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4주년 전야제, 금남로 메운 ‘대동정신’
오월·세월호·이태원 유족 서로 품으며 연대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4주년 전야행사에서 오월풍물단이 연주하고 있다.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4주년 전야행사에서 오월풍물단이 연주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44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과 금남로 일대에서 숭고한 오월정신 계승을 통해 세대와 국가를 넘어 하나되는 대동한마당이 펼쳐졌다.

이날 금남로 일대는 44년 전 5·18 당시와 같이 광주 곳곳에서 모여든 수많은 시민들로 메워졌다. 5·18 당시 금남로로 향하던 가두행진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이 포문을 열었다.

5·18 유가족들과 민족민주열사 가족, 사회적 참사 유족 등과 함께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민주시민·사회단체 5000여 명은 오후 5시부터 광주공원과 북동성당에서 각각 출발해 행진했다.

광주 곳곳에서 출발한 민주평화대행진이 금남로로 진입하고 있다.
광주 곳곳에서 출발한 민주평화대행진이 금남로로 진입하고 있다.

이들은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등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들고 오월풍물단의 흥겨운 연주에 맞춰 금남로로 진입했다.

행진 대열이 금남로에 도착하고 전 세계에 오월의 가치를 전달하는 ‘광주선언 2024’가 발표됐다.

선언식에는 5·18민주유공자유족회, 미얀마 민족통합정부, 사회적 참사 유족 등과 함께 여성, 교육, 장애, 노동 각 분야 대표 인사들이 무대에 올라 오월정신 계승을 외쳤다.

이어 총체극 ‘언젠가 봄날에 우리 다시 만나리’가 시작되며 추모 열기를 고조시켰다.

오월어머니들이 무대에 올라 ‘오월, 기다림’ 노래를 합창했다.
오월어머니들이 무대에 올라 ‘오월, 기다림’ 노래를 합창했다.

민주, 인권, 오월을 상징하는 세 개의 탁 트인 무대가 금남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돼 어느 방향에서든 공연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무대의 단을 낮추고 금남로 전체를 무대삼아 배우들과 공연자들이 오가며 현장 관객들의 몰입감을 더했다.

힙합과 국악, 판소리, 합창, 씻김굿, 민중가요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공연이 펼쳐졌으며 각각의 무대마다 다른 공연이 연출되면서도 스토리를 가지고 이어지며 기존 전야제와는 또 다른 경험을 선사했다.

특히 각 무대에서 서로를 바라보며 노래하던 오월어머니들과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유족들이 무대를 건너 서로를 보듬은 장면은 많은 시민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며 연신 박수세례가 터져나왔다.

공연을 관람하던 시민들이 풍물단의 연주에 맞춰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를 도는 것으로 전야제가 마무리됐다.
공연을 관람하던 시민들이 풍물단의 연주에 맞춰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를 도는 것으로 전야제가 마무리됐다.

공연의 끝자락에는 오월풍물단이 다시 등장하며 공연을 관람하던 모든 시민들을 이끌었고 시민들은 풍물연주를 따라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로 향해 80년 5월 당시를 재현했다.

한편 이날 전야제 이후 18일 오전 10시 국립5·18민주묘지에서는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