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쓰레기 직매립 금지 대비 환경기초시설 본격화
상무소각장 폐쇄 10년도 안돼 정서적 반감 해소 과제

경기도 하남시의 환경기초시설인 유니온파크. 하남시 제공
경기도 하남시의 환경기초시설인 유니온파크. 하남시 제공

 2030년 쓰레기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광주시가 다시 소각장 카드를 꺼내들었다. 올해 입지를 선정해 2029년까지 설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쓰레기 매립은 한계가 분명한 만큼 친환경 소각장 건설은 세계적 흐름이 되고 있다. 광주시도 국내외 사례를 참조해 지역 랜드마크가 될 친환경 프로젝트를 구상 중이다. 하지만 2016년 유해성 논란 끝에 상무소각장을 폐쇄한지 10년도 안돼 다시 소각장을 꺼내든 것이어서 시민들의 정서적 반감 극복이 최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2일 광주시에 따르면 2030년부터 시행되는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올해 주민 친화형 소각 시설 입지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정부가 지난해 7월 폐기물 관리법 시행 규칙을 공포하면서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 이외 지역은 2030년부터 직매립을 금지하기로 해 발등에 불은 이미 떨어진 상황이다. 수도권을 비롯한 각 지자체들은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 움직임이 분주하다.

 광주시도 대비에 나서 지난해 8월 광주시 자원 순환형 폐기물 처리 체계 구축 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올해 안으로 자치구 공개 모집과 타당성 조사 등을 통해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소각장은 입지 선정이 최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소각 과정에서 유해물질 배출 논란으로 상무소각장이 폐쇄된 지 6년 만에 재추진하는 셈이어서 주민들의 정서적 반감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광주시도 이를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반감 극복과 주민 수용성 제고 작업을 올해 본격화한다. 광주시는 환경기초시설과 함께 주변에 공원이나 체육시설, 문화시설 등을 함께 입지시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는 논리로 주민 설득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선 환경기초시설 입지 공모를 진행한다. 만약 자치구 공개 모집에서 신청 지역이 없을 경우 광주 지역내에서 들어설 수 있는 입지를 모색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2029년까지 건립하고 2030년 가동하겠다는 것이 시의 목표다.

 광주시 관계자는 “주민들이 소각장을 기피시설로만 인식하고 있지만, 최근 국내외에서 친환경적으로 건립해 지역 명물이 된 선진 사례들이 많이 있다”면서 “2030년 이전 소각시설 건립을 위해 올해 안으로 입지선정을 마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새봄 기자 newbom@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