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원 제자리 찾기’ 기획이 시작된 곳은 다름 아닌 4·15 총선 현장에서였다. 어느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후보 이름을 외치며 선거운동을 하던 구의원들. 그들에게 묻고 싶었다. 진정한 풀뿌리 정치는 무엇인지.
다행스럽게도 인터뷰를 한 구의원들은 현실의 문제점을 제대로 꼬집었다. 풀뿌리 정치의 불씨조차 힘을 잃고 있으며, 주민들과 가장 가까워야 할 구의회가 외면받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했다.
그렇다면 구의원들이 내놓은 해결책은 뭘까. 다소 충격적인 답이 돌아왔다.“구의회는 없어져야 한다.” 일부 구의원들이 스스로 정체성을 찾지 못한 채 폐지론을 주장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할 일이 없다”는 것이었다. 국회의원이나 시의원에 비해 주민들의 민원을 가장 가까이 접하면서도 이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는 것. 그것은 곧 민원 해결을 위한 예산 편성의 결정적 `능력’이 없다는 불만이었다. 게다가 이들은 보상 없는 무조건적인 `희생’을 원치 않고 있었다.
전혀 틀린 지적은 아니다. 정부가 주민참여와 책임성 확보를 위해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도 이런 문제제기에 동의하기 때문이다.
구의원들은 주민들이 자신을 외면하는 것도 못마땅해 했다. 민원이 있으면 구의회를 거쳐야 보다 설득력 있고 체계적인 의견 수렴이 가능한데도 다짜고짜 구청장부터 찾다보니 구의원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하지만 유권자들은 구의원들을 필요한 일꾼으로 바라보지 않은 지 오래다. 이들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수많은 정치인 중 하나로 비춰질 뿐이다. 주민들은 구의원들에게 정치인이라는 역할을 부여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다만 지역을 위해 주민들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통로가 되어주길 바랐다. 그것이 바로 지방자치 실현이라 믿고 뽑아준 자리. 그러나 구의원들은 스스로 그 이름을 지우기에 바빴다.
jour@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