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장<시민자치부 기자>
민주주의에서 절차의 투명성과 합리성은 매우 중요하다. 의회정치와 민주정치의 근간이 되는 정당 역시 마찬가지다.
그런 측면에서 최근 민주당 광주시당이 보여준 모습은 실망스럽다. 시당위원장 선출을 둘러싸고 빚어진 모양새가 그렇다.
처음에는 선출 방식을 놓고 당내에서 밀고 당기는 신경전이 오갔다.
한쪽이 “단합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합의추대 방식을 주장하자 다른 한쪽은 “특정인을 염두에 뒀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결국 당헌·당규에 따라 대의원대회에서 경선을 통해 시당위원장을 선출하는 것으로 갈등은 일단락됐다. 그리고 두 후보가 등록을 마치고 선거운동에 들어갔다. 한 후보는 출마 기자회견까지 했다.
그는 광주시당의 현재 모습을 성토하며 당원의 뜻이 중앙당으로 흐르는 `상향식 의사결정 구조’를 만들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불과 몇 시간만에 없던 일이 돼버렸다.
경선을 불과 이틀 앞둔 지난 5일 민주당 부대표인 박광태 광주시장을 비롯해 7명의 지역위원장과 당 소속 구청장 등이 모여 김영진 서구을 지역위원장을 시당위원장에 합의추대키로 결정해버렸기 때문이다.
두 후보는 곧바로 기자회견을 갖고 “당이 분열해서는 안된다”는 명분을 내세워 후보 사퇴를 전격 발표했다.
몇 시간 전, `하향식 의사전달 구조를 바로 잡겠다’며 출마 기자회견까지 했던 후보의 높은 목소리는 온 데 간 데 없었다.
사라진 것은 또 있다.
시당의 수장을 뽑는 일은 당원들에게 큰 관심사다. 그런 중요 결정에 당원들의 목소리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이를 두고 한 대의원은 “허탈하고 황당하다”고 했다.
`합의추대’를 위한 모임 자리에서는 이미 계산된 이해득실에 따라 여러 이야기가 오갔을 것이다. `당을 위한다’는 명분도 중요하지만, 분명한 것은 민주적 절차를 따라야 하는 민주 정당의 모습은 아니라는 점이다.
hong@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