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월 1일 박지경 본사 사장 취임 4월 27일 제호 변경 (광주드림→드림투데이) 5월 1일 AI 디지털본부 출범 2024 3월 20일 2024드림 CEO아카데미 개강 4월 01일 광주드림 20년사 ‘꿈을 담는 노란상자’ 발간 4월 19일 창간 20주년 기념식 5월 14일 본보 초청 아바걸스 공연 8월 31일 본보 초청 고려무용단 공연 9월 8일 2024광주드림배 여성배드민턴대회 9월 28일 백만평 광주숲 조성 기원 걷기대회 11월 2~3일 무등산 볼더링 페스티벌 12월 12일 광주전남민주언론상 우수상 수상 2023 5월 14일 인터넷신문협회 윤리대상 수상 7월 2일 드림CEO아카데미 부산 연수 6월 25일 여성 배드민턴대회 7월 10일 인터넷신문협회 언론대상 지역부문 9월 2일 본보 초청 정동하 공연 12월 11일 조선대 신방과 ‘광주드림 발전 방향 캡스톤’ 수업 발표회 12월 24일 광주전남민언련 민주언론상 수상 2022 2월 ㈜드림미디어 체제로 전환(회장 이정권 / 대표이사 사장, 발행인·편집인 김명술) 3월 신사옥(서광주로 171) 입주 4월 22일 창간 18주년 기념호 7월 15일 광주드림-(주)데일리임팩트 업무협약 8월 6일 한·우즈베키스탄 수교 30주년 기념 고려무용단 초청공연 11월 5일 광주드림 무등산 볼더링 대회 11월 9일 광주드림-(주)휴넷 업무협약 2021 6월 수습기자 채용 10월 코로나19 복지상식 출간(이용교) 11월 17일 임시이사회 11월 24일 임시총회 12월 광주드림 사업권 양도·양수 계약 체결 2020 3월~11월 청소년신문 발행(격월) 4월 22일 창간 16주년 기념호 12월 인문학총서 발행(전남대인문학연구원과) 2019 01. 유튜브 ‘동물1’ 제작 10. 광주드림 여성 배드민턴대회 11. 광주드림 볼더링 대회 2018 02. 이용교 이사장 선임 07. 광주드림 후원의 밤‘호랑이똥은 멧돼지를 쫓았을까?’ 출판기념회 12. ‘영화롭다’(조대영) 출간 2016 02. 광주드림 생태기행(변산 바람꽃을 찾아서) 05. 광주드림 동물원 기행(전주동물원) 10. 광주드림 볼더링대회(무등산 선비바위) 2014 03.11 광주드림 콘서트(김경호, 서영은) 04. 독립언론네트워크 협약(뉴스타파) 04.21 창간 10주년 기념호 07.23 광주드림 심리강좌 심심토크(1회) 09.28 여성배드민턴 대회 2013 07.09 광주드림 후원음악회(이은미 초청) 11.18~19 일본 근로정신대 나고야 보고대회취재 2012 02.24 사원총회 04.25 창간 8주년 기념호 07.06 사단법인 광주드림1년 보고 겸 일일호프 12.26. 송년콘서트(장기하와 얼굴들, 김원중) 2011 01. SRB미디어 광주드림으로 사명 변경 06.07 법인이사회 폐간 결정 06.10 광주드림 폐간 반대 긴급기자회견 06.12 광주드림을 통한 대안언론 모델 수립을 위한 기획팀 구성사단법인화 작업 및 광주드림 제호 인수 추진 06.30 광주드림 발행 중단 06.31 휴간 07.21. (사)광주드림 설립 허가 07.22. 광주드림 창간기금 마련 후원주점사무실 임대보증금 마련 07.30. 사무실 임대 계약 2010 민주언론상 수상 (광주 외국어고 신설 저지) 02. 25 모바일 홈페이지 오픈 (지역 최초) 07.01 SRB미디어 독립법인 분사광주드림배 여성배드민턴 대회 (3회)경영논리 강화와 구조조정 압박. 발행부수 축소 12.30. 노동조합 설립인력충원을 위한 교섭 시작 2009 민주언론상 수상 (광주시장 호화 관사 논란) 03. 시민편집국 출동 (2호) 10. 여성배드민턴대회 (2회) 10.29. 광주 · 전남 · 북 최초 네이버 뉴스캐스트 제휴 2008 민주언론상 수상 (U대회, 광주시 무리한 유치전) 포털 뉴스 검색 제휴 (네이버, 다음, 파란, 네이트 등) 10. 광주드림배 여성배드민턴대회 (1회) 2007 04. 빅마트 경영 위기, 사랑방 신문사에서 인수 05.01. SRB미디어 광주드림 사업부로 재창간 2006 민주언론상 수상 (신설학교 교구납품비리) 04. 시민기자단 출범 (1기 80명) 2005 민주언론상 수상 (송정동 성매매 업소 화재 인권유린 ) 2004 04.22. 광주드림 창간 시민공감 지역신문 사시로, 환경, 노동, 여성, 인권, 장애 등 소수자, 소외 계층 대변 신문으로 자리매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