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경위·당시 행적 등은 면밀한 조사 필요”

신원 미상의 유골이 발견돼 5·18암매장지 발굴조사가 진행됐던 옛 광주교도소 일대.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신원 미상의 유골이 발견돼 5·18암매장지 발굴조사가 진행됐던 옛 광주교도소 일대.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옛 광주교도소 터에서 발굴된 유골 262기 가운데 5·18 행방불명자로 잠정 확인된 인물은 전남 화순 출신의 20대 청년인 것으로 밝혀졌다.

27일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에 따르면, 신원이 잠정 확인된 해당 유골은 당시 전남 화순에 거주하며 광주에 오가던 20대 청년 A씨다. 여동생과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99.9% 혈연관계가 확인됐다.

앞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지난 6월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굴된 262구의 유골 중 DNA 정보로 행방불명자 가족들의 것과 대조했지만 일치하는 유골을 찾지 못했다. 조사위는 A씨의 사망 원인과 행방불명된 경위, 암매장에 이르게 된 과정 등을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다.

또 광주교도소에서 발굴돼 DNA 검출 가능한 160구 가운데 검사를 하지 않은 120구의 유해에 대해서도 오는 11월 말까지 행방불명자와의 DNA 비교 검증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한편 광주광역시 북구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묘지에서 처음 유골 더미가 발견될 당시엔 유골이 80여 구로 추정됐지만, 국과수가 분류 작업을 거쳐 262구로 확인했다.

계엄사의 1980년 5월 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광주교도소에서 민간인 27명(보안대 자료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5·18 단체 등은 16~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암매장 의혹을 제기해 왔다.

5·18 행방불명자 유골이 확인된 옛 광주교도소는 일제강점기인 1908년 광주감옥으로 개설됐다.

1912년 광주 동명동으로 이전해 시설을 유지하다가 1971년 7월 북구 문흥동으로 옮겼다. 1980년 5월 계엄군과 시민군 사이 총격전이 벌어져 5.18 사적지 22호로 지정된 옛 광주교도소는 2015년 10월 삼각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40년 넘게 문흥동 자리를 지켰다.

삼각동으로 광주교도소가 이전되기 전까지는 보안·수용 시설이라는 특성상 발굴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지만 이후 진전을 보게 됐다. 법무부는 2017년 11월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유해 발굴사업을 할 수 있도록 승인했고 발굴 조사가 시작됐다.

이와 관련해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관계자는 “신원은 밝혀졌지만 행방불명된 경위나 사망 원인 등은 좀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진실을 밝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영웅 기자 nicev@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