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시는 시조 시인 조운이 쓴 ‘×月 ×日’이다. 흔히 초장 첫 구절을 따 ‘언 눈 밟히는 소리’로 알려진 시다.
 
 언 눈 밟히는 소리
 좋아라고 딛는 듯이
 
 고개를 수구리고
 빠스각 빠스스각
 
 들 밖에 다 나와서야
 도로 돌쳐 걸었다.
 
 조운은 1900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조주현(曺柱鉉)이고 운(雲)은 아호인데, 1940년 ‘운’으로 개명한다. 그는 1921년 동아일보 4월 5일자 독자문단에 자유시 ‘불살라주오’를 발표하면서 자유시를 쓰기 시작하고, 그 뒤 1927년까지 43편을 발표한다. 1925년 ‘조선문단’ 8호에 ‘법성포 12경’을 발표하면서 시조를 쓰기 시작한다. 1927년까지는 자유시와 시조를 같이 쓰다가 그 뒤부터는 주로 시조만 쓴다. 그리고 1949년 식구들과 같이 월북을 한다. 1988년 납·월북 문인이 해금된 뒤 비로소 연구가 되고, 1990년 광주 남풍출판사에서 ‘조운문학전집’이 나온다.

 겨울밤 눈이 쌓이고 그 뒷날 살짝 녹고 난 뒤 밤새 다시 얼었을 때 아침 일찍 들에 나가 언 눈을 밝는다. 이때 소리는 뽀드득 뽀드득 하는 소리가 아니고, 정말 “빠스각 빠스스각” 하는 소리가 난다. 언 눈이 부서지면서 나는 소리다. 그는 이 소리가 재미있어 들밖에 나왔다가 다시 돌아(돌쳐) 언 눈을 밟는다. 언 눈 밟히는 소리는 이 시 말고는 다른 시나 소설에서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조운이 쓰는 시늉말은 아주 적절하다. 언 눈 밟는 소리 ‘빠스각 빠스스각’, 이 소리만큼 더 적당한 말은 찾기 힘들 것 같다. “컴컴한 하늘에서 / 쑥쑥 빠지는 사비약눈” ’×月 ×日(컴컴한 하늘)’의 초장이다. ‘사비약눈’은 한 잎 두 잎 살살살(사비사비) 내리는 ‘첫눈’을 말한다. 그런데 이 눈이 컴컴한 밤에 떨어진다. 가로등 아래에서 보면 이 눈은 마치 밤하늘에서 어린 아이 이가 ‘빠지듯’ 쑤욱 쑤욱 나린다.
김찬곤<광주대학교 초빙교수>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