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보호소 유일 직영 경험 바탕 센터 추진
“광주는 부지·민원 등 문제부터 해결하길”

▲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전 동물보호센터.
 광역동물보호소(동물보호센터)를 운영하는 지자체 중 유일하게 보호소를 직접 운영하고 있는 대전시는 센터의 신축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매년 늘어나는 유기동물을 체계적으로 보호·관리하기 위해 동물보호센터의 공간을 넓히는 한편, 동물들을 위한 전용공원 등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광주시 역시 내년부터 이와 비슷한 사업을 추진한다. 광주동물보호소 바로 옆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동물위생시험소) 자리에 유기동물보호소, 입양센터, 놀이공원 등이 들어간 ‘동물보호복지센터’를 건립하겠다는 것.

 동물보호소의 비좁은 공간 등 열악한 여건을 해소할 대안이 될지 주목되는데, 대전시가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전한 조언이 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들을 사전에 해결하라는 것이다.

 지난 2일 장연주 광주시의원과 함께 대전시청을 방문, 대전시 과학경제국 농생명산업과 반려동물팀 담당자들을 만나 동물보호소 직영, 동물보호복지센터 추진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동물복지센터 부지, 주민 반발 부딪혀

 대전시는 2008년 유성구 갑동에 동물보호센터를 마련, 2011년부터 센터를 직접 운영해 오고 있다. 초기엔 민간위탁 방식으로 운영했으나 관리 부실 등의 문제가 나타나자 직영으로 전환한 것이다.

 올해로 직영 7년째. 유기동물 보호 체계가 안정됐지만 매년 늘어나는 유기동물 숫자는 어쩔 수 없이 부담이 되고 있다.

 2015년 이후 대전지역 유기동물 숫자는 1000마리 이상씩 늘어 지난해엔 유기동물 숫자가 5103마리(2015년 3407마리, 2016년 4556마리)에 달했다.

 보호소 공간 규모를 두 배 이상(330㎡→660㎡) 늘렸음에도, 유기동물 보호 공간 부족이 해소되지 않은 이유다.

대전 동물보호센터 내 유기견들.

 이에 대전시는 동물보호센터와 더불어 반려동물 전용 놀이공원을 포함한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15년말부터 타당성 용역을 실시, 2016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총 3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 9만5000㎡에 ‘플랜더스 파크’란 이름의 테마파크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이중 동물보호센터가 들어설 대지 면적은 4000㎡, 건축 면적은 2084㎡다. 대전시는 농림축산식품부 ‘광역 유기동물센터 설치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 동물보호센터 신축엔 국비 16억 원과 시비 24억 원 등 총 50억8000만 원을 투입한다. 이르면 내년에 착공, 2020년이면 이전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광주시도 내년 농림축산식품부의 ‘광역 유기동물센터 설치 지원사업’ 공모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1차로 국비 58억 원 확보가 목표로, 시는 이를 통해 동물보호소와 동물놀이공원, 입양센터, 동물 관련 교육 시설 등이 집약된 ‘동물보호복지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동물관련 시설 주민 거부감 크더라”

 대전시 반려동물팀 관계자들은 “광주시도 동물복지보호센터 건립을 추진한다면 공모를 통해 국비를 받아놓기 이전에 먼저 해야될 일들이 있다”고 말했다.

 가장 핵심으로 꼽은 것이 부지와 민원이다.

 대전시의 경우 반려동물 테마파크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부지 확보에 상당한 애를 먹었다고.

 토지 사용에 문제가 없고, 넓으면서도 주민들의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지’를 찾는게 쉽지 않았던 것. 대전의 남는 땅들을 뒤지고 뒤져 선택한 것이 유성구 금고동의 그린벨트 지역이었다.

 하지만 부지가 선정된 뒤로도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동물 관련 시설이 들어온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해당 지역과 거리가 있음에도 주민들의 반발이 일었고, 이로 인해 대전시의회가 사업 추진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

 해당 부지가 그린벨트 지역이다보니 도시계획·공원조성계획 변경 등 거쳐야 할 행정절차도 까다로울 수밖에 없었다.

 광주시가 현재 ‘동물보호복지센터’ 부지로 생각하는 곳은 동물보호소 바로 옆 북구 본촌동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부지(부지면적 약 3305㎡)다. 동물위생시험소가 2020년 서구 유덕동으로 이전하면 그곳에 보호소를 포함한 각종 동물 관련 시설을 조성하자는 것.

 하지만 이곳 주변으로 최근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있어 향후 사업을 반대하는 민원이 제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광주동물보호소.

 대전시 관계자들은 “국비를 확보하더라도 부지나 민원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결국 사업 추진이 차질을 빚게 될 수 있다”며 “광주시는 반드시 국비 확보 전에 이러한 문제들을 확실하게 정리하고 추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본계획을 세우고도 부지 확보와 주민 설득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건넨 조언이다.
 
▲반려동물전담팀·동물보호 축제…

 같은 사업을 추진하지만 대전시와 광주시의 ‘출발선’이 다르다는 점도 고민해봐야 할 대목이다.

 대전시는 7년 넘게 동물보호소를 직영하면서 반려동물 전담팀이 꾸려지고, 대전시 차원에서 반려동물 정책이나 유기동물 입양 캠페인 등을 진행해 오고 있다.

 특히, 2015년부턴 ‘동물보호 문화축제(사업비 1억 원)’도 열고 있다. 동물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알리고, 반려동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이자는 취지다.

대전 엑스포광장에서 열린 동물보호 문화축제.<출처=대전 동물보호문화축제 홈페이지>

 대전시는 이처럼 행정이나 정책적으로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동물복지보호센터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 광주시는 반려동물 전담팀이 없고, 동물보호소도 민간위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보호소 운영비를 지원하는 수준으로, 광주시만의 ‘반려동물 정책’은 찾아보기도 쉽지 않다. 기능은 다양해지고 규모가 커지는 동물복지보호센터를 운영할 역량이 뒷받침될 수 있는지 의문이 따를 수밖에 없는 것.

 무엇보다 동물복지보호센터와 관련해서도 공모 신청을 준비하곤 있지만 건립 이후 운영 방식이나 행정체계 개편 방안 등 기본계획은 아직 나와있지 않다.

 장연주 의원은 “동물복지보호센터 추진에 맞춰 동물보호소 직영 전환은 물론 동물복지 전반에 걸쳐 광주시 행정체계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