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열린 `충장로 특화거리 조성사업’ 용역 중간 보고회에서 자문위원들이 용역보고팀에 주문한 내용이다. 교통의 흐름, 상인 및 주민들과 함께 하는 방안, 전남 도청 부지에 들어설 아시아문화전당에 대한 고려 등 조성사업을 둘러싼 외부 여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자문위원으로 참여한 윤석년 교수(광주대 신문방송학과)는 “도심을 활성화시키고 사람들을 끌어들일 만한 계획들은 세심한 반면 그 사람들과 자동차들이 쉴 곳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고 말했다. 박광순 명예교수(전남대 경제학부)는 “계획의 원활한 실행을 위해서는 상인과 주민들을 만족시키고 동시에 그들이 조성사업에 함께 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 용역은 이 같은 정치사회적 환경이 검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광주시가 도심활성화종합기본계획에 위해 추진하고 있는 `충장로 특화거리’ 조성 사업은 지난 2월 최초 보고회를 통해 △1,3가 영화의 거리 △4,5가 한복의 거리 △2가 청년문화의 거리로 조성한다는 데 시와 용역팀(광주대 도시건축문화연구센터)이 의견일치를 봤었다. 이날 2차보고는 이들 거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선보인 자리.
용역팀이 제시한 `계획’ 중 “영화의 거리 조성은 기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지적이 주목된다. 용역팀은 “영화제 기간 동안만 영화의 거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부산과 서울의 처지”라며 “영화 이외의 다른 요소가 가미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역팀이 제시한 `다른 요소’는 `패션 및 쇼핑’이다.
용역팀은 또 특화거리 조성에서 광주학생회관이 차지하고 있는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곳은 시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는 이유로 더이상 이야기가 진척되지 않아 향후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가능성을 보였다.
문화중심도시 조성과 맞물리면서 `충장로 특화거리’ 조성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오는 30일 `주민공청회’가 동구청에서 열릴 예정이며, 5월말 중간 2차 보고회가 개최되고, 6월말에는 충장로 상가번영회, 상가대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가질 계획이다. 용역팀은 “이 과정에서 자문위원들이 주문한 `제반 여건’들이 충분히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충장로 상인들과 주민들의 참여가 조성사업 성공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정우 기자 arrti@gjdream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