지 전임 운동가가 됐다. 그녀는 “특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사회가 문제투성이라면 그에 의문을 제기하고, 해답을 찾고,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일하는 것이 젊은 이상주의의 본질”이라고 설명했다.
글=지아나 프란체스카 카톨리코(Gianna Francesca Catolico)

번역=백지연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사진제공=조안나 카리뇨(Joanna Carino), 최경훈(5·18기념재단)
 
 작가
 지아나 프란체스카 카탈리코(Gianna Francesca Catolico)는 5·18기념재단의 필리핀 출신 인턴이다. 그녀는 최근 태국의 마히돌 대학(Mahidol University)에서 인권과 민주화에 관한 석사 학위를 마쳤다. 그녀는 지난 3년 동안 아시아를 여행했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9년 6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에 처음 발행한 대한민국 최초의 영문 대중월간지입니다. 매월 발행되는 각 호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지역사회의 이야기 및 활동에 중점을 둔 지역민과 지역의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습니다. (www.gwanjunewsgic.com)
 
 참고: 이 글의 일부는 5월 18일 기념재단이 발행하는 2개년 잡지인 《주먹밥》 2019년 5월호에 실렸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