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 작가 자연과 공존 메시지 전달
호기심 자극 전시…4월 27일까지

거니림 작 ‘껍질’.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거니림 작 ‘껍질’.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광주시립미술관은 어린이갤러리 기획전시 ‘ECHO: 상상력과 자연을 잇다’를 오는 4월 27일까지 미술관 본관 어린이갤러리에서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울림, 메아리라는 뜻의 ‘ECHO(에코)’를 중심 개념으로, 자연과 생태적 환경을 주제로 한 예술작품을 통해 자연의 가치 및 환경보전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또한 작품 속 이야기와 메시지를 체험형 프로그램과 연결해 어린이와 가족 단위 관람객이 작품을 깊이 체감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했다.

 거니림, 김안나, 김자영, 무라타 치아키, 박유진, 한진희, 허달재 등 7인의 작가가 참여한 이번 전시는 자연과 생태적 환경의 소중함을 알리고 예술 작품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방식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전시 작품은 어린이들이 직접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거니림 작가는 작품 ‘껍질’에서 인간의 기준에 의해 쓸모를 다한 가로수의 껍질만 남겨진 모습을 보여주면서 생활의 편리 이면에 숨겨진 자연의 소중함을 언급한다.

한진희 작가의 ‘어느 식탁에 앉으시겠습니까’.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한진희 작가의 ‘어느 식탁에 앉으시겠습니까’.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미디어아티스트 김안나의 ‘보이지 않는 도시들: OPIM’은 가상현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작품으로, 미래의 자연과 도시를 재구성해 독특한 풍경을 경험케 한다.

 김자영 작가는 ‘엇갈린 시선’을 포함한 스투키 연작에서 아프리카에서 자라나는 스투키라는 식물을 주제로 사람과 자연의 공존, 그리고 자연 본연의 모습에 대한 가치를 전달한다.

 환경운동가이기도 한 한진희 작가는 작품 ‘어느 식탁에 앉으시겠습니까?’를 통해 논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썩지 않는 비닐과 친환경 소재인 종이를 대조, 자연을 향한 우리의 선택을 통해 농촌의 내일, 우리의 식탁과 미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작품 ‘희망의 촛불’을 선보이는 일본 디자이너 무라타 치아키는 소중한 우리의 자연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희망의 촛불을 켜는 행위 공간을 전시장 안에 구성했다.

 박유진 작가와 에쓰시크리에이티브(주)의 협업작품인 ‘새들이 함께 노래하네’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확장현실 기술을 융합한 작품으로,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라 새들이 움직이는 인터랙티브 요소가 가미돼 어린이들의 흥미를 자극한다.

 한국화가 허달재 화백은 자개, 옻칠, 나무와 같은 천연재료를 사용해 더욱 특별한 ‘매화도’를 선보인다.

김자영 작가의 ‘엇갈린 시선’.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김자영 작가의 ‘엇갈린 시선’.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모리린파이버코리아(주), 스테리, ㈜세이브어스 등의 기업들이 참여한 ‘에코 소재랩’은 친환경 소재를 비롯한 리사이클 및 업사이클 과정을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제시하며 자연 순환의 중요성을 상기한다.

 윤익 광주시립미술관장은 “메아리처럼 확장되는 예술가들의 상상력과 함께 이번 전시가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을 새삼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전시 연계프로그램으로 ‘알록달록, 꽃과 새싹을 만들어요’와 ‘자연의 재료로 매화도 만들기’를 전시기간 중 각각 매주 토요일 11시와 오후 1시에 진행한다.

 ‘알록달록, 꽃과 새싹을 만들어요’는 김자영 작가의 그림책과 함께하는 체험수업으로 작가의 그림책 ‘잘려진 싹’을 읽고 나만의 꽃과 새싹을 만들어 벽에 꾸미는 활동이다.

 ‘자연의 재료로 매화도 만들기’는 허달재 화백의 출품작품에 착안해 원화 스케치가 인쇄된 엽서 위에 자개 스티커로 작품을 만들어보는 수업이다.

 각 프로그램은 어린이갤러리 전시장에서 진행되며 프로그램별 참여신청은 수업당일 선착순 5명 현장접수로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립미술관 홈페이지 ‘교육/문화→전시연계’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