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은<시민자치부 기자>
 요즘 연일 보도되고 있는 촌지 기사와 관련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사람들이 있다. 이번 일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다. 일부 사실무근이라고 펄쩍펄쩍 뛰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촌지 존재를 인정하고 “내가 받았다”고 솔직하게 고백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덧붙이는 한마디, “이제 그만 좀 합시다. 다 아는 이야기 굳이 여러 번 반복할 필요 있나요?”
 맞다. 다 아는 이야기다. 기자들이나 공무원들이 명절 떡값과 인사치레 등 각종 명목으로 촌지 받는 것이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고, 구청장 업무추진비 대부분이 식사접대비나 각종 격려금으로 지급되고 있는 것도 결코 새로운 뉴스는 아니다.
 게다가 촌지를 주는 사람, 받는 사람 모두 이것이 잘못된 행위라는 것을 매우 잘 알고 있다. 이들은 오고 가서는 안될 돈을 서로 주고받는다는 것, 특히 이것이 주민들의 혈세라는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이 같은 정황만 놓고 보면 이들의 요구처럼 기사를 그만 써도 될 듯 싶다. 굳이 업무추진비의 목적과 사용기준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본인들 스스로 잘 알고 있으니 개선되지 않겠나.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들의 생각은 더 이상의 진전이 없다. 문제의식을 분명히 느끼면서도 관행을 깨겠다고, 자정하겠다고 선뜻 나서는 사람이 없다. 오히려 이런 부분들을 자꾸 끄집어 내는 것에 대해 매우 불쾌한 반응을 보이며 훈수 두는 사람들 뿐이다.
 그래서 나는 펜을 놓을 수가 없다. 오랜 관행이었다며, 남들도 다 하는 것이라며 인생에선 원칙보다는 적당한 현실타협이 필요할 때가 많다는 조언(?)을 하는 사람들, 순진하게 지출한 내용 그대로 기록하지 말고 카드깡 등으로 흔적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똑똑한 공무원들 앞에서 언론 본연의 역할을 포기할 수가 없다.
 촌지관련 기사가 불편하신 분들께 당부한다, 기사 그만 쓰라고 부탁하지 말고 자신부터 잘못된 관행을 당장 멈추기를. jour@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