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1일 관련 조례가 시의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광주시 2명, 광주예총 4명, 광주민예총 4명, 광주전남문화연대 2명 등 관련 기관·단체가 모두 12명의 위원을 추천했으나 상대측 추천 인사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문예위 구성 문제가 원점으로 되돌아간 것.
당초 27일 `추천위원 간담회’를 통해 총 15명(당연직 3명+추천 위원 12명)의 위원이 공식발표될 예정이었으나 민예총이 이날 오후 2시 성명을 통해 `추천 철회’를 통보함에 따라 간담회는 예총과 광주시 측 추천 인사들만 참석한 채 `반쪽’으로 진행됐다.
민예총은 예총과 광주시의 추천 인사들이 “개혁적 문화정책을 펴나가기에는 한계가 있는 관 밀착 인사들”이라며 “이들이 문예위원 자리에 앉으면 문화행정의 민간 이양이라는 본 뜻은 사라지고 `무늬만 민간’인 관 주도 정책이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추천 철회 결정에 대해 “광주시와 예총이 추천한 인사들의 보수적 면면과 위원회 장악 의도를 간파, 위원회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문화연대 관계자 역시 “추천 철회까지는 아니지만 민예총과 입장이 같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광주시 정종제 문화관광국장은 “광주시와 예총은 그쪽(민예총과 문화연대) 추천 인사에 대해 전혀 문제삼지 않고 있는데 일방적으로 이쪽 추천인사들을 문제삼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반박했다. 예총 박금자 회장 역시 “민예총 추천 인사들에 대해 우리도 할말이 많지만 참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4시 예총 산하단체인 미술협회도 성명을 통해 “광주예총은 구시대적 관성과 관행에 젖어 주도권 싸움이나 기득권세력에 의한 역할분담 식의 위원선정을 했다”면서 “위원들의 전면적인 재선정 작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예총 탈퇴까지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민예총과 문화연대, 미술협회 등 문예위원 선정에 반발하고 나선 단체들은 그동안 비공개로 진행됐던 문예위원 선정을 투명하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바꿀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정우 기자 arrti@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