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정희<시민자치부 기자>
 학교에서 두발과 복장 규제에 숨막혀 하는 학생들의 아우성이 본보에 이어지고 있다.
 학생들은 이제 언론이 전달자가 아닌 해결사로 나서주기를 기대하는 모양이다. 집단으로 메일을 보내 압박하기도 하고, “살려 달라”며 과장섞인 읍소도 마다하지 않는다.
 `학교 내에선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는 벼랑끝에서의 마지막 몸부림으로 느껴져 안타깝다.
 최근 보도된 `걸리면 바로 깎이는’ ㄱ고의 경우도 누적된 불만이 외부로 표출된 사례다.
 학교측은 `규정은 지켜져야 한다’는 당위론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하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
 규제를 강제할 수 있는 힘은 구성원간 합의가 전제다. `최소한 이 정도는 지키며 살고, 위반시엔 처벌을 받겠다’며 불이익을 감내하는 것은 규정을 만들 때 내가 참여했음에 대한 책임이다.
 하지만 ㄱ고가 올 3월 규정을 개정하기 위해 열었다는 토론회는 학생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설문 결과 학생 90% 이상이 두발자율화를 갈망했음에도, 토론회에 참석한 학부모·교사의 목소리에 눌려 `스포츠형’으로 정리됐다.
 교사가 학생의 발언권을 제약했고 울분을 참지못한 학생대표가 울음을 터뜨렸다는 증언도 있다. (학교나 학생대표는 이를 부인하고 있기는 하다.)
 제재조항을 명문화하지 않은 것도 문제다. 위반시 학교 자의적인 처벌이 이뤄지면서 학생들의 반발을 키웠다. 세번째 걸리면 이발시키는 `삼진아웃제’를 적용했다가, 어느날 이를 백지화하는 등 일관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흔히 교사·학부모·학생을 교육의 3주체라 일컫는다. 하지만 학교현장에서 교사·학부모와 달리, 학생은 주체로서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
 `학생이 주인 대접받는 건 의무를 짐지울 때 뿐’이라는 자조가 사라지지 않는 학교에서 갈등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good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